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인화면으로
"지리산에서 이렇게 행복할 줄 몰랐지?"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
  • 밴드 공유하기
  • 인쇄하기
  • 본문 글씨 크게
  • 본문 글씨 작게
정기후원

"지리산에서 이렇게 행복할 줄 몰랐지?"

[시골 생활] 사람 맛 나는 세상이 그립다!

세상에는 두 가지 사람이 있습니다. 시골 사람과 도시 사람. 이렇게도 분류할 수 있겠군요. 시골에서 살아봤던 사람과 시골에서 살아본 적이 없는 사람. 도시 생활에 왠지 모를 불편함을 느끼는 사람이 늘다 보니 이렇게도 나눠볼 수 있겠습니다. '시골 생활'을 꿈꾸는 사람과 그런 생각을 한 번도 해본 적이 없는 사람.

그런데 시골과 도시의 이런 대비 속에는 정작 '시골 생활'에 대한 고민이 빠져 있습니다. 다들 도시 생활이 얼마나 불행하고, 삭막하고, 불편한지는 얘기합니다. 하지만 정작 시골에서 '어떻게' 생활할지를 놓고서는 모든 게 막연하기만 합니다. 도시에서의 삶을 불평하면서 시골 생활을 언급하는 이들이 많은 데도, 정작 도시가 팽창하는 이유가 여기에 있는지도 모르겠습니다.

그래서 새해에 같이 읽어볼 첫 책으로 <시골 생활>(정상순 지음, 문학과지성사 펴냄)을 정했습니다. "서울에서 나고 자랐다 서른이 넘어 시골에서 '제멋대로' 살고 있는" 정상순 씨가 지리산 자락에 샅샅이 훑으며 그곳에서 터를 잡고 살아가는 사람들의 얘기를 담았습니다. 그래서 부제는 이렇습니다.

"지리산에서 이렇게 살 줄 몰랐지?"

시골 생활, 지리산 생활 따위에는 관심이 없다고요? 어쩌면 그런 분이야말로 이 책을 읽어야 할 1순위입니다.

이 책을 읽다 보면, '지리산 시골살이학교' 1기 졸업생 조현정 씨의 말이 실감이 납니다. "이건 공간의 문제가 아니라 나의 문제"라고. "시골이든 도시든 내 삶을 온전히 내가 살아낼 수 있는 힘을 키워야" 한다고. 이 책은 (혼자가 아니라) 서로 다독거리며 그렇게 힘을 키우는 사람들의 이야기입니다.

아직도 선뜻 책을 잡기가 망설여진다고요? 그래서 준비했습니다. <시골 생활>을 펴낸 문학과지성사와 함께 이 책을 먼저 읽은 이들의 독후감을 매주 수요일과 금요일 두 번에 걸쳐서 소개합니다.

다섯 번째 독후감의 주인공은 이상윤 사단법인 숲길(지리산 둘레길) 상임이사입니다. 지리산 둘레길 운영을 담당하며 조사, 설계, 정비, 안내 등 여러 사업을 맡아 진행하는 말 그대로 '지리산 사람'이죠. 지리산 사람의 입장에서 지리산 시골살이의 이모저모를 다시 확인하는 느낌은 어땠을까요?

▲ <시골 생활>(정상순 지음, 문학과지성사 펴냄). ⓒ문학과지성사
2016년 우리나라는 경제와 경쟁이 판을 치며 요동할 모양이다. 정치꾼들은 사람들이 잘 살 수 있도록 하겠다며 지지고 볶고 난리다. 잘 먹고 잘 사는 일, 절실하다. 개 사룟값보다 못한 쌀값, 그 농사를 짓는 농부의 입장에서 이 나라는 살 만한 나라가 아니다.

그럼에도 '시골살이'를 꿈꾸고 그 일을 나누는 이웃이 있다면……. 더욱이 그 생활이 재미지다고 자랑을 늘어놓으니 가슴이 따뜻해진다.

