메인화면으로
"저는 모든 형태의 전쟁을 양심적으로 거부합니다"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
  • 밴드 공유하기
  • 인쇄하기
  • 본문 글씨 크게
  • 본문 글씨 작게
정기후원

"저는 모든 형태의 전쟁을 양심적으로 거부합니다"

[2022 여성병역거부선언] ④ 모든 군대 체계에 대한 지지를 철회하며

5월 15일은 '세계병역거부자의 날(International Conscientious Objector’s Day)'입니다. 이날은 폭력에 가담하지 않기 위해 전쟁을 거부한 사람들을 기억하는 날이며, 전쟁에 동원돼 이웃을 살해하고 세상의 평화를 훼손하는 일에 가담하지 않으려는 개인의 양심에서 시작됐습니다.

'여성병역거부선언'은 이러한 평화운동의 맥락에 동의하며 군사주의가 '정상성 이데올로기'로 선점한 '기존의 의미체계'를 비판하고, 권력이 부여하는 '병역'의 사회적 의미를 고찰하기 위해 역사적으로 타자화되어온 여성들이 병역을 거부하는 운동입니다. 일상에서 재현되는 모든 종류의 구조적 억압과 폭력에 저항하기 위한 운동이자 특히 구조적으로 전쟁을 '평화를 위한 수단'으로 강화시켜온 군사주의와 가부장 문화 자체를 비판하며 '무엇이 전쟁이고 무엇이 폭력인가?'를 질문하는 운동입니다.

한국에선 2018년에 처음 여성으로서 병역거부 선언이 있었고 이어서 2019년에 강정마을에 사는 세 여성이 병역거부를 선언하였습니다. 그리고 2022년에 네 명의 여성들이 병역거부선언을 하게 되었습니다.2022여성병역거부선언모임

<2022 여성병역거부선언>

① "나는 여성이고, '병역거부자'입니다"

② 보이지 않는 '병역'으로부터 있는 힘껏 도망치기

③ 여성병역거부선언, 병역의 '자격' 너머 다양성 사회로 가는 길

"Kaia '카레(Curry)' Vereide는 미국 내 난민 환영 공동체에서 살다가, 전쟁은 미리 막아야 한다는 필요성을 느끼고 평화운동에 뛰어들었습니다. 지금은 강정마을에서 군사화에 맞서 평화의 길을 찾고 있습니다." -필자 '카레(Kaia Curry Vereide)' 소개

▲일요일을 뺀 매일, 강정에선 '인간띠 잇기' 행사가 열리고 참가자들은 평화의 춤을 춥니다. 지난 3월 7일 '구럼비 바위 발파 10년 기억 행동'때, 평소보다 많은 사람들이 모여 신나게 '바위처럼' 춤을 췄습니다. ⓒ그레이스

양심과 전쟁 센터(The Center on Conscience and War)는 양심적 병역 거부를 하려는 젊은 미국 남성들에게 (그들이 복무 등록법을 지킨다면) 선발 복무 등록 양식의 줄 사이로 "저는 모든 형태의 전쟁을 양심적으로 거부합니다"라고 쓸 것을 조언합니다.

회계 연도 2022년의 국방수권법에는 미국 여성들도 징병을 등록하라는 조항이 거의 들어갈 뻔했는데, 2021년 12월에 그 조항이 삭제됐습니다. 아직까지는 여성이면 징병 등록 대상에 포함하지 않습니다. 그리고 나는 현행 징병 나이를 넘었습니다.

그렇다면, 나는 징병 등록 대상도 아닌데 왜 '병역거부선언'을 하는 걸까요?

나는 세계 곳곳에서 병역과 군사주의를 거부하는 선언을 했던 많은 여성들의 선례를 따릅니다. 여성이 징집되는 나라뿐만 아니라 그렇지 않은 나라에서조차 여성들은 군사주의 체계의 일부이기에, 여성들은 양심적 거부 선언을 했고, 군대에 저항했습니다.

