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인화면으로
불안정 노동자로 사회 생활 시작하는 코로나 시대 청년들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
  • 밴드 공유하기
  • 인쇄하기
  • 본문 글씨 크게
  • 본문 글씨 작게
정기후원

불안정 노동자로 사회 생활 시작하는 코로나 시대 청년들

[청년, 평등을 말하다 ③] '연결'과 '권리'를 꿈꾸는 청년 프리랜서 노동자의 노동 이야기

모두가 청년세대를 말한다. 혹자는 반 문재인 정부 투쟁의 화신으로, 혹자는 정규직 노동조합 기득권의 희생양으로, 혹자는 새로운 정치의 희망으로 말한다. 하지만 청년 세대가 살아가고 있는 구체적인 현실을 말하는 이들은 적다. 전문대학을 졸업하고 비정규직 노동자로 취업해 산업재해로 목숨을 잃은 김용균의 죽음은 상징이 아닌 청년세대의 일상이다.

신자유주의가 낳은 압도적 자본 우위와 전면적 불안정 노동의 시대, 청년들이 겪었던 불평등은 노동의 위기와 맞닿아 있다. 코로나19가 대유행하던 올해 3월에만 청년 여성 비정규직 노동자 12만 명이 해고됐다. 이들이 한꺼번에 겪었던 해고와 배제의 경험을 말하며 청년과 비정규직과 여성과 노동을 각각 따로 떼어놓고 말할 수는 없다. 모든 것은 연결되어 있다.

위와 같은 문제의식에서 '2021 함께살자 청년·학생 연대 실천단'은 131주년 노동절을 맞이해 "우리는 노동으로 연결되어 있다"라는 슬로건을 내걸고 오는 30일 전야제를 개최한다.

실천단은 네 편의 글에서 여성, 소수자, 비정규직 각각 다른 이름을 한 이들이 왜 이곳에 모여 서로 연결되어 있는지, 또 무엇으로 연결되어 있는지 말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이루려는 목표는 평등에 입각한 새로운 청년의 정의를 말하는 것이다.

노동권 없는 프리랜서 노동자는 갑질과 착취에 쉽게 노출된다

나는 프리랜서 영상 노동자다. 내 작업은 '외주'로 시작해서 외주로 끝난다. 말부터가 일을 받을 때 '외주'를 받는다고 표현한다. 무수히 많은 기업의 영상을 만들지만, 그 어느 곳에 소속되어 있지도 못하다. 그러니 당연히 노동자로서의 권리를 찾기도 힘들다.

최근 청년 일자리가 줄어들자 신규 일자리로 플랫폼 노동이 대세인 것처럼 언급된다. 하지만 플랫폼 노동자는 대부분 노동자성을 인정받지 못하고 있다. 프리랜서와 마찬가지로 '외주'화 된 노동을 하고 있기 때문이다. 노동3권이 없는 신규 일자리 양성이 마치 대단한 성과인 것처럼 뉴스에 보도될 때, 어처구니가 없다.

프리랜서 노동자는 노동자성을 인정받지 못하지만, 그 누구보다 노동자로서의 불합리함을 겪는다. 노동자성이 인정되지 않기에 사용자와 노동자 간의 권력관계가 굳건해지기 때문이다. 다시 말해, 노동권을 박탈당한 나는 그 누구보다 자본가와 노동자가 서로 다른 위치에 서있음을 깨닫는다.

프리랜서 노동자들이 모인 커뮤니티의 주요한 게시글은 갑질에 대한 것이다. 프리랜서 노동자의 불안정한 지위를 이용한 갑질이 빈번하게 발생하기 때문이다. 무리한 지시를 한다거나, 추가 노동에 대한 보상을 받지 못한다거나, 인격적인 모독을 당한다거나, 프리랜서 노동자들은 먹고 살기 위해 일을 하지만, 일을 받을 때 또 무슨 일을 당할지 두렵다.

