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9년은 유엔(UN)이 결의하고 국제천문연맹(IAU), 유네스코(UNESCO)가 지정한 '세계 천문의 해'이다. 실제로 2009년은 아주 뜻깊은 해이다. 갈릴레이가 망원경을 만들어서 천체를 관측하기 시작한 지 400주년, 허블의 우주 팽창 발견 80주년, 인류의 달 착륙 40주년, 외계 지성체 탐사 프로젝트 제안 50주년 및 메시지 송신 35주년을 맞은 해이기 때문이다. 우리나라에서도 '2009 세계 천문의 해'를 맞아 한국조직위원회를 만들어서 국제 캠페인에 참여하고 있다. 4월 2일부터 5일까지 전 세계 천문대에서는 100시간 동안 연속으로 별을 관측하고 길거리에서 천문학자·아마추어천문가가 일반인과 함께 별을 관측하는 전 지구적인 행사가 열린다. 또 우리나라에서는 특별히 이동 천문대 '스타-카'가 소외 지역 아이들을 찾아가고, '과학과 예술의 만남'과 같은 전시회도 준비 중이다. 이런 내용은 2009 세계 천문의 해 한국조직위원회 운영하는 홈페이지와 웹진 <이야진(IYAZINE)>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바로 가기) <프레시안>은 이런 '2009 세계 천문의 해'를 맞아 '문화, 우주를 만나다' 연재를 <이야진>과 공동으로 연재한다. 하늘의 별을 바라보면서 꿈을 키웠던 여러 분야의 사람들이 별, 우주, 문화, 예술 등을 화두로 매주 한 편씩 에세이를 선보인다. |
▲ 이 주의 천체 사진 : 게 성운. 황소자리에 위치하고 있는 게 성운(Crab nebula)은 1731년 영국의 존 베비스에 의해 발견되었다. 그 후, 1758년에 샤를 메시에는 혜성을 찾던 중 이 성운을 발견하였으나 움직이지 않는 것을 알게 되었고, 혜성과 착각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새로운 목록(Messier Catalog)을 만들어 이 성운의 이름을 M1이라 하였다. ⓒ한국천문연구원(촬영자=고창균) |
참 신기하다. 입안에서 맴돌던 '별'이라는 단어를 입 밖으로 내뱉을 때면 허공으로 수많은 별들이 비 오듯 쏟아져 내리고 나는 한 뼘씩 키가 작아져 어느새 아홉 살 어린아이가 된다.
별이 총총히 박혀있던 한 여름 밤의 옥수수 밭은 아이들 놀이터. 그 곳엔 하루에 한 번 기차가 지나갔는데 그 기차는 항상 시커먼 석탄을 실어 날랐다. 높은 산처럼 쌓여있던 석탄 화차의 실루엣은 어스름한 저녁 무렵이면 어김없이 나타나 평야처럼 펼쳐진 옥수수 밭을 한동안 요란스레 만들었었지. "하나, 둘, 셋…" 나는 열심히 기차의 꼬리를 세어 보았다. "열!" 언제나 열 량짜리 기차가 지나갔다. 그리고 그 위로 달이 뜨고 별이 빛났다. 나의 별은 항상 내 키보다 훨씬 높았던 그 옥수숫대 위에 서 있었다.
"그런데 넌 멀리서 왔지! 탐험가니? 네 별 이야기를 해 주렴" 누군가 어린왕자에게 물었다. "내 별은 별로 흥미로울 게 없어요. 아주 작거든요." 두 개의 활화산과 하나의 사화산 그리고 바오밥나무의 씨와 장미 한 송이가 전부인 어린왕자의 별. 나도 어린왕자처럼 대답하면 어떨까? 누군가 나의 별을 궁금해 한다면.
사실 세상 사람들이 다 알고 있어 딱히 흥미로울 게 없는 나의 별은 '우표'. 하지만 아무도 쳐다보지 않아도 별은 빛난다. 그래서 별을 품은 우표들이 더 은은한 것은 아닌지.
