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인화면으로
"별과 별 사이, 사람과 사람 사이…"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
  • 밴드 공유하기
  • 인쇄하기
  • 본문 글씨 크게
  • 본문 글씨 작게
정기후원

"별과 별 사이, 사람과 사람 사이…"

[문화, 우주를 만나다] 구름의 고향

2009년은 유엔(UN)이 결의하고 국제천문연맹(IAU), 유네스코(UNESCO)가 지정한 '세계 천문의 해'이다.

실제로 2009년은 아주 뜻깊은 해이다. 갈릴레이가
망원경을 만들어서 천체를 관측하기 시작한 지 400주년, 허블우주 팽창 발견 80주년, 인류의 달 착륙 40주년, 외계 지성체 탐사프로젝트 제안 50주년 및 메시지 송신 35주년을 맞은 해이기 때문이다.

우리나라에서도 '2009 세계 천문의 해'를 맞아 한국
조직위원회를 만들어서 국제 캠페인에 참여하고 있다. 이미 4월 2일부터 5일까지 전 세계 천문대에서는 100시간 동안 연속으로 별을 관측하고 길거리에서 천문학자·아마추어천문가가 일반인과 함께 별을 관측하는 전 지구적인 행사가 열렸다.

또 우리나라에서는 특별히 이동 천문대 '
스타-카'가 소외 지역 아이들을 찾아가고, '과학예술의 만남'과 같은 전시회도 준비 중이다. 이런 내용은 2009 세계 천문의 해 한국조직위원회가 운영하는 홈페이지웹진 <이야진(IYAZINE)>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바로 가기)

<프레시안>은 이런 '2009 세계 천문의 해'를 맞아 '문화, 우주를 만나다' 연재를 <이야진>과 공동으로 연재한다. 하늘의 별을 바라보면서 꿈을 키웠던 여러 분야의 사람들이 별, 우주, 문화, 예술 등을 화두로 매주 한 편씩 에세이를 선보인다. <편집자>

▲ 안드로메다자리에서 있는 나선은하 NGC 891. 1784년 윌리엄 허셜(William Herschel)이 처음 발견하였다. 이 은하는 가늘고 긴 모습을 하고 있는데, 우리는 은하의 옆면에서 보기 때문에 은하의 중앙을 가로지르는 먼지대를 볼 수 있다. ⓒ한국천문연구원(사진=전영준)

밤을 새워 글을 쓰고, 최근 푹 빠져 있는 인도의 풍미를 그대로 살렸다는 레토르트 카레에 얼려 놓았던 밥을 대충 비벼 먹었다. 기차에서 자겠다는 심산이었다. 서울 영등포에서 전북 남원까지는 무궁화호로 네 시간이 넘게 걸린다. 장마는 물러갔지만 하늘은 흐렸고 월요일 아침 올림픽대로는 무척 밀렸다. 여유를 두고 나왔다고 생각했지만 결국 역 앞에서 내리자마자 있는 힘껏 뛰어야 했다. 입안에 남아 있던 카레향이 시큼하게 올라왔다.

어른 아홉, 아이 일곱. 네 살 아래 어린이는 표를 끊지 않아도 되어 우리 자리는 열세 석이었다. 한 자리만 따로 떨어져 있다. 나는 휘 둘러 보고, 앞좌석에 배낭을 걸어두고 잠들어 있는 남자 옆 창가 자리로 기어들어갔다. 배낭을 끌어안고 잠시 앉아 있자니 생목 오른 것이 점차 가라앉으며 며칠 동안 꾸준히 적립한 피로가 몰려왔다.

아침 여덟 시인데도 아이들은 밤새 하늘에서 무슨 기운을 받아먹었는지 힘이 넘쳤다. 조용히 시키기도 귀찮다. 무슨 말을 해도 10분만 지나면 또 떠들 텐데. 저 나이 애들은 떠들 때도 새소리를 내고 기억력도 새 기억력이다. 귀엽고 연약하고 자유롭기도 꼭 새 같으니 어른은 짜증도 마음대로 못 내고 그냥 지친다. 새고 까마귀고 일단은 자고 싶다. 지금은 나보다 베테랑인 대표님이 어떻게든 하시겠지.

금세 잠이 온다. 아니나 다를까, 잠결에 새소리와 대표님 소리가 번갈아 들린 것 같지만 못 들은 척, 적당히 흔들리는 좌석에 몸을 맡겼다. 그러고 보니 무궁화호는 오랜만이고, 남원은 더욱이 초행이다.

