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월 2일, 미국산 쇠고기 전면 수입을 반대하며 시작했던 촛불 집회가 1년을 맞는다. 100일 넘게 매일같이 계속됐던 촛불 집회는 한국은 물론 세계에서도 유례를 찾아볼 수 없었던 사건이었다. 1년이 지난 지금, 물리력을 동원한 경찰 진압은 계속되고, '촛불'이 반대했던 미국산 쇠고기 수입뿐만 아니라 영리법인 병원 추진, 공기업 민영화, 대운하(4대강 살리기 사업) 등은 착착 진행되고 있다. 서울 광화문, 시청 광장에서 타오르던 촛불은 점차 줄어들었지만 꺼진 것은 아니었다. 기륭전자, YTN, 문화방송(MBC), 용산 참사, 각 지역 등에서 사람들은 촛불을 들었다. 그러나 2008년 광화문과 같은 촛불은 좀처럼 되살아나지 않았다. 최대 인원 100만 명을 기록한 참가자 숫자만큼, 2008년 촛불에 대한 해석은 여전히 분분하다. 촛불은 무슨 의미였나? 촛불만이 대안인가? 혹 그때의 촛불은 역풍을 몰고 온 '한여름 밤의 꿈'이었나? 촛불은 한국 사회에 희망 혹은 절망, 아니면 그 무엇이었을까? 유일무이한 경험이기에 다른 어떤 사회에서도 구할 수 없는 답을 찾기 위한 시도가 계속되고 있다. <프레시안>이 당시 촛불 집회의 주인공들을 다시 만나 물었다. |
▲ '변해야 한다'. 그것은 사실 시민·사회단체가 펼치는 운동의 기본 주장이기도 하다. 언제나 어려워보였던 그 공감대는 지난해 촛불 집회에서 폭발적으로 형성됐다. 대체 어떻게 됐던 걸까? ⓒ프레시안 |
배후 세력. 지난해 촛불 집회가 점점 커지면서 정부와 보수 진영에서는 "배후 세력이 있다"는 '음모론'을 제기했고 '배후 세력'은 곧 유행어가 됐다. 실제로 이명박 대통령이 "배후가 누구고, 양초는 누가 샀느냐"고 물었다는 일화는 유명하다.
그리고 얼마 안 있어 정부는 시민·사회단체로 구성된 광우병국민대책회의를 '집중 공격'했다. 경찰은 국민대책회의 사무실이 있던 참여연대 사무실을 압수 수색했고, 관계자들이 수배 끝에 연행됐다.
경찰은 이들에게 촛불 집회가 '불법·폭력 집회'로 된 책임이 있다고 주장햇다. 그러나 수만~수십 만 명이 참가했던 집회의 책임을 몇 명의 시민단체 실무자에게 씌운 것을 두고 촛불을 들었던 시민 대부분늠 어이없어했다.
그러나 구속 수사가 이어졌다. 지난달 17일 국민대책회의 관계자 5명은 5개월 만에 보석으로 석방됐다. 국민대책회 공동상황실장을 맡았던 박원석 참여연대 협동사무처장도 그중 한 명이었다. 오랜 기간 수배와 감옥 생활을 하면서 어떤 생각을 했을까?
"2008 촛불, 삶의 질에 변화가 필요하다는 열망"
지난 28일, 서울 통인동 참여연대에서 만난 박원석 사무처장은 이전과 마찬가지로 여전히 분주했다. 실제로 그는 석방 이후 책상에 1시간 이상 앉아보지 못했다. 그러나 촛불 집회에 대한 평가, 의미 그리고 전망을 놓고 얘기가 술술 나왔다.
박원석 처장은 "다양한 이들의 '변해야 한다'는 열망이 모여 나타났다"고 지난해 촛불 집회를 평가했다. 그는 "촛불에 대한 평가가 많지만 이견없이 확인할 수 있는 건 '이대로는 안 된다', '우리 삶의 질에 변화가 필요하다'는 생각의 에너지가 분출한 점"이라고 말했다.
'변해야 한다'. 그것은 사실 시민·사회단체가 펼치는 운동의 기본 주장이기도 하다. 언제나 어려워보였던 그 공감대는 지난해 촛불 집회에서 폭발적으로 형성됐다. 대체 어떻게 됐던 걸까? 박원석 처장은 2008 촛불의 새로웠던 점을 세 가지로 꼽았다.
"우선 집단이 아닌 '개인'이 변혁 운동 과정에서 주체로 등장했다. 촛불 소녀, 배운 여자들 등 갑자기 기존의 권위, 고정된 권위에도 쉽게 굴복하거나 무비판적으로 수용하지 않는 톡톡 튀는 개인이 등장했다. 경제 성장과, 문화적 토양이 변하는 가운데 성장한 사람들이다. 그들은 계급 대중이라는 카테고리에 갇히지도, 인정하지도 않는다."
박 처장은 두 번째로 "사회 변화의 지향점이 새로워졌다"고 분석했다. 그는 "굉장히 구체적인 '삶의 질 개선'이 정치의 중심에 들어왔다"며 "작년 촛불 집회에서 광우병 쇠고기에 이어 미친 교육, 공기업 민영화, 대운화 반대와 같은 패러다임이 형성될 수 있었던 건 한마디로 '후지게 살기 싫다'는 외침이었다"고 말했다.
