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인화면으로
시골 생활, 도시보다 힘들 줄 알았지?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
  • 밴드 공유하기
  • 인쇄하기
  • 본문 글씨 크게
  • 본문 글씨 작게
정기후원

시골 생활, 도시보다 힘들 줄 알았지?

[시골 생활] 지리산에서 살기란…

세상에는 두 가지 사람이 있습니다. 시골 사람과 도시 사람. 이렇게도 분류할 수 있겠군요. 시골에서 살아봤던 사람과 시골에서 살아본 적이 없는 사람. 도시 생활에 왠지 모를 불편함을 느끼는 사람이 늘다 보니 이렇게도 나눠볼 수 있겠습니다. '시골 생활'을 꿈꾸는 사람과 그런 생각을 한 번도 해본 적이 없는 사람.

그런데 시골과 도시의 이런 대비 속에는 정작 '시골 생활'에 대한 고민이 빠져 있습니다. 다들 도시 생활이 얼마나 불행하고, 삭막하고, 불편한지는 얘기합니다. 하지만 정작 시골에서 '어떻게' 생활할지를 놓고서는 모든 게 막연하기만 합니다. 도시에서의 삶을 불평하면서 시골 생활을 언급하는 이들이 많은 데도, 정작 도시가 팽창하는 이유가 여기에 있는지도 모르겠습니다.

그래서 새해에 같이 읽어볼 첫 책으로 <시골 생활>(정상순 지음, 문학과지성사 펴냄)을 정했습니다. "서울에서 나고 자랐다 서른이 넘어 시골에서 '제멋대로' 살고 있는" 정상순 씨가 지리산 자락에 샅샅이 훑으며 그곳에서 터를 잡고 살아가는 사람들의 얘기를 담았습니다. 그래서 부제는 이렇습니다.

"지리산에서 이렇게 살 줄 몰랐지?"

시골 생활, 지리산 생활 따위에는 관심이 없다고요? 어쩌면 그런 분이야말로 이 책을 읽어야 할 1순위입니다.

이 책을 읽다 보면, '지리산 시골살이학교' 1기 졸업생 조현정 씨의 말이 실감이 납니다. "이건 공간의 문제가 아니라 나의 문제"라고. "시골이든 도시든 내 삶을 온전히 내가 살아낼 수 있는 힘을 키워야" 한다고. 이 책은 (혼자가 아니라) 서로 다독거리며 그렇게 힘을 키우는 사람들의 이야기입니다.

아직도 선뜻 책을 잡기가 망설여진다고요? 그래서 준비했습니다. <시골 생활>을 펴낸 문학과지성사와 함께 이 책을 먼저 읽은 이들의 독후감을 매주 수요일과 금요일 두 번에 걸쳐서 소개합니다. '풀뿌리 정치학자' 하승우 땡땡책협동조합 공동대표가 세 번째 독후감을 썼습니다. 하승우 대표는 20년 이상의 수도권 생활을 정리하고 충청북도 옥천군으로 가족과 함께 이주해 한창 시골 생활에 적응 중입니다.

시골 생활, 도시보다 힘들 줄 알았지?

▲ <시골 생활>(정상순 지음, 문학과지성사 펴냄). ⓒ문학과지성사
지리산 종주를 하러 떠난 적은 있지만 지리산 사람들을 만나러 기차를 탄 건 2006년 가을이 처음이었다.

이 책에도 잠깐 언급되는 지리산권시민사회단체협의회와 지리산생명연대가 주최한 '지리산권 희망씨앗찾기'라는 공동 학습 프로그램에서 지리산 사람들을 만났다. 그 만남은 회의장에서 구례역 앞 작은 슈퍼, 산내면 삼거리호프, 섬진강 지리산문화제, 하동의 지리산포럼으로 이어졌고, 그러면서 이 책의 저자와도 허물없이 지내는 사이가 되었다.

그래서 이 책의 부제처럼 지리산에서 이렇게 살 줄 몰랐던 게 아니라 그렇게 살 줄 알았고, 나 역시 그렇게 살고 싶다는 욕망을 품게 되었다. 2014년, 20년 이상을 보낸 수도권 생활을 정리하고 아무런 연고도 없는 충청북도 옥천군으로 가족들과 이주할 수 있었던 건 지리산 사람들과의 만남이 없었다면 생각할 수 없는 일이었다.