1991년 프랑스 라르작에 모인 반군사주의 여성들은 선언에서 "마초(macho) 이념, 군복의 위세, 폭력에 대한 숭배, 계급제와 권위를 사용해 가부장제 모델을 재현함으로써 남성이 여성을 지배하는 것을 영속하게 하는 군대"를 규탄했습니다. 군대가 여성에게 구조적 폭력을 행사하기에, 여성들에겐 그 폭력 체제를 거부하고 끝내려는 목소리가 중요합니다.

터키에서 2004년 5명의 여성들이 병역거부 선언을 한 것에 고무된 페르다 울케는 2005년 "군사주의적 사고는 군대의 담장 안 뿐만 아니라 일상을 지배하는 군사적 세계를 형성한다. 이 세계에서 여성은 모욕받고 무시된다"며 자신 또한 병역거부를 선언했습니다.

몇 년 뒤 콜롬비아에서 에스테파니아 고메즈 바스케스도 "그러므로 나는 거부합니다. 전쟁 자체보다도 무관심과 절망을 거부하고, 그저 방관하며 행동하지 않는 이들을 거부하며, 말은 잘하지만 어떤 행동도 하지 않는 이들을 거부합니다"라고 선언했습니다. 군대의 직접 폭력 이외에도 군사화한 문화 또한 남성 폭력을 정상화하고 여성들을 대상화합니다. 이러한 문화는 성별과 관계없이 '저항하지 않는 모든 이'에 의해 유지됩니다.

2018년과 2019년에 한국에 사는 친구들이 '여성 (혹은 생물학적인 여성으로 분류된 사람) 병역 거부 선언'을 했습니다. 이들은 군대에 대한 담론에서 여성의 목소리가 무시되는 상황과 가부장제에 대한 지지를 철회하는 일의 중요성을 강조했습니다. 이들은 여성뿐만 아니라 퀴어, 장애인, 비국민도 징병 대상이 아님에도, 혹은 징병 대상이 아니라는 이유로 군대 체제에 의해 (여성들과 비슷한) 영향을 받는다는 사실을 밝히기도 했습니다.

나는 '누가 징병 대상인지, 아닌지'라는 기준으로 사람들을 분류하고 분열하는 행위를 거부합니다. 왜냐하면 이는 어떤 사람들에게는 권력을 주고 어떤 사람들은 무력화시키기 때문입니다.

나는 징병에 대한 거부뿐만 아니라, 군대를 유지하는 모든 행위를 거부합니다. 근본적인 변화를 가져오기 위해 우리는 모든 군대 체계에 대한 지지를 철회해야 합니다. 우리는 폭력과 지배가 아닌 존중, 정의, 그리고 협력에 기반한 사회를 만들어야 합니다.

▲지난 2018년 강정평화학교 참가자들과 함께 알뜨르 비행장을 찾았습니다. 해당 자리의 기지 공사와 전쟁에 대한 역사를 배우고, 모슬봉 레이더 기지를 바라봤습니다. ⓒ카레

내가 전쟁과 군사주의를 거부하게 된 배경과 동기에 대해 이야기를 나누고 싶습니다. 나의 할머니 두 분의 조상들은 유럽에서 종교적 박해를 받고 난민으로 미국에 갔습니다. 이 조상들 중에 병역을 거부하는 재세례파 신자들이 계셨는데, 그들은 펜실베이니아주의 미 원주민들이 땅을 빼앗긴 곳에 살게 되었습니다. 소극적이나마 미 원주민 대학살로 인한 이익을 받은 셈입니다.

할아버지 두 분은 모두 한국 전쟁 때 (미국에서 주둔한) 미 육군 군인이었는데, 나는 어렸을 때 2차 세계대전 때 병역거부를 했던 외할아버지의 형에 대한 이야기를 들으며 자랐습니다. 부모님은 재세례파 봉사단체 메노나이트 중앙 위원회(MCC)에서 서로 만났고, 부모님의 평화 신학에 대한 경험이 그들의 사상과 우리 가족의 가정환경에 영향을 주었습니다. 

