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인화면으로
"'시멘트로 덮는다' 들었을 때, 심장 드러낸 느낌"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
  • 밴드 공유하기
  • 인쇄하기
  • 본문 글씨 크게
  • 본문 글씨 작게
정기후원

"'시멘트로 덮는다' 들었을 때, 심장 드러낸 느낌"

[두물머리, 꼭 그래야 합니까 ·④] "그대로 농사짓게 해야 한다"

마지막 4대강 사업 지역인 팔당 두물머리에 행정대집행 영장이 발부됐다. 오는 8월 6일 집행 예정이다. 정부는 유기농지로 사용돼 온 두물머리에 자전거도로와 공원을 만든다며 이곳에서 농사를 짓고 있는 농민들에게 나가줄 것을 요구했다. 이미 다섯 차례 계고장을 보냈다. 몇 차례 충돌도 빚어졌다.

하지만 이미 30년 넘게 이곳에서 농사를 지어온 농민 입장에선 정부의 일방적인 요구가 답답하기만 하다. 생활 터전을 이루고 살던 곳에서 하루아침에 나가라고만 하는 정부의 방침을 받아들이긴 어렵다.

몇 차례 정부와 대화도 요구했고, 절충안도 제시했지만 정부는 묵묵부답이다. 되레 무단으로 토지 점유했다며 벌금을 부과하고 있다. 견디다 못한 11가구 농가 중 7가구가 대체부지와 저리 융자를 받고 떠났다. 나머지 4가구만이 이곳에서 농사를 짓게 해달라며 정부에 요구하고 있다.

물론 이들만 싸우고 있는 건 아니다. 이들 싸움에 오랫동안 지지와 연대를 보내온 천주교 신부들과 생협 조합원들, 시민이 함께 이곳을 지키고 있다. 일반 시민은 이곳에 직접 자신들의 텃밭을 가꾸고 있다. 불복종 운동이다.

이런 이들이 30일부터 두물머리에 유기농 텐트촌을 시작한다. 두물머리 행정대집행 하루 전인 8월 5일에는 전야제를 열고 행정대집행이 진행되는 6일 새벽 6시에는 두물머리에서 유기농지 행정대집행 저지를 위한 행동에 돌입한다. 이후 오후 2시에는 두물머리 신양수대교 11번 교각 밑에서 '4대강 회복과 두물머리 보존을 위한 전국 집중 생명평화미사'를 진행한다. (바로가기 ☞ :두물머리 유기농지 보존작전(두유작전))


이 과정 속에서 종교인, 학자, 일반 시민, 활동가 등이 <프레시안>에 글을 보내왔다. 왜 두물머리에 유기농지가 필요한지, 일방적인 4대강 사업의 문제점이 무엇인지를 설명하는 릴레이 기고글이다. <프레시안>은 30일부터 연속해서 이들의 글을 순차적으로 싣는다. <편집자>


"팔당하면 심장이 쿵쾅쿵쾅 뛰는 느낌이에요. 뭔가 살아있다는 느낌, 생명이 숨 쉰다는 느낌이요. 생협 매장에서 항상 팔당 유기농 채소들을 먹고 있다가 갑자기 4대강에 자전거 길에, 그런 거 만든다고 유기농지를 파헤치고 시멘트로 덮는다는 말을 들었을 때, 그만 심장이 딱 멈추는 느낌이 들었어요. 심장을 다 드러내놓은 느낌이요."

여성민우회생협 조합원 장영숙(도봉구 방학동) 씨의 이야기이다. 팔당 유기농지를 자전거 도로로 만든다는 소식을 듣고 제일 처음 무슨 생각이 들었냐는 질문에 대해 그녀는 이렇게 대답했다.

30년째 유기농업을 이어온 팔당과 여성민우회생협의 인연은 15년이 되어간다. 1998년 11월 서울시에서 서울시민의 상수원인 팔당상수원을 보호하기 위한 시책으로 '팔당상수원 환경농업 육성사업'이 시작되었다. 상수원보호구역 내의 유기농산물 소비촉진을 위한 판매장의 예산도 통과되었다. 서울시는 판매장의 운영을 위탁했고 여성민우회생협, 한살림, 경실련 정농생협, 새농, 이렇게 네 단체가 컨소시엄을 구성하여 서울의 4곳에서 각각 유기농산물 판매장을 1999년 개장하게 되었다. 팔당의 상추며 깻잎, 치커리, 풋고추 같은 다양한 유기농 채소와 딸기, 포도 같은 과일들과의 첫 만남이다.