별을 노래하는 우표 하나 : 어린왕자
1944년 7월의 마지막 날 프랑스 코르시카의 공군 비행장에 귀환해야 할 비행기 한 대가 모습을 보이지 않았다. 그 비행기는 어떤 구조 신호조차 보내지 않은 채 흔적도 없이 사라졌는데 이 날 영원히 행방불명된 조종사의 이름은 앙투안 드 생텍쥐페리였다. 그는 프랑스인이 가장 사랑하는 작가로서 실종되기 1년 전 발표했던 <어린왕자>는 제2차 세계 대전으로 암울했던 사람들에게 깊은 상처를 치유해주는 사랑의 입맞춤이 되었다.
내가 별을 생각할 때 제일 먼저 떠오르는 것은 소행성 B612에 살고 있는 어린왕자였다. 지난 1999년 프랑스 우정청은 '프랑스 세계 우표 전시회'를 기념해 다섯 종의 우표를 발행했는데 그것은 바로 생텍쥐페리의 <어린왕자>였다. 생텍쥐페리가 직접 그린 사랑스런 일러스트로 가득한 이 우표들을 바라보고 있으면 책 속의 장면 하나하나, 어린왕자의 대사 하나하나가 중첩되어 동그랗게 떠오른다.
"사막이 아름다운 건 어디엔가 우물이 숨어있어서 그래." 어린왕자는 그렇게 말했었지. 노란 색으로 그려진 어린왕자가 조용히 나무 쓰러지듯 넘어지는 마지막 장면까지 변지에 그려져 더욱 가슴 아프게 만드는 이 서정적인 우표 때문에 많은 사람들은 다시금 <어린왕자> 이야기를 펼쳐보지 않을 수 없었으리라.
▲ <생텍쥐페리의 어린왕자>(프랑스 세계 우표 전시회 기념 우표, 프랑스, 1999). ⓒ한국천문연구원 |
별을 노래하는 우표 둘 : 밀레니엄 시리즈 우표
별이 유독 어린아이에게만 반짝거리는 것은 아닐 텐데 왜 어른이 되면 별의 존재가 그 거리만큼 희미해지는지 알 수 없는 노릇이다. 텔레비전 프로그램처럼 단어마다 연령 제한이 정해져 있는 걸까. 언제부턴가 '별'이라는 단어가 참 낯설게 다가왔다.
1999년은 전 세계가 새 천년을 여는 밀레니엄의 축제에 휩싸여 있었다. 우리나라를 비롯하여 영국, 미국 일본 등 많은 나라에서 '밀레니엄 시리즈 우표'가 발행되었는데 우리나라는 구석기 시대부터 현대사까지 5000년 역사를 되짚어보는 프로젝트로 진행하였다.
미국 역시 그들의 짧지만 굵고 힘찼던 지난 역사를 연도 별로 정리하여 한 편의 영화를 보듯 멋진 시리즈 우표로 완성하였다. 그 중 내 눈에 들어온 것은 1982년 스티븐 스필버그의 영화 <ET>였다. 외계인 ET의 얼굴이 대문짝만하게 실린 우표. 수많은 키워드 가운데 뽑혔을 ET가 미국인의 역사 속에서 어떤 가치가 있는 존재인지 대략 짐작이 간다.
영국의 밀레니엄 우표는 영국다운 세련미와 지성, 감각이 돋보이는 매우 은유적인 우표들로 채워졌다. 1840년 영국에서 최초로 우표가 탄생되고 난 후 영국은 우표의 종주국답게 언제나 새로운 시도와 발상으로 나를 설레게 했는데 때론 모든 걸 말해주지 않는, 드러내지 않는 우표들이 가슴에 더 깊이 남을 때가 있다. 불친절한 우표일수록 더 생각할 여지를 주기 때문이다.
