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맹'과 '총명'이라는 수식어가 늘 따라붙는 무니르는 노동운동, 국가폭력 반대 운동, 과거사 청산 운동, 안보기관 개혁 운동에 헌신함으로써 수하르토 독재의 몰락과 민주주의 진전에 기여했고, '콘트라스'와 '임파르샬' 같은 선명한 주창형 운동단체를 조직적 유산으로 남겨 인도네시아 최고의 인권운동가로 평가받는 인물이다.
무니르는 2004년에 9월 7일에 암스테르담행 인도네시아 국영항공기 안에서 사망했다. 네덜란드 당국의 부검 결과 사인은 치사량을 훨씬 웃도는 독극물 섭취로 밝혀졌다.
▲ 고(故) 무니르 사이드 탈립 ⓒ전제성 교수 |
독극물을 음료에 투입했다는 조종사 뽈리 까르뿌스 쁘리얀또가 우여곡절 끝에 대법원 재심의까지 거쳐 20년형을 언도받고 반둥 감옥에 수감되었다. 그를 보안요원으로 항공기에 탑승토록 허용하는 공문을 위조하여 발송한 세 명의 국영항공사 직원들도 실형을 선고받았다. 또한 올해 2월에는 국영항공사가 무니르 유족에게 우리 돈으로 4억 원 이상을 보상해야 한다는 대법원 판결도 얻어냈다.
그러나 최고의 법률적 승부는 독살의 공범이자 배후에 대한 형사소송이었다. 심증이 가는 여러 권력자들 중에서 증거가 발견된 묵디 한 명만을 대상으로 삼은 소송이었지만, 역시 만만치 않았다.
검찰은 사건 전후에 묵디와 뽈리 간 41건의 휴대폰 통화기록을 핵심 증거로 제시하였지만, 2008년 12월 31일 남부 자카르타 지방법원은 증거 불충분을 이유로 묵디에게 무죄를 선고했고, 대법원도 2009년 6월 묵디의 손을 들어주었다.
적지 않은 수의 증인들이 불출석한 파행 재판이었고, '애국자' 묵디를 위한 '어깨들'의 위협적인 지지시위도 있었다. 판사들이 매수되었을 것이라는 이야기가 나돌고, 소송을 이끌었던 시나가 검사는 광범한 부패사건의 연루자로 조사를 받는 처지가 되었다.
새로운 증거를 제시해야만 법률적으로 마지막 단계인 대법원 재심의를 요청할 수 있기에, 묵디의 법적 단죄는 무산되고 마는 것 같았다. 그런데 무니르의 유족과 동료들은 포기하지 않았다. 그리고 놀랍게도 경찰이 묵디의 혐의를 입증할 새로운 증거들을 확보하고 있으며, 가장 결정적인 증거가 뽈리와 묵디 사이의 통화 녹음테이프라는 이야기를 듣게 되었다. 그러나 대검찰청이 "학습하는 중"이라거나 "때를 기다리는 중"이라는 애매한 표현을 흘리며 '마지막 무기'의 사용을 주저하고 있어서, 대검찰청 앞에서 철야시위가 벌어지게 된 것이다.
묵디는 동티모르와 인도네시아 내 이리안자야(현 파푸아)처럼 악명 높고 험난한 분쟁지역의 야전에서 '경력'을 쌓았고 수하르토 체제 말기에 특전단 사령관으로 복무한 전도유망의 장성 출신이다. 그러나 특전사령관 재임 시 민주화운동가들에 대한 조직적 납치를 지휘한 것으로 무니르에 의해 지목된 바 있고, 결국 '임무해제' 명령을 받아 소장계급을 끝으로 퇴역해야만 했다.
이로 인해 무니르에 대한 묵디의 원한이 시작되었을 것이라고 사람들은 추정한다. 그러나 묵디는 국정원 부원장으로 영전되면서 민주화 이후에도 정치적 영향력을 발휘할 수 있었고, 군 출신과 민간 출신 후보의 대결로 압축된 2004년 대선 때는 역설적이게도 군 출신 수실로 밤방 유도요노(현 대통령)와 맞붙은 민간 출신 메가와티 수카르노푸트리 당시 대통령의 편에서 선거를 도왔다.
바로 이 때 무니르 독살사건이 발생했다. 그래서 음모가설은 안보기관을 넘어서 민간정치부문의 실력자들까지 포괄하는 중층적인 양상으로 퍼져나갔던 것이다. 묵디는 독살배후로 제소된 뒤에 오히려 더 적극적으로 정치에 가담하여 대인도네시아운동당(Gerindra)의 부총재를 역임하더니, 최근에는 말년을 이슬람정치에 헌신하겠다며 통일개발당(PPP)에 입당하여 언론의 주목을 받고 있다.