특히 젊은 프리랜서 노동자들을 노려 착취를 시도하는 기업도 많다. 그럴 때 프리랜서 업계에서 평판이 낮아지면 일감을 받지 못하기 때문에 별다른 저항도 하지 못한다. 사용자는 프리랜서 노동자들이 노동조합으로 뭉치기에는 잘게 흩어져 있는 점을 이용한다. 오히려 노동자간의 경쟁을 과열시켜 서로 '가격'을 깎도록 만든다. 프리랜서 업계에서 경쟁력은 더 적은 돈을 받고 일할 수 있는 '생존력'에 있다.

불안정 노동자는 노동자의 '정체성'이 아닌 '권리'가 없다

많은 이가 청년과 노동자를 떨어뜨려놓고 말한다. 하지만 대부분의 청년이 처음 노동시장에 진입할 때 불안정 노동자의 위치에 놓여 있다. 사실 청년이 노동자의 정체성으로부터 멀어진 게 아니라, 노동자의 권리로부터 멀어진 게 아닐까? 그래서 헌법이 보장한 노동3권을 통해 삶의 질을 높이기보다는 비트코인이나 주식투자, 부동산 투자와 같은 노동 외의 수익을 추구하는 것 같다.

결국 청년과 노동 사이의 거리를 벌여 놓은 것은 비정규직, 불안정 노동이다. 사회가 청년을 프리랜서로, 플랫폼 노동으로 각각 다르지만 노동자성을 인정하지 않는 일터로 내몰고 있다. 그런데 이제 와서 청년이 노동자의 정체성과 멀어졌다고 말하는 것은 원인 진단을 못하는 것이다. 오히려 이 비정규직 제도를 만들었던 기성 사회가 청년과 노동 사이의 거리를 벌여놓은 주범이다. 청년이 이기적이라서, 노동자를 혐오해서가 아니다.

코로나 이후 더 큰 위기 처한 청년 불안정 노동자, '연결'을 꿈꾸다

나는 묻고 싶다. 프리랜서는 정말 '프리'한가? 사실 전혀 그렇지 않다. 안정적인 일감이 없다보니 매일 생계가 불안하고, 당장의 수익을 위해 초과노동을 해야 하며, 당연히 일상의 주기도 불규칙하다. 결국 수익에 의해 내 일상의 시간이 좌지우지 되는 것이다. 이것은 자유라기보다는 생존을 위한 사투에 가깝다.

코로나19 이후 가장 먼저 해고된 것은 프리랜서 노동자들이다. 그들은 이미 그 어떤 계약도 맺지 않았기 때문에 해고되지 않아도 해고된 상태였다. 무기한 실직과 임금체불로 프리랜서 노동자들은 사회안전망의 부재 속에서 허우적댔다. 나는 그 풍경을 보며 가난의 공포를 맛보았다. 언제라도 사회에서 배제될 수 있다는 공포감은 내가 더 사용자에게 친절하게끔 만들었다.

아마 이는 코로나19 막 노동시장에 진입한 청년들이 대부분 겪었을 일일 것이다. 청년실업률은 역대 최고점을 찍었고, 특히 비정규직 청년들은 대량해고 되는 등 위기의 직격탄을 맞아 청년 자살 위험도가 코로나19 이전보다 10배가 증가했다. 코로나19 우울 원인 설문조사에서 51%의 청년들이 실질과 임금삭감으로 꼽은 것은 이를 증명한다.

코로나19로 고립된 상황에서 4월 30일 "우리는 노동으로 연결되어 있다"라는 이름으로 노동절 전야제를 개최한다. 노동자들의 힘은 연결에서 나온다. 나는 사용자에게 계속 착취를 당하며 내가 노동자임을 절감했다. 이제는 연결된 노동자의 힘을 통해 내 노동을 자랑스럽게 여기고 싶다.

이 기사의 구독료를 내고 싶습니다.

+1,000 원 추가
+10,000 원 추가
-1,000 원 추가
-10,000 원 추가
매번 결제가 번거롭다면 CMS 정기후원하기
10,000
결제하기
일부 인터넷 환경에서는 결제가 원활히 진행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kb국민은행343601-04-082252 [예금주 프레시안협동조합(후원금)]으로 계좌이체도 가능합니다.
프레시안에 제보하기제보하기
프레시안에 CMS 정기후원하기정기후원하기

전체댓글 0

등록
  • 최신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