아직은 읍내에 살지만 시골생활에 가까워질 수 있도록 조금씩 연습하고 있다. 연습의 첫 단계는 먼저 움직인 사람들의 호흡과 동작을 유심히 관찰하는 것이다. 이미 꽤 많은 사람들이 시골을 찾았지만 소수는 남고 대다수는 다시 도시로 떠났다. 홀로 와서는 쉽게 뿌리내리기 어려운 곳이 시골인데, 도시 사람들의 인식은 아직도 TV 드라마 <전원일기>나 <대추나무 사랑걸렸네> 수준이기 때문이다.

그런 점에서 지리산은 시골 생활을 연습하고 경험하기에 좋은 곳이다. 이 책에 잘 정리된 사례들은 혼자 끙끙대지 않아도 되겠구나, 하는 안심과 자신감을 준다. 더구나 저자는 시골 예찬론자가 아니라 "가끔, 아니 더 자주, 여기가 아닌 저기를 꿈꾸기도 했고 이것이 아닌 저것을 내 것으로 삼고 싶"(6쪽)었던 사람이고, 공동체란 "고착되고 정체된 그 무엇이 아니라 변화와 진화를 거듭하는 살아 있는 생명체"(10쪽)라고 믿는 사람이다. 그러니 믿고 얘기를 들어봄직하다(책날개의 저자 사진을 보면 이런 느낌을 받을 수 있다).

책을 보면 꽤 많은 사람과 공간들이 지리산을 둘러싸고 있다. 글 쓰고 연극하고 음식 만들고 농사짓고 서로 품을 나누고 신문을 만들고 카페와 문화 공간을 열고, 이런 곳이면 도시 생활에 비해 부족함이 없겠구나, 하는 생각도 든다. 엄청난 결단 없이도 시골 생활을 할 수 있을 것 같다. 책에도 원주민들보다는 '지리산으로 간' 사람들의 이야기가 많으니 외지인이 섞이기도 쉬울 것 같고.

하지만 지리산이 무릉도원은 아니다. 빨치산들이 몸을 숨겼던 역사를 품은 곳이자 그런 역사를 파묻을 개발 사업들이 호시탐탐 기회를 노리는 곳이 바로 지리산이다. 자기 역사를 지키고 외부의 삽질에 저항하려는 의도가, 그러기 위해 지리산의 다양한 실험들을 연결하려는 의도가 책 속에 숨어 있다.

그러니 마냥 낭만적으로 볼 일은 아니다. 그런 의미에서 시골 생활의 가능성을 더 깊이 파고들고 싶은 분께는 충청남도 홍성군의 홍동마을 사람들이 지은 <마을 공화국의 꿈, 홍동마을 이야기>(한티재 펴냄, 2014년)를 권한다. 그리고 시골 생활의 실상을 더 깊이 파고들고 싶은 분께는 제주도로 떠난 김충희 씨의 만화 <시골이 좋다고? 개뿔!>(낮은산 펴냄, 2015년)을 권한다.

이 책은 지리산 사람과 공간들에 관한 지도이다. 독자들은 이 책을 통해 그곳 사람과 공간에 관한 기본적인 정보와 접촉할 방법을 알 수 있다. 지도는 떠나는 사람들에게만 유용한 물건이 아니다. 당장 떠나지는 못하더라도 다들 방 한쪽에 지도 한 장씩은 붙여놓지 않는가. 이 책에도 그런 가치가 있다.

ⓒ문학과지성사

이 기사의 구독료를 내고 싶습니다.

+1,000 원 추가
+10,000 원 추가
-1,000 원 추가
-10,000 원 추가
매번 결제가 번거롭다면 CMS 정기후원하기
10,000
결제하기
일부 인터넷 환경에서는 결제가 원활히 진행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kb국민은행343601-04-082252 [예금주 프레시안협동조합(후원금)]으로 계좌이체도 가능합니다.
프레시안에 제보하기제보하기
프레시안에 CMS 정기후원하기정기후원하기

전체댓글 0

등록
  • 최신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