네 시간 이십 분은 길었다. 자고자고 또 자고 나니 이제야 남원이란다. 낯선 기차역을 나와 남원 다문화가족지원센터장님과 인사를 하고 낡은 승합차에 차곡차곡 포개어 탔다. 남원 다문화가족지원센터의 초청으로 마련된 1박2일 농촌 체험을 위해서는 시내에 있는 기차역에서도 한참을 더 가야 한단다.

무덥고 맑은 날씨지만 하늘에는 구름이 꽤 떠 있다. 센터장님이 일주일 정도 비가 많이 왔는데 오늘은 다행히 날이 개었다고 말씀하신다. 밤에는 또 비가 온다는 예보다. 시골 밤하늘에 총총히 빛나는 별을 보며 라오스와 태국의 별자리 이야기를 들어 보려던 나의 계획은 이렇게 스러지는구나. 나는 하늘을 보며 짧은 한숨을 쉬었다. 아이들이 많은 여행이니 어차피 내가 별 볼 시간은 없으리라 생각하고 성도를 챙겨 오지 않은 것이 오히려 다행이다.

천문학자 하면 밤에 망원경이 떠오르지만, 천문학이 곧 밤하늘을 연구하는 학문은 아닐 것이다. 소백산천문대를 찾았을 때 박사님은 이곳은 기상이 썩 좋은 곳이 아니라 관측일수가 한정되어 있다며, 전파천문대는 날씨에 구애받지 않는다고 하셨다. 밤이든 낮이든 비가 오든 바람이 불든 전파천문대에서는 우주를 볼 수 있다. 스쳐지나간 이야기였지만 나는 그 생각이 참 마음에 들었다. 언제든지 닿을 수 있을 것 같은 느낌. 언제든지 손을 뻗어볼 수 있을 것 같은 느낌.

나는 오랫동안 천문학자를 꿈꾸었다. 우리 집 공부방에는 지금도 초등학생 때 샀던 초록색 천체망원경이 놓여 있다. 아파트촌에 살던 내가 그 작은 망원경으로 본 것은 기껏해야 해와 달, 행성들, 이중성과 성단 몇 개 정도였으나 나는 내게 망원경이 있다는 사실 자체가 그저 좋았다. 언제든지 우주에 한 걸음 더 가까이 갈 수 있을 것 같은 느낌이 좋았다. 가까워 보이는 별과 별 사이에 사실은 까마득하게 먼 시공간이 놓여 있고 그 까마득한 공간을 무언가가 채우고 있을지도 모른다는 이야기도 좋았다. 나는 별과 별 사이의 공간이 사람과 사람 사이의 공간 같다고 생각했었다. 가까이 있는 것 같지만 사실은 전혀 다른 곳에 있는 미지의 존재, 존재들.

천문학 전공자나 철학 전공자나 웃어넘길 수수한 이야기이지만, 나는 사람의 우주와 하늘의 우주는 같다고 생각하고 하늘로 끝없이 올라가던 꿈을 지상에 내려 박았다. 진짜 철학 전공자가 된 지금도 나는 사람들을 종종 별처럼 생각한다. 눈으로 보아서는 결코 알 수 없는 거리가 있고 망원경으로 들여다보아도 알 수 없는 속이 있다. 그렇지만 광학망원경으로 별의 색을 보고 온도를 짐작하고 나이를 짐작할 수 있고 전파망원경으로 텅 비어 보이는 공간을 메우는 수많은 '무언가'를 찾아낼 수 있듯이, 사람 사이에도 시선을 향하면 보이는 반짝임과 귀를 기울이면 들리는 무언가가 있다. 영원히 닿지 않을지도 모르지만 외면하지 않고 손을 뻗고 귀를 기울이면 닿을지도 모른다는 희망이 있다.

애당초 별자리 이야기는 무리였다. 어린아이들을 데리고 하는 여행에서 어른이 무얼 하기도 힘들 뿐더러, 사실 우리 센터에 찾아오는 결혼 이주 여성들은 한국어를 그렇게 잘 하지 못한다. 몇 년을 한국에서 살아도 일상 회화에서 조금만 벗어나면 어렵다. 자신의 생각과 경험을 말이 아니라 글로 전할 수 있다면 좋겠다는 대표님 말씀에 애를 보던 내가 명목상 소설가이긴 하니 일단 선생님 노릇을 하겠답시고 들어앉았지만, 우리의 2학기 교재는 아마도 초등학교 쓰기 1-1이 될 것이고, 우리가 한국과 태국의 별자리 이야기를 하는 날은 영원히 오지 않을지도 모른다.