지금은 많이 달라졌지만 '농약 안쳤는지 믿을 수 있나, 너무 비싸다, 사기 쉽지 않다' 같은 유기농업에 대한 생각은 오랫동안 도시 사람들 대다수의 입에 오르내렸다. 농약과 제초제 , 화학비료를 안치기 위해 얼마나 농민들이 수고하는지, 지금 당장은 왜 비쌀 수밖에 없는지 도시사람들에게 알려야 했다. 왜 그리 힘든 유기농업을 고집하는지, 유기농업을 지속가능하게 하려면 도시 사람들은 무엇을 해야 하는지도 알려야 했다. 유기농 생산자들을 직접 만나고, 유기농 생산지를 직접 보는 방법이 최고였다.

▲ 두물머리 딸기 하우스에서 딸기를 따서 나오고 있는 아이들. ⓒ팔당 공대위

팔당은 서울에서 불과 1시간 남짓의 거리이다. 서울에서 멀지 않은 곳이라 주말이면 조합원들과 그 자녀들, 그리고 아직 조합원에 가입하지 않은 서울시민들이 대형버스 가득 채워 팔당을 방문했다. 딸기밭에서 딸기를 따고, 따면서 몇 알 먹어보고, 함께 딸기잼을 만들었다. 커다란 솥에 두부도 만들고 포도밭에서 가지치기하며 일손도 도왔다. 흐르는 땀이 식을 즈음 팔당의 생산자들이 준비해주신 여러 가지 채소와 된장찌개로 점심도 먹었다. 쌈을 한 입 가득 넣으며 생산자들과 우리는 이미 그냥 남이 아니구나 하는 생각이 들었다.

이어지는 프로그램은 '자연과의 교감'. 점심 먹고 함께 계곡에 발 담그고 앉아 눈을 감았다. 물소리, 바람소리를 듣다보면 자연과 내가 하나가 되는 느낌이 들었다. 가슴 가득 뭉클 무언가 올라왔다. 자연과 내가 연결되어 있고 나와 내 옆의 누군가가 연결되어 있다는 느낌이 충만해졌다. 자연에 대한 경외, 농업에 대한 감사로 절로 고개가 숙여졌다. 팔당과 두물머리에 대한 강렬한 기억이다. 그리고 몸에 새겨진 기억은 오래도록 지워지지 않는다.

오랫동안 팔당과 인연을 가진 생협조합원에게 자전거 도로는 천부당만부당한 말씀이다. 여태껏 상수원 보호 차원에서 유기농업을 육성해 와놓고, 이제서 유기농업은 물을 오염시킨다고? 말도 안 된다. 180도 바뀐 이명박 정부의 입장에 어이없고 억울하다. 울화가 치민다. 생협매장에 붙어있던 '내가 먹는 유기농 배추가 팔당상수원을 살린다'는 슬로건에 가슴깊이 공감하며 열심히 먹고, 이를 이웃에게 적극 알려온 조합원들의 신념을 송두리째 엎어 놓는 일이다.

대규모 도심에서 이렇게 가까운 유기농단지가 있는 곳은 세계적으로도 많지 않다고 한다. 서울을 조금만 벗어나면 만나는 팔당 두물머리 유기농지를 지키는 일은 도시의 아이들에게도 꼭 필요한 일이다. 회색 콘크리트와 아스팔트로 덮여있는 곳에서 생활하는 아이들에게 유기농 딸기를 따보게 하자. 유기농 땅에서 살아 숨 쉬며 꼬물거리는 다양한 생명체들을 만져보게 하자. 너른 공간에서 운동하며 돌아다니다 낳은 따뜻한 유정란을 만져보게 하자. 팔당 농부 아줌마, 아저씨와 만나 얼굴 맞대고 이야기 나눌 수 있게 하자. 우리 아이들 일생에서 두고두고 생명의 소중함, 농업의 가치를 느낄 수 있는 기회가 될 것이다. 그리고 그 기억은 몸에 오래도록 새겨져 쉽게 잊혀지지 않을 것이다.

이를 위해서라도 생명이 살아 숨 쉬는 땅 팔당 두물머리, 그대로 농사짓게 해야 한다.

이 기사의 구독료를 내고 싶습니다.

+1,000 원 추가
+10,000 원 추가
-1,000 원 추가
-10,000 원 추가
매번 결제가 번거롭다면 CMS 정기후원하기
10,000
결제하기
일부 인터넷 환경에서는 결제가 원활히 진행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kb국민은행343601-04-082252 [예금주 프레시안협동조합(후원금)]으로 계좌이체도 가능합니다.
프레시안에 제보하기제보하기
프레시안에 CMS 정기후원하기정기후원하기

전체댓글 0

등록
  • 최신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