행성 가운데 가장 아름답고 독특한 형태의 토성을 무지개빛처럼 화려하게 단장시킨 <뉴턴 허블 망원경> 우표와 은하수의 광활한 모습을 여과 없이 보여주는 <레스터 국립우주센터>우표. 이 우표들은 어딘지 심심하다. 허블망원경이든 우주센터든 그들과는 아무 상관없다는 듯이. 오히려 난 이들이 밋밋해서 좋고 간결해서 좋다. 왠지 오늘 밤 밤하늘을 보지 않으면 안 될 것 같은 무언의 협박을 하는 것 같아 좋다. 그리고 막연히 별을 그립도록 만들어줘 좋다.
▲ 왼쪽 : <토성(Newton/Hubble Telescope)>(밀레니엄 시리즈 우표, 영국 1999), 오른쪽 : <은하(National Space Centre/Leicester)>(밀레니엄 우표, 영국 2000). ⓒ한국천문연구원 |
별을 노래하는 우표 셋 : 라이카
스웨덴 영화 <개 같은 내 인생>에서 처음 라이카를 알게 된 후 내내 우울했던 기억이 난다. 구소련 시절 우주로 보낸 동물 실험용 개. 언제나 주인공 잉마르와 함께 연상되어 나타나는 라이카의 존재는 비오는 무성영화처럼 슬프고 어둡고 축축하다.
1957년 11월 3일에 발사된 인공위성 스푸트니크 2호에는 개 한 마리가 타고 있었다. 러시아어로 '짖는 동물'이라는 뜻의 라이카는 우주비행을 위해 강도 높은 훈련을 받았고 드디어 살아있는 생명체로는 최초로 우주를 여행하는데 성공하게 된다. 라이카의 성공을 밑거름으로 비로소 우주 개척 시대가 열리고 1961년 인류 최초의 우주인 '유리 가가린'이 탄생하게 되었다.
▲ <우주개 라이카>(스푸트니크 2호 발사 기념 우표, 루마니아, 1957). ⓒ한국천문연구원 |
라이카는 대기권 밖의 견디기 어려운 고온과 공포로 인해 발사 후 몇 시간 만에 죽었다는 증거가 나온 것이다. 애초부터 라이카는 살아서 돌아오지 못할 운명이었다. 그 당시로는 발사된 인공위성을 다시 회수할 수 있는 기술이 개발되지 못했던 것이다.
우리의 기억 장치는 원하는 것만 저장하기를 원한다. 그러니 여전히 난, 라이카가 지금도 지구 밖 어느 궤도를 돌며 아름다운 행성들을 바라보고 있을 거라고 생각하는 것이지. 아니 벌써 50년이나 지났는데도 말이다. 어쭙잖은 상상이나마 라이카에게 위로가 된다면 덜 외롭지 않을라나. 더 외로울라나.
별을 노래하는 우표 넷 : 별자리
별자리는 별이 보이는 모습을 연결하여 사물의 이름을 붙인 것이다. 고대 그리스의 천문학자 프톨레마이오스는 그리스 신화를 바탕으로 전해지는 48개의 별자리를 확정하여 기록하였는데 지금은 이 48개의 별자리에 별을 더 나누고 남쪽에서 보이는 별자리를 추가하여 국제천문연맹(IAU)에서 정한 88개의 별자리를 사용하고 있다고 한다.
2005년 미국 우정청에서는 봄, 여름, 가을, 겨울 계절별 대표적인 별자리들을 묶어 재미있는 4종의 스티커 우표를 발행하였다. 검은 바탕에 매혹적인 색감과 일러스트로 표현된 이 우표들은 다분히 이국적인 냄새를 풍기며 별에 대한 상상력과 그리스 신화 속 이야기를 떠올리게 한다.
그리스 네메아의 포악한 사자를 무찌른 용감한 헤라클레스, 사랑하는 아내를 잃고 슬픔으로 방황하다 죽은 오르페우스의 하프, 또 자신의 손으로 사랑하는 오리온을 죽여야 했던 아르테미스의 슬픔, 커다란 사각형 별 속에 활짝 날개를 편 천마 페가수스까지 모두 하나하나 숨은 사연들을 간직한 채 반짝거리고 있다. 어렵게 느껴지는 천문과 그리스 신화의 이야기를 이처럼 어여쁘게 풀어낸다면 밤하늘을 보는 일이 더욱 즐거우리라.