지난 7일 무니르가 설립한 '콘트라스'와 국제이행기정의센터(ICTJ)는 수하르토 체제 종식 이후 13년간 추구된 이행기 정의(transitional justice)의 역정을 평가하는 보고서를 발표했다. 민주화 초기에 여러 희망찬 시도들이 있었지만, 구세력과의 타협적 시기를 거쳐, 최근에는 아예 꽉 막힌 시기를 맞이하게 되는 허탈한 과정을 기록한 것.
그 동안 인권침해사건과 관련된 고위급 장성들은 단 한 명도 법적으로 처벌받지 않았으며, 민주화 운동가 납치 사건의 지휘자인 묵디의 경우도 마찬가지였다. 오히려 민주화 이후에 더 활발하게 정치활동을 하고 있다. 대표적으로 1999년 동티모르 철수 시 발생한 군부폭력의 책임자인 위란또 장군, 1998년 5월 반(反) 중국인 집단폭력의 책임자 쁘라보오 장군이 대‧부통령선거에 후보로 출마한 바 있고, 차기 대선에도 출마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과거사가 정리되지 않은 탓에 2014년 인도네시아 대선의 전망도 따라서 회귀적이다. 이로써 '진실은 무력하고 정의는 강자의 편'이라는 국민적 학습이 지속된다.
▲ 수하르토 정권 말기에 납치된 민주화 운동가들의 사진을 담은 플래카드. 전제성 전북대 교수가 관련 운동 단체에서 직접 촬영한 것이다. ⓒ전제성 교수 |
이런 정황에서 무니르 사건 형사소송은 인도네시아 인권의 '역사적 시험대'로 부각된다. 과연 특전사령관과 국정원 부원장을 역임한 국가폭력의 핵심인물을 감옥으로 보낼 수 있을 것인가? 인도네시아 인권운동은 역사상 단 한 번도 성공한 적이 없는 도전에 나섰고, 지금 그 장도의 막바지에 서 있다. 무니르는 과거사 청산운동의 중핵이었고 현재도 그러하다.
무니르는 수하르토 독재의 국가폭력에 과감하게 맞서면서 전국적 '스타'가 되었고, 과거에 갇힌 각종 국가폭력사건들을 되불러내고, 국가폭력의 '성채'인 안보기관의 개혁운동에 돌입하였다. 역사를 위해 투쟁하다 스스로 역사가 되었으며, 국가폭력의 피해자들을 옹호하다가 자신이 피해자가 되었다. 그래서 그는 반국가폭력의 화신이다.
고위급이 연루된 살인이라는 위키리크스의 폭로, 무니르를 거리명칭으로 삼겠다는 네덜란드정부의 발표, 거액의 민사배상에 대한 대법원의 최종판결, 심지어 묵디의 화려한 정치행보까지도 무니르에 대한 기억을 재생시키고 영웅적 서사를 재구성한다. 그러니 무니르가 아니라면 누가 할 수 있으랴? 아니 무니르라면 해낼 수 있을 것이다.
이번이 마지막 전투이다. 무니르는 생전에 묵디의 군복을 벗겼지만 감옥에 가두지는 못했고, 그래서 묵디의 복수가 가능했던 것이라고 동료들은 한탄한다. 무니르는 생전에 실패한 것을 사후에 성사시킬 수 있을까? 과연 '죽은 무니르'가 '산 묵디'를 결박시킬 수 있을 것인가? '시작은 있지만 결말이 없다'는 냉소로 얼룩진 인도네시아 인권침해의 역사와 법치의 비극이 이번 소송에서 단 한번이라도 깨끗이 마무리되는 선례를 남길 수 있을까?
이 '역사적 한 판'의 끝을 보려면 지금은 우선 대검찰청의 행동을 재촉해야만 한다. 대검찰청이 대법원에 재심의 요청서를 보냄으로써 반국가폭력의 화신 무니르가 유족과 동료들을 이끌고 마지막으로 '출전'할 수 있도록 '혈로'를 열어주어야 한다. 인도네시아의 민주화에 열광했고 민주주의 진전을 축하해온 연구자로서 필자는 인도네시아 민주주의의 수치인 '불처벌(impunity)의 악순환'을 돌파하는 대역사를 진정 목도하고 싶다.
* [아시아 생각]은 참여연대 국제연대위원회에서 발행하는 칼럼으로 이 글은 '서남포럼'에도 실렸습니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