고등학교 때 수단 다르푸르 지역의 대학살 이야기를, 그리고 우간다에서 신의 저항군(Lord’s Resistance Army)에 의해 납치되어 어린이 군인이 된 이들의 이야기를 들었습니다. '이 시대에 아직도' 그런 비극이 일어난다는 것에 충격을 받았습니다. 대학교를 졸업하고 쥬빌리 공동체에서 살면서 난민들과 알게 되었을 때, 전쟁은 그것이 일어나기 전에 막아야 한다는 것을 확신했습니다.

쿠데타를 이끌고 학살과 고문을 자행했던 남미 군인들을 훈련시키는 스쿨 오브 디 아메리카스(SOA) 반대 시위에 참석했습니다. 전쟁에 쓰이는 세금을 내지 않기 위해 단순한 삶을 선택하는 사람들로부터 영감을 받았습니다. 한국 제주도 강정의 인상적인 운동, '해군기지 반대 평화운동'에 대해 알게 되었고, 이후 강정에 이사 와서 동료들과 창의적인 비폭력 행동과 평화 문화를 만드는 여러 활동을 실천하고 있습니다.

나는 양심적으로 모든 형태의 전쟁을 거부하는 사람으로서 내가 누리는 불평등한 특권들도 거부합니다. 시스젠더 이성애자 백인 중산층이자 모국어로 영어를 쓰는 미국인으로서의 특권 덕분에 엄청난 혜택을 받았습니다. 모두가 평등하게 혜택을 누릴 수 있는 세상을 만들기 위해 의식적으로 노력하겠습니다. 하지만, 여성이라서 군 복무를 신청하지 않아도 된다는 점은 사실상 차별에 기반한 ‘의심스러운 혜택’입니다. 다만 '빈곤에 의한' 징병 압박을 받지 않은 특권이 있었음을 인정합니다. '빈곤 해결을 위한 입대'라는, 군대의 이 전략을 무위로 만들기 위해 대학 학자금 빚 없애기 운동과 평등 의료 운동 등을 지지하겠습니다.

나는 군대의 모든 폭력을 거부합니다. 군대가 외적으로 저지르는 폭력을 거부합니다. 폭탄, 드론 폭격과 기아, 질병에 의해 일어나는 민간인 살인, 전쟁 무기를 통해 행해지는 강간, 집과 기지 주변 혹은 (전투) 현장에서 일어나는 성폭력, 환경 파괴와 오염, 원주민과 소수민족을 표적 삼는 비민주적인 땅 강탈 등의 폭력들 말입니다.

이런 폭력들은 우연이 아니라고, 군대가 내재하는 필연이라고 나는 생각합니다.

나는 군대 내의 성 불평등과 해로운 버전의 남성성으로 인해 일어나는 폭력, 이를테면 강간, 성폭행, 성추행, 성별과 성적 취향에 대한 차별, 폭력적 신고식 등을 포함하는 군대 내의 폭력을 거부합니다.

나는 도덕적 상처와 트라우마, 혹은 자살까지 유발하는 군대의 폭력적이고 인간성을 말살시키는 훈련과 명령을 거부합니다.

나는 군대 제도와 군사주의를 거부합니다. 무력과 위협으로 극소수의 엘리트에게 권력을 집중시키고, '힘이 곧 정의'라는 이데올로기를 촉진시키며, 세계 불평등과 인권침해와 환경 착취를 악화 시키는 이 체계를 거부합니다.

나는 정부를 부패시키고, 우리의 생명 유지를 위해 필수적인 자원을 빼앗아 가는 군산 복합체를 거부합니다.

나는 폭력을 숭배하고 불평등을 정상화하고 돌봄의 가치를 경시하고 지배를 촉진하는 군사주의 문화를 거부합니다.

나의 신앙을 따르기 위해 나는 군대를 거부할 수밖에 없습니다. 나는 그리스도인으로서 최고의 힘이 사랑이라 믿습니다. 나는 군대의 힘이 아닌 하나님을 믿으며, 언젠가 모든 것이 변혁될 것이고 모든 곳에 평화가 찾아올 것이라는 희망을 품고 있습니다.

