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 장관은 19일 서울 도렴동 외교부 청사에서 열린 취임식에서 "(북한의) 도발에는 단호히 대응하되, 제재와 대화를 모두 동원해 북한의 비핵화를 이끌어 내야 한다"면서 "갈수록 고도화되는 북핵과 미사일 문제는 우리가 주인의식을 갖고 능동적으로 헤쳐 나가야 한다"고 밝혔다.
취임식 이후 기자들과 만난 강 장관은 지난 15일 6.15 남북정상선언 17주년 기념식에서 문재인 대통령이 "북한이 핵·미사일 도발을 중단하면 북한과 조건 없이 대화하겠다"는 입장에 대해 "북한의 비핵화 의지가 드러나야 본격적인 대화를 할 수 있다는 뜻"이라며 "대통령이 늘 하던 말과 같은 맥락이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인사 청문회 과정에서 북핵 해결을 위한 특사를 북한에 보내는 데 긍정적인 입장을 취한 것과 관련해 강 장관은 "북핵 해결을 위해 고려해볼 수 있는 방안"이라면서 "모든 조치는 관계부처, 청와대, 미국 등과 긴밀한 공조와 협의 하에서 이뤄져야 한다"고 답했다.
문정인 통일·외교·안보 특별보좌관이 최근 "북한이 핵과 미사일 활동을 중단하면 미국의 전략자산 전개를 포함한 한-미 연합군사훈련 규모 축소를 미국과 논의할 수 있다"고 밝힌 것과 관련, 강 장관은 "특보의 개인적 사견"이라고 선을 그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한국의 사드(THAAD‧고고도 미사일 방어체계) 배치가 지연되고 있는 것에 격노했다는 보도에 대해 강 장관은 "상대국 정상이 한 말에 대해 제가 논평하기는 적절치 않다"면서도 "(양국) 정상 간 통화와 교류가 많았다. 양측이 유대감과 친밀함, 공감대를 가지고 있다"고 답했다.
유엔의 북한 인권 결의안에 대해 강 장관은 "인권을 전문으로 하고 한국에 대한 국제사회의 기대를 알고 있는 제 입장에서는 기본적으로 2008년 이후 (한국 정부가) 찬성해왔던 기조를 유지해야 한다고 생각한다"고 밝혔다.
북핵과 함께 주요 현안인 일본군 '위안부' 합의와 관련해 강 장관은 "과거사는 과거사대로 협의해 나가지만 양국 관계의 다른 부분들은 미래 지향적으로 발전해 나가야 한다"고 밝혔다.
그는 "한 이슈에 양국 관계를 규정짓는 것은 맞지 않다. 위안부 문제와 관련해서는 일단 저희의 공식적인 협의 및 분석이 있어야 할 것 같다"며 "이를 기본으로 일본과 대화 및 소통을 지속해야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강 장관이 위안부 피해자들을 만나고 이들이 강 장관 임명을 지지한 것이 외교 현장에서는 부담으로 작용할 수 있지 않느냐는 지적에 대해 그는 "그렇다기 보다는 피해자분들의 기대라고 생각한다"면서 "한일 관계 전반을 관리해 나가야 하는 외교부 장관으로서의 역할도 있다"고 말했다.
한편 강 장관의 자녀가 미국에서 한국으로 국적을 정리했느냐는 질문에 강 장관은 "절차를 밟고 있는 중이다. 미국 측으로부터 관련 서류를 받아서 국내 절차를 시작하고 있다"고 답했다.
외교적인 현안과 별도로 강 장관은 이날 취임사에서 "대기성 야근과 주말근무가 업무에 대한 헌신으로 평가되지 말아야 한다"면서 '24시간 깨어있는 외교부'를 강조했던 윤병세 전임 장관과 차별화된 모습을 보였다.
강 장관은 "외교부는 시시각각 급변하는 국제정세를 다루느라 시차도 없고, 명절을 챙기기도 어렵다. 일정한 퇴근시간도 없고, 주말에도 쉬기 어려운 것이 현실이다. 그러나, 그것이 당연시 되어서는 안된다"며 "근무 기강과 긴장감, 전문성은 반드시 유지하되, 업무와 개인생활 간 균형과 조화도 중시하고 격려하는 조직문화를 만들어 가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특히 그는 "우리부는 여성 직원들의 입부 비율이 정부 전 부처 중에서 가장 높다"면서 "일하면서 세 아이를 키운 저의 경험을 바탕으로 직장과 가정의 양립을 위해 조직 차원에서 지원할 수 있는 방안이 무엇인지 적극적으로 검토하겠다"고 밝히기도 했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