'지리산에서 이렇게 살 줄 몰랐지?'란 부제가 붙은 책 제목이 다소 도발적이다. 시샘하거나 부러워하라는 암시가 들어 있는 듯하다. 책을 펼치면 지리산 둘레의 사람 사는 이야기와 지리산이 주는 평온함 같은 진솔한 이야기가 묻어 있다.

지리산은 참 넓다. 3개 도 5개 시군을 끼고 있으니, 지리산 둘레를 잇는 '지리산 둘레길'은 300킬로미터에 이른다. 전남 구례, 전북 남원, 경남 산청·하동·함양. 제각기 지역적 특성을 가지고 있으나 지리산 아래 깃들어 사는 사람들은 그저 지리산 사람이다.

마을마다 지리산 둘레를 찾는 사람들이 고향의 정을 느끼고 갔으면 좋겠다. 길손들이 평화롭게 그저 무탈하게 지리산을 다녀가길 이곳 사람들은 빈다.

그런 이웃들이 어떻게, 어떤 꿈을 가지고, 어떤 모습으로 살아가는지 <시골 생활>에 잘 나타나 있다. 도시에서 저마다의 자리에서 배운 가락을 이웃과 나누는 개인, '지역살이'를 고민하는 기발한 상상력으로 만들어진 조합, 이웃과 더불어 문화를 나누며 관계 맺는 극단, 지역 도서관, 대안 학교, 생계와 나눔을 일치시켜 보려는 청춘 식당과 카페. 지리산에서 인간다운 삶을 실현하고자 하는 노력들이 곳곳에 묻어 있다. 지리산을 한 몸으로 모시고 활동하는 사회단체와 소개되지 않은 이야기들은 지도와 부록으로 정리해두었다.

<시골 생활>은 커뮤니티와 협동, 나눔의 실험 정신이 지리산을 배경으로 펼쳐지고 있음을 전한다. 지리산에서 온몸과 맘으로 약 15년을 몸·맘 앓이 하며 버티는 정상순의 현장 취재기이기도 하다.

왜 지리산에 든 사람들은 애써 자연과 이웃을 외면하지 못할까?

지리산이 그리워 환갑이 된 나이에 천왕봉이 보이는 덕산(경남 산청군 시천면)에 들어 후학을 가르치고 스스로를 겸허하게 사신 남명 선생의 "看山 看水 看人 看世(간산 간수 간인 간세, 산을 보고 물을 보고 사람을 보고 세상을 본다)"가 이 책 <시골 생활> 페이지마다 묻어 있다.

저자는 서문에서 이러한 다양한 움직임이 좌충우돌 실험일지 모른다는 고백을 했지만 이 책에 소개된 지리산 '시골살이'는 하나하나 소중한 기억들이다. 우리가 지구 공동체의 일원이 될 수 있는 방향을 담고 있기 때문이다. 다음 세대에도 '시골살이'는 계속 되어야 한다.

나 역시 '시골살이'의 일원으로 20여 년을 살고 있다. 섬진강을 사랑했고 4대강 사업이 펼쳐지기 전 섬진강 꽃길 지키기를 했다. 지금은 말끔한 4차선으로 길이 닦였고 차들이 쌩쌩 달린다. 멈출 수 있을까. 빠르고 더 많이 가지려는 속도를……. 여전히 숙제를 안고 산다. 그게 편하니까.

ⓒ문학과지성사

이 기사의 구독료를 내고 싶습니다.

+1,000 원 추가
+10,000 원 추가
-1,000 원 추가
-10,000 원 추가
매번 결제가 번거롭다면 CMS 정기후원하기
10,000
결제하기
일부 인터넷 환경에서는 결제가 원활히 진행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kb국민은행343601-04-082252 [예금주 프레시안협동조합(후원금)]으로 계좌이체도 가능합니다.
프레시안에 제보하기제보하기
프레시안에 CMS 정기후원하기정기후원하기

전체댓글 0

등록
  • 최신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