평화를 만드는 사람으로서 나는 진정한 안보가 (환경과의 조화로운 관계를 포함한) '사람 안보'라고 믿습니다. 안전은 빈곤으로부터의 자유, 두려움으로부터의 자유와 존중받을 자유를 통해 만드는 것이라고 믿습니다. 또한 나는 페미니스트로서, 가부장제를 비롯한 모든 지배와 착취를 끝내야 한다고 믿습니다.

나는 군사주의에 저항하고, 그에 대한 대안으로써 평화를 추구하고 비전을 따르는 삶을 선택하겠습니다. 긍정적인 변화를 만들기 위해 적극적인 비폭력 평화 행동으로 투쟁하겠습니다.

나는 생명과 평화를 소중히 여기는 소박한 생활을 선택하겠습니다. '전쟁 세금'에 저항하겠습니다. 현재는 미국에서 소득세를 내야 하는 기준 이하로만 돈을 벌며 살고 있습니다.

나는 의식적 소비자로서, 억압적인 산업을 보이콧하고 노동권과 환경을 지키는 산업을 선택하도록 노력하겠습니다.

나는 건강하고 서로 지지하는 관계, 자연과의 조화, 평생에 걸친 새로운 배움, 축제와 공동체로 이루어진 풍부한 삶을 선택하겠습니다.

평화는 이렇게 이루어집니다.

<영문 글>

"Kaia ‘Curry’ Vereide got involved in peace activism when she realized the need to stop wars before they begin while living at a community that welcomed refugees. Now she is seeking the way of peace in the face of militarization in Gangjeong Village."

"I am conscientiously opposed to war in any form"

The Center on Conscience and War counsels young American men who conscientiously object to military conscription to write between the lines of their Selective Service registration- if they comply with the law to register- “I am conscientiously opposed to war in any form” in preparation for a draft. The Fiscal Year 2022 National Defense Authorization Act (NDAA) nearly included a provision requiring American women to register for the draft, but the provision was dropped in Dec. 2021. For now, women are not included in the draft registration and I am also past the current draft age. So, why am I making this statement when I don’t even have to register for the draft?

I follow the example of many women from around the world who have made declarations of conscientious objection and opposition to the military, not only in countries where women are conscripted, but also in other countries where women are nonetheless part of the system of militarism.

In 1991, antimilitarist women at Larzac, France made a statement denouncing "the army as a means of perpetuating the dominance of women by men, for the macho ideology, the prestige of the uniform, the cult of violence, the reproduction of the patriarchal model by authority, by hierarchy." Because the military exerts systemic violence against women, it is important for women to speak out to reject and end this system of violence. Inspired by five women who declared their conscientious objection in Turkey in 2004, Ferda Ulker also declared her objection in 2005, "Militarist thought does not only remain within the border of the military, but it envisions a military world that affects daily life. And in this world, women are degraded and disregarded." A few years later in Colombia, Estefanía Gómez Vásquez declared, "Therefore I reject, more than the war, indifference and desperation and those who merely stand by and do nothing or those who are happy to talk without actually doing anything." Beyond the direct violence of the military, militaristic culture also normalizes male violence and objectifies women, and this culture is sustained by all, regardless of gender, who do not actively oppose it.

In 2018 and 2019 friends of mine in Korea also made statements of conscientious objection to military service as women (or, as people who have been biologically categorized as women). They emphasized how the voices of women are excluded from discussion regarding the military, and the importance of withdrawing support from the patriarchal system of the military. They pointed out how not only women but also those who are queer, disabled, and non-citizens face similar effects of the military system despite and due to exclusion from the draft.

I object to the division of people according to categories of draftable and non-draftable, because it confers power to some and disempowers others. I object not only to conscription but to any act that sustains the military. I believe that we must withdraw support from the whole military system in order to bring about radical change, to build a society which is not based on violence and domination but on dignity, justice, and cooperation.

