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기 '진실·화해를 위한 과거사 정리위원회(진실화해위)'가 '장준하 의문사 사건' 조사에 나선다.
장준하 의문사 사건에 대한 국가기관의 진실 규명 시도는 1, 2기 의문사진상규명위원회(의문사위)와 1기 진실화해위에 이어 네 번째다. 과거 세 번의 조사는 중요 참고인이 출석을 거부하고 국정원이 자료 제출을 거부해 진실규명 결정을 내리지 못하고 중지됐다.
지난 7일 국정원이 "2기 진실화해위에 충실하게 자료를 제공해 진실규명 및 명예회복에 적극 협조"해 과거 수사과정 인권침해 피해자에 대한 사과를 완성하겠다고 한 가운데, 이번 조사에서는 진실 규명이 이뤄질 수 있을지 결과가 주목된다.
2기 진실화해위는 22일 "제13차 위원회를 열고 장준하 의문사 사건 등 625건의 진실 규명 조사 개시 결정을 의결했다"고 밝혔다.
조사 개시 결정 이유에 대해서는 "의문사위와 1기 진실화해위 등의 조사 결과, 장준하의 사망이 단순 추락사로 보기 어렵고 사망 과정에 타살 및 공권력이 관여했을 가능성이 높다"고 설명했다.
장준하 선생은 일제시대에 광복군에서 활동했다. 광복 후에는 1953년 <사상계> 창간 등 언론 활동과 민주화 운동을 했다.
박정희 정부 시절 유신 반대 투쟁에 앞장섰던 장 선생은 1975년 경기 포천군 약사봉에서 시신으로 발견됐다. 당시 경찰과 검찰은 유일한 목격자 김용환 씨의 진술을 바탕으로 장 선생이 실족사했다고 발표했다.
이후 1, 2기 의문사위와 1기 진실조사위가 '장준하 의문사 사건'의 조사에 나섰지만 진실 규명 결정은 내리지 못했다.
단, 2013년 '장준하 선생 사인 진상조사 공동위원회(공동위원위)'는 이정빈 서울대 의대 명예교수의 유골 감식 결과를 토대로 "(장 선생의) 두개골 함몰은 추락에 의한 골절이 아닌 외부 가격에 의한 손상으로 가격을 당해 즉사한 뒤 추락했을 것으로 추정된다"고 발표했다.
공동위원회는 2012년 12월 고 김영삼 전 대통령과 고 이희호 여사가 상임고문을 맡았던 '장준하 선생 암살의혹 규명 국민대책위원회'와 '민주통합당 장준하 선생 의문사 진상규명위원회'가 공동으로 구성한 단체였다.
2기 진실화해위원회는 이밖에 △ 전남 해남군 군경에 의한 민간인 희생사건(한국전쟁 시기) △ 보안사의 불법구금 인권침해 사건(1973) △ 순직 경찰공무원의 병사자 조작 의혹 사건(1957) 등에 대해서도 조사를 개시했다고 밝혔다.
지난 16일 기준 2기 진실화해위에 접수된 진실규명 신청 건수는 5130건, 신청인은 9225명이다. 진실규명 신청 기간은 2022년 12월 9일까지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