세 번째로 그가 꼽은 것은 '운동의 방식'이었다. 박원석 처장은 "소통과 연대에 대해 이제 정말 진지하게 생각해야 한다"며 "보통선거, 다수결 원칙을 민주주의 원리라고 얘기하지만 정말 그것들이 사회적 총의를 반영하는지는 다른 문제"라고 말했다. 그는 "우리에게 익숙한 선거, 투표, 다수결이 아닌 다른 사회적 총의를 모으는 과정이 보완되어야 한다는 열망이 지난해 거리에서 크게 나타난 게 아닐까"라고 설명했다.
"촛불 에너지, 어떻게 살릴지는 정치와 운동의 몫"
하지만 정작 지난 1년간 한국 정치에서 가시적 성과가 보이지 않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박원석 처장도 이를 인정했다.
"그때와 지금 달라진 건 없다. 그러나 이명박 정부는 브레이크 없는 질주를 하고 있는 상황이라고 본다. 유턴하면 정권의 기초가 무너지는 것과 같은 강박관념을 갖고 있는 것처럼. 더군다나 정치적 견제가 작동되지 않는 점은 문제를 더 악화시키고 있다.
작년 촛불, 그땐 좋았지만 '한여름밤의 꿈'처럼 재미있게 놀고 끝난 것 아니냐, 패배감만 쌓인 게 아니냐는 평가도 있다. 그런 실망감이나 좌절감을 인정한다. 그러나 사람들이 길거리에서 집단적인 환희와 열망을 체험한 새로운 경험은 어디로 가지 않는다. 각자의 삶과 의식 속에 깊숙이 자리하고 있고, 언젠가 다시 끄집어 낼 수 있는 에너지다.
그걸 어떻게 끄집어내는가는 정치와 운동의 몫이다. 정치가 변하지 않으면 사회는 더 도태될 것이다. 정말 파시즘적인 상황이 오지 말란 법이 없잖나. 위험성과 가능성이 동전의 양면처럼 존재하는 것이 현실이라고 본다."
"촛불을 反MB나 거리의 저항으로 해석하면 안 된다"
▲ 박원석 처장은 "운동이 호흡을 길게 갖고 좀 더 근본적이고 궁극적인 대안을 세우기 위한 모색이 필요하다"며 "2010년 지방선거, 2012년 대선과 총선, 그리고 그 이후까지 생각하는 기획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프레시안 |
"많은 시민단체들이 엘리트 관성이 여전히 강하다. 물론 이런 운동이 성공하기도 했다. 그러나 직접 민주주의가 시대적 요구다. 앞으로의 운동에서 중요한 것은 바로 다양한 의견을 가진 사람들 가운데 어떻게 합의를 만들어내고, 소통하고, 연대의 고리를 잘 형성하느냐는 점이라고 본다."
또 그는 "운동이 호흡을 길게 갖고 좀 더 근본적이고 궁극적인 대안을 세우기 위한 모색이 필요하다"며 "2010년 지방선거, 2012년 대선과 총선, 그리고 그 이후까지 생각하는 기획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그것은 다른 한편으로 지난 1년간 계속 '제2의 촛불' 이야기를 꺼냈던 이들을 두고 한 이야기이기도 했다.
박원석 처장은 "촛불 집회 자체가 워낙 큰 힘이고 에너지였기 때문에 그 후유증이 이어졌다고 보고, 또 그게 정상적이라고 생각한다"며 "앞으로도 촛불을 들고 싸워야 할 땐 그래야 하겠지만 계속 촛불을 켜자는 주장을 하는 건 적절한 태도가 아니라고 본다"고 말했다.
"촛불의 의미를 거리에서 촛불 켜고 저항하는 것으로 협소하게 해석하면 안될 것 같다. 촛불은 변화와 새로움, 상징적인 삶의 양식의 대안을 상징하는 것이다. 그런데 그것을 우리 마음에 들지 않는 이명박 정부의 모든 정책에 대한 저항의 방식으로 협의화시킬수록 곤란하다. 그럴 수록 답이 없다.
돌이켜보면 운동이 지금까지 잘 되지도 않았다. 당장이라도 권력을 뒤엎을 만큼의 힘을 갖고 있지도 않았다. 촛불의 힘이 잠재되고 삶의 저변에 축적될 수 있지만 당장 촛불을 거쳤다고 해서 운동이 혁명을 일으킬 만큼의 조건을 획득했다고 보긴 어렵다."
그래서 박원석 처장은 감옥 안에서부터 촛불이 요구하는 '새로운 삶의 비전'을 위한 운동의 방법을 다시 고민하고 있다고 했다. 그는 "문제는 결국 정치"라며 "정치를 제대로 만들지 않으면 다음 대선에서 또 권력이 한나라당으로 한번 더 넘어가고 우리 사회가 더 망가질 수 있다"고 말했다. 그는 "그래서 운동과 정치가 더 활발히 소통을 해야 하는데 지금은 그럴 만한 정치 세력마저 없는 것이 사실"이라며 답답한 듯 덧붙였다.
인터뷰 끝에 그는 며칠 남지 않은 촛불 1년 기념 집회에 나가보려 한다고 했다. 그는 "1년간 사람들에게 어떤 변화가 있었을지, 모습과 표정이 궁금하다"고 말했다. 지난 2일 청계광장과 서울역에서 그는 무엇을 보고 또 느꼈을까.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