I would like to share about the background and reasoning behind my objections to war and militarism. My grandmothers were descendants of refugees who fled from Europe due to religious persecution. Some of these ancestors were Anabaptists, who opposed military service, but they benefitted passively from the genocide of American Indians when they settled on stolen lands in Pennsylvania. Both of my grandfathers were in the US Army during the Korean War (stationed in the US), but I also grew up hearing stories of a great uncle who was a conscientious objector during World War II. My parents met while volunteering with an Anabaptist organization (Mennonite Central Committee), and their experience with peace theology continued to influence their thinking and our family life.

In high school when I learned about the genocide in Darfur, Sudan, and the child soldiers kidnapped by the Lord’s Resistance Army in Uganda, I was shocked that such tragedies were 'still happening today.' While living at Jubilee Partners community after university, I built friendships with refugees and became convinced that war must be prevented before it starts. I joined protests against the School of the Americas (SOA) which trains soldiers from Latin America who have gone on to lead coups, and commit massacres and torture. I was inspired by people choosing to live simply in order to not pay taxes for war. I learned about the peace movement against the navy base in Gangjeong and was impressed, so I moved to Gangjeong and am practicing creative nonviolent actions and making a culture of peace with my colleagues.

As a conscientious objector to all forms of war I also reject unequal privilege. As a cisgender heterosexual white middle class American who speaks English as a mother language I have benefitted from enormous privileges, and I seek to consciously work towards building a world where everyone can enjoy equal benefits. However, not having to register for selective service because I am a woman is a questionable privilege which is in fact based in discrimination. I recognize that I was privileged to feel no pressure to succumb to the "poverty draft", and will work towards undermining this strategy of the military by supporting movements to eliminate college debt and make healthcare equal.

I reject all forms of violence by the military. I reject the violence projected outward by the military: killing of civilians by bombings, drone strikes, starvation and disease, the use of rape as a weapon of war, sexual violence against civilians at home, around bases and in the field, destruction and poisoning of the environment, and undemocratic expropriation of land often targeting indigenous peoples and minorities. I recognize that this violence is not accidental, but inherent to the nature of the military. I object to the violence which is fed by gender inequality and a toxic version of masculinity in the military. This includes rape, sexual assault, sexual harassment, gender and sexual orientation discrimination, and violent hazing. I object to violent, dehumanizing training and orders which lead to moral injury, trauma, and suicides.

I reject the military system and militarism. I object to this system which uses military force and threats to concentrate power in the hands of an elite few, promotes the ideology that "might makes right" and intensifies global inequality, violations of human rights and the exploitation of the environment. I object to the Military Industrial Complex which corrupts the government and robs us of resources that are essential for life-supporting purposes. I object to the culture of militarism which glorifies violence, normalizes inequality, devalues care and promotes domination.

To live in accordance with my beliefs I must object to the military. As a Christian, I believe in the ultimate power of love, I trust in God and not in the power of armies, and I have hope that all things will be transformed and peace will be everywhere. As a peacemaker I believe that genuine security is 'human security' (including harmony with the environment). Security is built through freedom from want, freedom from fear, and freedom to live in dignity. As a feminist I believe that patriarchy and all oppression and exploitation must be ended.

I choose to orient my life according to an alternative anti-militaristic pro-peace vision. I will struggle to make positive change through methods of active nonviolence. I will choose a simple lifestyle, valuing life and peace. I will resist paying war taxes. For now I choose to live below the American taxable income level. I will try to be a conscious consumer: boycotting oppressive industries, supporting workers rights and the environment. I choose the riches of healthy, supportive relationships, harmony with nature, lifelong learning, celebration, and community. These are the makings of peace.

이 기사의 구독료를 내고 싶습니다.

+1,000 원 추가
+10,000 원 추가
-1,000 원 추가
-10,000 원 추가
매번 결제가 번거롭다면 CMS 정기후원하기
10,000
결제하기
일부 인터넷 환경에서는 결제가 원활히 진행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kb국민은행343601-04-082252 [예금주 프레시안협동조합(후원금)]으로 계좌이체도 가능합니다.
프레시안에 제보하기제보하기
프레시안에 CMS 정기후원하기정기후원하기

전체댓글 0

등록
  • 최신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