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인화면으로
'친북좌파 김대중'을 넘어 '관용과 화해의 시대로'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
  • 밴드 공유하기
  • 인쇄하기
  • 본문 글씨 크게
  • 본문 글씨 작게
정기후원

'친북좌파 김대중'을 넘어 '관용과 화해의 시대로'

[기고] 김대중, 민주화와 남북화해의 큰 정치인

2009년 8월 18일 김대중 전 대통령이 마침내 85년간에 걸친 그의 파란만장한 인생을 마쳤다. 1924년 일제시기에 태어나 해방과 더불어 분단과 전쟁의 경험을 겪으며 성장했던 그는 이후 군사정권의 권위주의 아래에서 우리나라의 민주화를 위해 혼신의 노력을 다했다.

그 뿐 아니라 그는 분단 한국의 현실에서 마침내 남북화해의 길을 텄다. 그런 점에서 김대중 전 대통령의 삶은 항상 우리 현대사의 한 복판에 있었고, 그 속에서 민주화와 남북화해를 위해 자신의 모든 인생을 다 바쳤던 그는 우리 시대의 진정 위대한 정치인이었다.

고난과 시련

▲ ⓒ연합
민주화의 정치인으로서 김대중 전 대통령의 본격적인 출발은 박정희 전 대통령의 독재에 대한 도전으로부터 시작되었다. 이미 두 번에 걸친 집권을 마친 박정희 대통령이 3선 개헌을 통해 장기집권의 길에 나섰을 때, 이에 정면으로 맞섰던 민주 야당의 후보가 바로 그였기 때문이다. 그러나 전국적인 선풍을 일으키며 박 전 대통령의 당선을 위협했던 그는 그 대선에서 패배하지 않을 수 없었다. 부정선거가 상당 정도 영향을 미쳤던 것으로 알려진 1971년 7대 대통령선거가 바로 그것이었다.

바로 이 대선에서 그는 박 대통령의 장기집권 시도가 영구집권으로 이어질 것임을 지적했는데, 이는 박정희의 재집권 이후 유신체제의 등장으로 나타났다. 또한 그는 대선 과정에서 한반도 평화를 위한 '4대국 보장론'과 '대중경제론'을 내세웠는데, 그것은 남북 분단과 개발독재의 상황에서 박정희정권의 안보와 경제정책의 패러다임을 넘어설 수 있는, 당시로서는 그 주장이 쉽지 않은 대안을 시사하는 것이기도 했다.

그러나 박정희 독재와 장기집권에 대한 그의 도전에 뒤따랐던 대가는 매우 가혹했다. 유신체제 등장 이후 그는 일본으로 망명하지 않을 수 없었을 뿐만 아니라, 중앙정보부에 의해 납치되었던 과정에서 바다에 수장(水葬)될 고비까지 겪었기 때문이다. 이후 1970년대의 그의 삶은 가택연금과 감옥을 넘나드는 그것이었다. 그러나 그의 고난은 여기에서 그치지 않았다. 박 전 대통령의 사망으로 민주화의 전망이 밝아왔던 1980년 '서울의 봄' 시기에 전두환의 신군부세력은 또 다시 쿠데타를 감행했고, 그들은 그 쿠데타를 정당화하기 위한 한 조치로서 '김대중 내란 음모사건'을 조작했기 때문이다. 따라서 1980년대에 들어서도 그의 삶은 투옥과 망명 그리고 연금으로 점철되지 않을 수 없었다.

좌절과 영광

민주화 이전의 1970,80년대에 이 같은 그의 고난과 시련은 박정희와 전두환의 권위주의 통치에 대한 민주화운동의 저항과 그 궤를 같이하는 것이었다. 그러나 그 저항의 결과 민주화운동은 마침내 1987년 6월항쟁을 맞을 수 있었고 이를 통해 대통령 직선제 실현의 민주화를 이룰 수 있었다. 그러나 역설적이게도 민주화 이행의 이 같은 상황에서 민주진영은 민주정부 수립에 실패했다. 그리고 그 한 원인에는 서로 대선 후보직을 양보하지 않았던 김영삼과 김대중의 분열이 있었다. 훗날, 김대중 전 대통령은 "내가 후보직을 사퇴하는 것이 옳았다"고 회고했다.

결국 1987년 13대 대선 결과 민주화의 수혜는 역설적이게도 독재세력의 후계세력인 노태우 정권에게 돌아갔다. 그러나 김대중의 좌절은 여기에서 그치지 않았다. 1987년 민주화 이후 전면 동원되었던 지역주의정치 속에서 노태우, 김영삼 그리고 김종필의 3당합당은 호남 고립화를 가져왔고. 그 정치적 결과는 1992년 14대 대통령선거에서 김대중의 패배로 나타났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 같은 좌절의 연속에도 불구하고 마침내 그에게도 영광이 돌아왔다. 1997년 15대 대선에서 그는 마침내 대통령에 당선될 수 있었기 때문이다. 물론 그것은 호남 고립화의 상황에서도 그가 지역연합을 통해 김종필의 충청지역의 지지를 끌어들일 수 있었고, 여기에 더해 여권의 분열과 IMF 경제위기가 그에게 유리하게 영향을 미쳤기 때문이다.

