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기에 영국의 <파이낸셜타임스(FT)는 18일 3600억 달러에 달하는 이른바 '여유 자금' 중 무려 1000억 달러가 이런 투자 손실을 초래할 위험이 큰 파생상품에 투자됐다고 폭로했다.
JP모건의 이런 투자는 CDS(부도위험스와프)처럼 부도 위험 확률의 방향을 놓고 사실상 도박처럼 베팅하는 파생상품이 집중됐고, 너무 많은 자금이 들어가 손실을 줄이기 위해 처분하기도 어려운 '연못 속의 고래'의 처지에 놓였다고 지적된다.
▲ 미국 최대은행 JP모건체이스의 투자손실 사건이 갈수록 확산되고 있다. ⓒAP=연합 |
<파이낸셜타임스>의 금융 칼럼니스트 질리언 테트는 이런 위험한 투자의 배경에 대해 '저금리 시대'를 지목하기도 했다. 미국의 국채 같은 안전자산의 금리가 계속 떨어지고 있는 반면, JP모건처럼 거대 은행은 잉여자금을 굴릴 곳이 없어서 도박 같은 파생상품에 몰리게 됐다는 것이다.
하지만 보다 많은 수익을 얻기 위해 일반적인 베팅 방향과 다른 곳에 무리하게 많은 투자를 한 배경은 아직 베일에 가려있다.
이때문에 미 연방수사국(FBI)도 JP모건의 투자손실 사건에 대해 예비조사에 착수했다. 전문가들은 FBI가 불법 행위가 즉각 드러나지 않은 사안에 대해 이번처럼 일찍 조사에 착수한 건 이례적이라고 밝혔다. FBI와 별도로 미 증권거래위원회(SEC)도 이번 사안에 대해 조사를 벌이고 있다고 외신들은 전했다.
이번 사건으로 월가에 대한 규제를 강화해야 한다는 여론이 힘을 받고 있다. JP 모건처럼 거대 은행들을 그대로 방치하다가는 '대마불사'를 믿고 멋대로 투자하다가 금융시스템 붕괴를 초래할 정도의 타격을 주는 일이 반복되고, 막대한 자금을 굴릴 곳이 마땅치 않아 위험투자에 몰리게 되는 구조적인 문제도 좌시할 수 없다는 것이다.
FBI와 증권거래위원회가 즉각 조사에 착수한 것도 바로 월가에 대한 규제와 관련이 있다. 미국 정부는 JP모건의 대규모 투자 손실을 은행에 대한 규제 강화의 호기로 보고 있다. 사정당국이나 금융당국의 조사도 이에 대한 근거를 마련하기 위한 것으로 보인다.
"백악관, 월가규제 방안 놓고 재무부와 논의 중"
<월스트리트저널(WSJ)>에 따르면 백악관은 은행이 투기적 거래를 하는 것을 방지하는데 필요한 강력한 규제를 만드는 방안을 재무부와 심도 있게 논의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하지만 연말 대선을 앞둔 상황에서 월가의 규제강화는 민감한 이슈라는 점에서 실효성 있는 규제안이 나올지 의문이라는 지적도 있다.
JP모건의 투자 손실 사건은 투자자들의 집단소송으로도 이어지고 있다. JP모건의 최고경영자 다이먼이 이번 발표 한 달전에, 대규모 손실이 나고 있다는 <월스트리저널>의 보도가 나오자 "별 것 아닌 손실"이라고 일축한 것이 '허위공시'에 해당한다는 것이다.
다이먼 최고경영자의 발언을 믿고 JP모건의 주식을 산 투자자들은 한 달 뒤 투자손실을 인정하는 공식 발표 이후 10% 넘게 주가가 하락하면서 손해를 입었고, 이는 JP모건의 허위공시 때문이라는 주장이다.
미국의 집단소송이 무서운 것은 일단 이 소송에 이기면 관련 피해자들 모두에게 배상해야 한다는 점에서 JP모건의 투자손실과 손해배상 규모가 얼마나 커질지 가늠하기 힘들다는 관측이 나오고 있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