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녹색평론>이 창간된 지 만 30년이 돼가지만 김종철은 아직도 한국 사회에서 '외로운 예언자'에 머물러 있다고 나는 생각한다. 지구생태계가 처한 위기상황을 김종철만큼 절실하게 느끼는 사람이 소수에 불과하다는 얘기다, 지구 위 뭇 생명의 공생공락을 위해서는 근대 산업문명이라는 기존의 지배적 생활방식을 탈피해야 한다고 깨달은 사람은 더더욱 적다.
예컨대 정부는 지난해 10월 고(故) 김종철에게 "<녹색평론>을 통해 근대문명에 대한 근본적 성찰과 새로운 대안을 모색했다"는 이유로 은관 문화훈장을 수여했지만, 현재 대한민국을 이끌겠다고 나선 대선 주자들 중 기후위기를 핵심 정치과제로 꼽은 후보는 단 한 명도 없다. 유럽이나 미국에서는 지구 최대의 위기상황으로 받아들여지는 기후위기의 심각성을 한국의 유력 정치인들은 전혀 인지하지 못하고 있다는 반증이다.(☞ 관련 기사 : <프레시안> 7월 8일 자 [장석준 칼럼] '가장 위험한 시대'에 나온 '허깨비' 주자들)
지난 30년간 김종철의 외침을 대부분의 한국인이 그저 '듣기 좋은 얘기, 하지만 현실성은 없는 주장'으로 받아들였다는 증거이기도 하다. <녹색평론> 100호(2008년 5/6월호) 좌담에서 "<녹색평론>은 아직도 이 사회의 변방에 있는 아주 조그만 목소리"라는 김종철의 고백은 정확한 자기진단이었고, 이는 지금도 크게 달라지지 않았다고 생각된다. 권력집단뿐만 아니라 주류 지식계에서도 <녹색평론>은 여전히 변방에 머물러 있다.
예컨대 2008년 당시 김종철은 <녹색평론>을 잘 안다는 독자들 사이에서도 이 잡지가 지나치게 이상주의적, 심지어 근본주의적이라는 '오해'가 계속되는 데 대해 다음과 같이 답답함을 표시했다.
이러한 '오해'는 <녹색평론> 독자들뿐만 아니라 김종철과 가까운 지인들에게도 있는 것 같다. 김종철과 함께 20년 이상 영남대 교수로 일했고, <녹색평론> 필자로도 참여했던 염무웅, 정지창 두 분의 발언을 살펴보자.
염무웅 교수는 자신의 산문집 <지옥에 이르지 않기 위하여> 발간과 관련한 지난 7월 2일 <한겨레> 인터뷰에서 다음과 같이 말한다.
다음은 정지창 교수의 김종철 추모 글.
원로 지식인의 발언을 비판하는 것이 무척 조심스럽기는 하지만, 김종철이 "소농 위주의 자급자족 사회" "(염무웅)나 소농 중심의 농본사회"(정지창)를 추구했다는 규정은 김종철 사상을 지나치게 단순화한 것이거나, 그의 사상의 진화 과정을 간과한 때문으로 풀이된다.
우선 김종철은, 적어도 내가 읽은 김종철은, '농적(農的) 순환경제', 그리고 소농의 중요성을 강조하긴 했지만 "소농 위주의 자급자족 사회"를 대안으로 내세운 적이 없다. 일례로 그는 1998년 5월 26일 부산 한살림 강연('보살핌의 경제'를 위하여')에서 다음과 같이 말했다.
김종철이 줄곧 농업을 강조한 것은 식량 안보라는 이유와 함께 농업을 통한 자연세계와의 교감이 사람과 사람 사이의 우애와 연대, 그리고 인간 내면의 평화에 중요하다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특히 현재 남한의 식량 자급률은 25% 미만이다. 그런데 우리가 선진국으로 떠받드는 서유럽과 미국은 식량 자급률 100% 이상을 유지하고 있으며, 무역협상 때마다 자국의 농업보호를 위해 격렬하게 대립해 왔다는 사실은 기이하게도 한국의 정책당국자나 지식인들에게 외면당하고 있다.
둘째, 2008년 9월 미국발 금융위기 이후 김종철은 치열한 모색 끝에 현대 자본주의 문명의 핵심은 금융권력이며, 자본의 독재를 벗어나기 위해서는 기본소득과 은행의 공공화가 핵심이고, 이를 실현하려면 시민의회 등 시민들의 참여가 보장되는 직접민주주의가 도입돼야 한다는, 나름대로의 해법을 마련했다.
2011년 11월 <녹색평론> 20주년 인터뷰에서 김종철은 다음과 같이 말했다.
2008년은 김종철의 삶과 사상에서 하나의 전환기였다. 2000년 이후 그의 삶의 궤적을 간략하게 살펴본다.
* '녹색평론 김종철 약전'은 앞으로 1~2회 연재한 후 끝내고, 이후 '녹색평론 김종철 읽기' 연재로 이어갈 계획입니다. <녹색평론>이나 김종철 선생에 얽힌 일화나 추억, <녹색평론>을 통해 배웠거나 느끼고 깨달은 바가 있으신 분은 inkyu@pressian.com으로 글을 보내주시기 바랍니다. '녹색평론 김종철 읽기' 연재를 통해 보다 보다 인간적인 사회를 위한 생각과 느낌을 서로 나눠 가지시길 기대합니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