▲ <밤하늘의 별자리 : 사자자리, 오리온자리, 거문고자리, 페가수스자리>(우취의 달 기념 우표, 미국, 2005). ⓒ한국천문연구원 |
별을 노래하는 우표 다섯 : 세계천문의 해
시간이 흐르면 모든 것이 아쉽기 마련이다. 이 코딱지만한 우표가 나오기까지 나는 얼마나 끝없는 생각의 늪에서 허우적거렸나. 허블과 TWAN 사이트에서 천체 사진 작가들의 환상적인 작품들을 훔쳐보며 감히 짝사랑하지 않았다고 부인하지 않겠다.
그 가운데 나를 사로잡은 건 NGC 5195라는 은하가 M51의 나선팔과 충돌하면서 수천억 개의 별들이 동시다발적으로 탄생하고 있는 <나선은하 M51>과 가스와 먼지구름으로 둘러싸여 마치 푸른 눈동자를 닮은 <행성상성운 NGC 3132>였다.
이들은 별이 태어나서 사라져가는 우주의 이치를 매우 몽환적인 이미지로 보여주고 있었다. 나는 아직 한 번도 우리나라 우표에 소개되지 않았던 허블망원경으로 촬영된 천체의 신비로운 모습을 모든 사람들과 공유하고 싶었다. 그것이 수많은 디자인 컨셉트 가운데 천문에 대한 호기심을 불러일으키기에 가장 좋은 소재라는 생각이 들었기 때문이다.
내게 우표는 매직아이 같은 세상이다. 그 안을 가만히 들여다보면 비록 내 눈은 사시가 되어 우스꽝스럽지만, 표면에 드러난 그림과 드러나지 않은 숨은 그림의 공간 사이로 훅하고 빨려 들어가게 되는 것을 느낄 수가 있다. 바로 착시의 바다를 헤엄치게 되는 순간이다. 우표는 가상을 현실화시키고 현실을 가상화시키며 세상을 이야기한다. 어쩌면 내가 한 번도 보지 못한 은하와 성운의 모습을 우표에 어렵지 않게 담을 수 있었던 것도 이런 이유가 아닐는지.
사물의 형태나 크기, 거리와 상관없이 매직아이 같은 우표를 들여다보면 디자이너가 말하고 싶었던 모든 것들을 만날 수 있을 것이다. 회오리바람의 은하수와 푸른 고양이 눈동자 성운, 결코 속마음을 말해주지 않을 것 같은 비밀스런 우주의 빛깔들, 멋드러진 천상열차분야지도의 성좌, 저 별을 처음 발견한 사람의 떨리는 심장, 묵호의 하늘, 김광민의 '지구에서 온 편지', 지리산 피아골의 별밤, 라이카, 재스퍼국립공원의 캠핑장, 생텍쥐페리 그리고 별을 사랑했던 화가 고흐까지도.
▲ <나선은하M51 / 행성상성운 NGC 3132>(2009 세계천문의 해 기념 우표, 대한민국, 2009). ⓒ한국천문연구원 |
언제부터였을까. 내 작은 지갑 안에 들어있던 낡은 우표 한 장. 그것은 <토구도>라는 민화 우표로 계수나무 아래에서 절구를 찧는 한 쌍의 토끼와 나무 사이에 걸려있는 새초롬한 하얀 달이 참 소박한 그림이다. 어릴 적 바람결에 들었던 그 달나라의 토끼들인지, 달빛 아래 풍요를 비는 전통적 우주관이 다만 정겹고 그리울 뿐이다.
세상에는 이렇게 사소하지만 아름다운 우표들이 그들만의 방식으로 천문과 우주를 노래하고 있다. 별이 진다고 사라지는 것이 아니듯 내일도 우표는 별에 관하여 이야기하게 되겠지. 이것이 우표가 별을 노래하는 이유가 될까? 갑자기 가슴이 두근거린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