민주정부의 등장, 경제위기의 극복, 그리고 남북화해

▲ 2000년 남북정상회담을 통해 김 전 대통령은 남북화해와 협력의 물꼬를 텄다. ⓒ연합
김대중의 대통령 당선은 역사상 처음으로 선거를 통한 민주세력으로의 정권 교체를 가져왔다. 물론 민주정부로서 4.19 직후 단명했던 장면 정부가 없었던 것은 아니다. 그러나 민주화운동의 연장선상에서 민주세력에 의한 본격적인 정권 교체가 이루어졌던 것은 이때가 처음이었기 때문이다. 그런 점에서 1987년의 민주화가 형식적 차원의 민주화에 그쳤다면, 1997년의 그것은 민주세력이 명실 공히 집권에까지 이르렀던 실질적 의미에서의 민주화라 할 수 있었다. 이후 국가인권위원회의 설립 등이 보여주듯, 시민들의 인권과 그 자유와 권리는 급신장되었다.

김대중 대통령의 대표적 업적으로서 우리는 이 같은 선거를 통한 민주정부의 등장 이외에도 다음과 같은 업적들을 꼽을 수 있을 것이다. 우선 IMF 경제위기를 단기간 내에 성공적으로 극복한 것이 그의 또 다른 업적이다. 그러나 우리가 김대중 대통령의 최대 업적을 가린다면 그것은 그가 남북화해의 본격적인 길을 텄다는 점이다. 햇볕정책의 시행, 금강산관광과 개성공단의 개발, 2000년 남북정상회담과 6.15공동성명 등이 바로 그 결과들이다. 특히 남북이 분단과 전쟁의 경험을 겪고 이후 적대적 대치를 계속해왔던 상황에서 이 같은 화해의 새로운 길을 개척했다는 것은 무엇보다도 주목할 만한 그의 업적이 아닐 수 없다.

이 같은 업적을 고려해볼 때, 우리 한국은 김대중 정부의 집권에 이르러서야 비로소 근대적인 역사발전의 정상적인 궤도에 진입한 것이 아닌가 한다. 첫째는 그 동안 권위주의체제와 그 유산 속에서 그 발전이 지체되었던 우리의 민주주의가 1987년의 민주화에 이어 1997년의 민주정권의 등장으로 비로소 본 궤도에 올랐다는 점에서이다. 둘째는 냉전과 분단 상황에서 수십 년 동안 적대적인 대치와 갈등을 겪어왔던 남북이 상호 화해를 통해 평화통일의 전망을 열 수 있었기 때문이다. 셋째는 지속적인 경제성장의 과정에서 IMF 경제위기의 도전을 슬기롭게 극복해낼 수 있었기 때문이다.

덧씌워진 부정의 이미지, 그 극복과 화해를 위해

그러나 김대중 대통령의 업적이 이상과 같이 뛰어났다고 할지라도, 그 동안 김대중 전 대통령에게 덧씌워졌던 부정적 이미지를 생각하면 우리 사회가 가야할 길은 아직도 멀기만 하다. 심지어는 김대중 전 대통령이 서거한 지금에도 그에 대한 악의적인 소리를 해대는 사람들이 있다. 누가, 왜 그러는 것인가?

▲ 김대중 전 대통령이 가해자였던 경우가 있었는가? 그는 언제나 피해자였고, 그에게 행해졌던 가해를 거부하고 저항했다면 그것은 대부분 대의를 위한 것이었다. ⓒ연합
우리의 현대사는 불행하게도 극단적인 오른쪽으로부터 시작했다. 그리고 그 오른쪽에서 있는 사람들, 특히 그 기득권을 가진 사람들에게 역사와 사회의 발전을 꾀하는 김대중 전 대통령은 매우 불편한 사람이었을 것이다. 따라서 그들은 기회가 있을 때마다 '친북좌파' '빨갱이' '음흉한 정치인' 등등으로 김대중 전 대통령에게 부정적 이미지를 덧씌웠다.

그러나 역으로 김대중 전 대통령이 가해자였던 경우가 있었는가? 그가 그에 대한 가해자들에게 보복하고 인간적인 모욕을 가한 일이 있었는가? 오히려 그는 언제나 피해자였을 뿐이고, 그가 그에게 행해졌던 가해를 거부하고 이에 저항했다면 그것은 대부분 대의를 위한 것이었다. 나아가, 김대중 전 대통령의 정치적 배경이었던 호남지역주의 역시 역사의 후퇴를 방어하기 위한 측면이 컸다.

김대중 전 대통령이 떠난 지금의 마당에서 이 같은 덧씌우기식 가해는 이제 자제되고 극복될 필요가 있다. 나아가 우리는 진정한 관용과 화해의 세상을 만들기 위해 노력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아마도 김대중 전 대통령이 마지막으로 원했던 것이 있었다면 바로 그런 세상이 아니었을까? 그렇다면 이 같은 세상을 만들기 위한 노력은 어떻게 시작될 수 있을까? 그것은 거창한 노력보다는 우리 스스로가 자신을 뒤돌아보는 반성과 성찰의 작은 노력으로부터 시작될 수 있지 않을까 한다.

이 기사의 구독료를 내고 싶습니다.

+1,000 원 추가
+10,000 원 추가
-1,000 원 추가
-10,000 원 추가
매번 결제가 번거롭다면 CMS 정기후원하기
10,000
결제하기
일부 인터넷 환경에서는 결제가 원활히 진행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kb국민은행343601-04-082252 [예금주 프레시안협동조합(후원금)]으로 계좌이체도 가능합니다.
프레시안에 제보하기제보하기
프레시안에 CMS 정기후원하기정기후원하기

전체댓글 0

등록
  • 최신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