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인화면으로
한국 공포영화가 사라진 이유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
  • 밴드 공유하기
  • 인쇄하기
  • 본문 글씨 크게
  • 본문 글씨 작게
정기후원

한국 공포영화가 사라진 이유

[오동진의 영화갤러리]

(*이 글은 영화주간지 '무비위크' 최근 호에 실린 글임.) 덥다. 너무 덥다. 한국의 여름은 이제 견딜 수 없는 지경의 날씨가 돼버렸다. 그래서일까. 경기가 안좋다고 야단법석이다가도 사람들은 정해진 시간이 되면 피서를 떠나기 바쁘다. 돈도 없고 시간도 없는 나 같은 사람은 이럴 땐 그저 국으로 극장에나 가면 될 일이다. 극장이 가장 시원하기 때문이다. 그것도 아니면 선풍기 하나 틀어 놓고 줄창 장르 소설이나 읽든지. 그래서 요즘 어쩡쩡한 대중소설 몇권 읽었다. 막심 샤탕의 <악의 주술>인가 뭔가는 읽다가 중간쯤 멈춰져 있는 상태다. 재미없어서가 아니라 중간중간 좀 늘어지는 느낌때문이었다. 하기사 이 프랑스 작가의 사립탐정 조슈아 브롤린 시리즈는 웬지 할리우드를 흉내내려는 뤽 베송이 자꾸 생각나 자꾸 심드렁해진다. 뤽 베송이 아니면 <크림슨 리버>를 만들었던 마띠유 카소비츠가 생각난다. 프랑스판 미스터리 스릴러는 이상하게 뒤가 좀 흐릿하다. 그 중간에 잡은 책이 리 차일드의 잭 리처 시리즈, 그러니까 <추적자>였다. 요건 좀 읽을 맛이 괜찮았다. 살짝 섹스 코드까지 있어서 읽는 도중 '므흣'한 면도 없지 않았다. 하지만, 비교적 두꺼운 이 책도, 중간에 흥,하는 코웃음을 나게 했는데 리 차일드라는 이 작가, 과거에 장르 소설을 꽤나 봤는지 극중 캐릭터를 여기저기서 훔쳐온 느낌이 좀 들어서였다. 특히 주인공인 잭 리처는 아무리 접고 보려고 해도 레이몬드 챈들러가 만들어 낸 사립탐정의 신화 필립 말로우를 할리우드 영웅 브루스 윌리스와 섞어 낸 듯한 인상을 지울 수가 없다. 뭐, 세상에 새로운 게 어디 있겠는가. 다 거기서 거기, 신선도를 조금 덧붙이는데 불과하지 않겠는가. 이야기의 아귀가 딱딱 들어맞는 것만 해도 어디인가. 게다가 리 차일드의 문장은 마치 헤밍웨이처럼 똑똑 끊어지는 단문이어서 읽는 맛도 나쁘지 않았다. 85점!
기담

그러나 아무리 높은 점수를 준다 한들 책은 책이다. 더위가 가시지 않는다. 그래서 극장에 가야 하는데, 극장에는 죄다 같은 영화들만이 걸려 있다. 원래 이맘 때에는 공포영화들이 줄줄이 걸려서 간담을 서늘하게 만드는 구석이 좀 있어야 한다. 하지만 특히 올해는 공포영화, 무엇보다 한국형 공포영화가 코빼기를 찾아 보기 힘든 지경이다. 물론 <고死 :피의 중간고사>가 있긴 하지만 그것 하나만 가지고는 아무래도 성이 차지 않는다. 지난 해 봤던 <기담>같은 영화가 하나쯤 더 있었으면, 팔뚝에 소름돋는데 도움이 더 됐을까. 아마도 그러지 않았을까 싶다. <기담>의 엄마 귀신은 지금도, 생각날 때쯤 생각을 멈춰야지 그렇지 않으면 잠을 자다가 중간에 살포시 눈을 뜨면 침대 옆에 머리를 푼 여인의 잔상을 보게 마련이다. 하이고 그것 참 끔찍한 일이 아닐 수 없다. 한국 공포영화들이 왜 이렇게 사라졌을까. 김지운 감독의 <장화, 홍련>이나 이수연 감독의 <4인용 식탁>처럼 인상적이면서도 사회적 의미론을 지닌 공포영화가 나올 때가 그리 멀지 않은 과거였다. 겉으로는 평온한 듯 보이지만 안으로부터는 해체와 파괴의 행위가 진행되고 있는 우리사회의 단면도를 보여주는 듯한 작품들. 왜 요 몇 년 간은 그런 작품을 찾아 보기 어려웠을까. 일각에서는 공포영화란 게 워낙 한정된 관객층을 대상으로 하다 보니 남는 게 없는 장사여서 제작자들이 기피하는 장르가 됐다는 분석아닌 분석을 내놓는다. 전혀 말이 안되는 얘기라고 할 수는 없겠으나 그보다 더 중요한 것은 공포영화를 만들겠다는 작가나 제작자의 미학적 야심이 부족해서이지 않을까라는 생각을 지울 수가 없다. 볼 거리 가득한, 깜짝깜짝 놀라게만 하는 이벤트형 팝콘무비를 만들면 공포영화로서의 제몫을 다하는 게 아니냐는 안일한 생각이 사람들로 하여금 이들 영화에게서 멀어지게 한 요인이 아닐까 싶다. 거 무슨 훈장 같은 소리냐고? 리 차일드든 막심 샤탕이든, 웬만한 탐정소설 갖고는 재미를 못느낀다. 하도 많이 봤기 때문이다. 공포영화도 마찬가지다. 새로운 것, 우리 스스로를 되돌아 보게 만드는 것, 그런 얘기가 아니면 자꾸 코웃음만 나는 법이다. 내년 여름에는 좀 제대로 된 공포영화를 이것저것 볼 수 있을까? 정말 그랬으면 좋겠다.

이 기사의 구독료를 내고 싶습니다.

+1,000 원 추가
+10,000 원 추가
-1,000 원 추가
-10,000 원 추가
매번 결제가 번거롭다면 CMS 정기후원하기
10,000
결제하기
일부 인터넷 환경에서는 결제가 원활히 진행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kb국민은행343601-04-082252 [예금주 프레시안협동조합(후원금)]으로 계좌이체도 가능합니다.
프레시안에 제보하기제보하기
프레시안에 CMS 정기후원하기정기후원하기

전체댓글 0

등록
  • 최신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