농촌 마을 민박집 노래방 기계음을 반주 삼아 '만남'을 구성지게 불렀던 반장 순안 씨에게 태국에서 별자리 이야기를 할 만한 여유가 있었는지 아는 날은 영원히 오지 않을지도 모른다. 집안일도 하고 손이 많이 가는 아이들도 보고 일을 하거나 시부모도 돌보아야 하는 결혼 이주 여성들 중에 몇 명이나 나와 끝까지 교과서를 공부할 수 있을지도 나는 알지 못한다.

그러나 꼭 구름 없고 바람 약한 날 밤에 별을 보는 것이 천문학이 아니고 지금 이 순간에도 세계 곳곳의 전파망원경들이 시선을 하늘로 향하고 있다. 우리는 우주의 한가운데에서 우주에 둘러싸여 있기에 그저 서 있기만 해도 가장 가까이 있는 항성을 온몸으로 느낄 수 있다.

서울에 사는 내가 천체망원경의 뚜껑을 다시 열 일은 아마도 없겠지만 나는 내가 사람들의 우주 한가운데에서 별처럼 반짝이는 사람들 사이의 공간에 손을 뻗을 수 있다는 사실을 안다. 그리고 눈에 닿지 않아도 아득한 시공간을 넘어 전파망원경으로 들어오고 있는 우주의 수많은 흔적들처럼, 오랜 시간이 흐른 다음에는 내게 보이지 않는 곳에서라도 우리의 오늘이 어딘가에서 반짝일지도 모른다고 믿는다. 그 오랜 시간이 우주 기준으로 보자면 한순간이라고 생각하면 그 또한 위안이 된다.

아이들이 함께하는 여행에는 짐이 많다. 앞좌석에 접은 유모차와 여행 가방을 쌓아올리고 뒤쪽에 열여덟 명이 겹쳐 타니 냉방을 틀어도 덥다. 아이들은 덥다면서도 생기가 넘친다. 오전에 보았던 서울의 흐린 하늘과는 사뭇 느낌이 다른 햇살이 빗물 마른 자국이 남은 유리창을 파고든다.

"선생님, 구름은 어떻게 생겨요?"

창밖을 유심히 보고 있던 현진이 물었다. 카메라를 들이대면 이상한 표정 짓는 데 한창 재미를 붙인 여섯 살 여자아이다.

"응, 지구에는 커~다란 바다에 물이 잔뜩 있지? 그런데 오늘 덥지? 이렇게 더운 건 해가 있기 때문이야. 해가 뜨거우니까 물들이 열을 받아서 하늘로 슝슝 올라가게 돼. 그러면 높이높이 올라가다가 서로 만나서 커다랗게 되는데, 그게 구름이야. 구름은 바다에서 온 물방울들이 잔뜩 모여서 생긴 덩어리야. 그러니까 저 구름은 원래 바다에서 온 거지."

어렵다. 현진은 곧 관심을 끄고 대표님에게로 고개를 돌린다.

"할머니, 할머니, 우리 또 퀴즈 해요!"

"그럴까? 그럼 자, 문제. 구름의 고향은 어딜까?"

아이들이 고개를 갸웃거린다. 오랫동안 공학도였고 한때는 유학생, 또 한때는 박사님이었지만 이제는 아이들에게 할머니라고 불리게 된 대표님이 힌트를 준다.

"정 선생님이 아까 설명 해 주셨지? 구름은 원래 어디에서 하늘로 올라간 걸까?"

현진이 또 조금 고민하더니 앞좌석으로 상반신을 쑥 내밀고 자신만만하게 소리친다.

"저요! 저요! 정답!"

"오, 그래. 현진이가 알아? 구름의 고향은 어딜까?"

"태국!"

현진 엄마의 고향이다. 나는 창밖으로 펼쳐진 우주와 시골길을 덜컹거리며 달리는 승합차 안에서 펼쳐지는 우주를 느끼며, 풋 웃는다.

이 기사의 구독료를 내고 싶습니다.

+1,000 원 추가
+10,000 원 추가
-1,000 원 추가
-10,000 원 추가
매번 결제가 번거롭다면 CMS 정기후원하기
10,000
결제하기
일부 인터넷 환경에서는 결제가 원활히 진행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kb국민은행343601-04-082252 [예금주 프레시안협동조합(후원금)]으로 계좌이체도 가능합니다.
프레시안에 제보하기제보하기
프레시안에 CMS 정기후원하기정기후원하기

전체댓글 0

등록
  • 최신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