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제재안은 시리아 중앙은행과 금융거래를 중단하고,아랍연맹 국가와 시리아 간 경제협력을 중단하는 것을 골자로 하고 있다. 시리아 정부 자산 동결, 필수품을 제외한 무역 단절, 시리아행 민간항공기 운항 금지 등도 포함됐다.
▲ 시리아에 대해 아랍연맹이 경제제재를 결의하는 등 국제사회의 압박이 거세지고 있다. 하지만 아사드 정권의 유혈진압은 계속되고 있다. 사진은 아사드 지지자들이 아사드의 초상을 앞세우고 시위하는 모습. ⓒAP=연합 |
하마드 빈 자심 카타르 외무장관 겸 총리는 회담이 끝난 뒤 기자회견에서 "연맹의 22개 회원국 가운데 19개국이 제제 안을 승인했다"고 말했다. 아랍연맹이 시리아 정부에 수차례 유혈 진압 중단을 촉구하다가 2주전 시리아의 회원 자격을 정지시켰지만, 실질직인 제재를 가하기는 이번이 처음이다.
아랍연맹은 시리아에 지난 25일까지 '민간인 보호를 위한 감시단'을 받아들이라고 요구했으나 시리아가 이를 받아들이지 않자 제재에 착수했다.
이런 가운데 시리아에서는 26일에도 폭력 사태가 계속돼 민간인 27명 등 총 42명이 숨졌다. 시리아에서는 바샤르 알 아사드 시리아 대통령의 퇴진을 요구하는 반정부 시위가 발생한 이후 8개월 동안 3500명 이상이 숨진 것으로 유엔은 추정하고 있다.
아랍연맹은 시리아 일반 국민에게 피해를 줄 의도가 없다고 강조했으나, 이번 조치는 시리아 경제를 더 악화시킬 것으로 전망된다.
시리아에 대한 아랍연맹의 경제제재 조치에 대해서는 기대와 우려가 교차하고 있다. 영국의 <파이낸셜타임스(FT)>는 시리아 야권과 관계된 시리아 출신 이코노미스트의 발언을 인용해, 아사드 정권이 이번 조치가 시행되면 상당한 타격을 받을 것이라고 전했다. 특히 정권의 자금 조달에 차질을 빚어 조달 비용이 높고 복잡한 다른 방법을 쓰게 될 것이라는 관측이다.
레바논과 이라크 등 주요 교역국 미온적 태도
하지만 이번 제재안에 찬성하지 않은 레바논과 이라크, 그리고 찬성은 했지만 미온적인 요르단이 사실상 시리아에 대한 경제제재를 하지 않을 가능성이 높아 실효성이 떨어진다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레바논과 이라크는 시리아의 교역에서 20%의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오히려 아사드 정권이 경제제재를 빌미로 시위 탄압을 더욱 강경하게 하고, 시리아 주민들의 경제가 갈수록 피폐해질 것이라는 우려도 나오고 있다.
시리아의 경제는 8개월이나 지속된 시위와 유혈사태, 시리아 석유의 주요 수입국인 유럽연합(EU)의 수입 중단 등 국제적인 경제제재로 인해 상당히 타격을 받은 상태다. 국제통화기금(IMF)는 시리아의 경제성장률이 2% 정도 낮아질 것으로 예상했다.
또한 아사드 정권이 태도를 바꿀 정도로 아랍연맹의 경제제재가 결정적 타격을 줄 정도로 충분할지 의문이라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서방의 한 외교관은 "아사드 정권은 지금까지 각종 압력에도 불구하고 믿을 수 없을 정도의 끈질김을 보여줬다"면서 "아사드 정권은 외부의 경제제재를 주민의 시위를 억제하는 명분으로 활용하고 있다"고 말했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