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쇠'인 金(금) 역시 일정한 형체가 없다. 따라서 이런 것을 상형하자면 골머리를 싸매야 했을 것이다. 쇠붙이의 어떤 상황을 상형해야 하나?
<그림 1>이 전형적인 모습이다. 왼쪽에 있는 점은 1개부터 4개까지 다양하고 위치도 지금 글자꼴처럼 양쪽으로 나뉘어 들어가거나 한 공간에 몰려 들어가기도 하는 등 가지가지다. <설문해자>는 今(금)을 발음기호로 지목했는데, 현대의 학자들은 이를 거들떠보지도 않고 상형으로 설명한다. 광석을 녹여 형체를 만드는 거푸집 모양이라거나, 두 개의 쇳덩어리와 쇠를 녹이는 도가니 모습이라는 식이다.
그런데 今의 옛 모습이 <그림 3>이다. 가로획은 하나로 나타나는 경우도 있어 지금까지 한구석에 남아 있는 亼(집)이라는 글자가 今의 이체자임을 알 수 있다. <그림 1>은 이 今자에 王(왕)자 형태가 더해진 것이다. 가로획(점) 두 개가 한쪽으로 밀려나 있을 뿐이다.
그렇다면 金은 '今+王'의 합성자일 수 있다. 점이 하나뿐인 것은 亼 형태의 변형이 들어간 것이고, 점이 네 개씩 들어간 것은 <그림 2> 같은 모습을 보면 장식적인 필요에 의해 개수를 늘린 것뿐이다. 今이 발음기호라면 王 부분이 의미 요소여야 하는데, 이를 玉(옥)으로 보면 어느 정도 연결이 된다. 옥처럼 귀중한 것인데 종류가 조금 다르니 별도의 발음기호를 붙인 것이다. 金은 '今+玉'의 형성자인 듯하다.
金과 마찬가지로 今을 발음기호로 가지고 있지만 눈에 잘 띄지 않는 것이 '날짐승'인 禽(금)이다. <그림 4> 같은 소전체로만 가도 윗부분에 今자가 뚜렷하다. 그런데 여기서는 그 아랫부분을 새 잡는 그물이라 해서 상형 식으로 설명한다. <그림 5> 같은 모습에서 나온 얘기다.
그러나 禽의 아랫부분은 离(리)라는 글자다. 짐승의 모습을 한 산신을 가리키는 글자라고 하지만, 이는 禺(우)와 같은 글자다. 결국 禽은 今이 발음기호, 离=禺가 의미 요소인 형성자다. 禺는 원숭이의 일종을 가리키는 글자라고 하는데, 禺와 离와 禽의 의미가 정확히 맞아떨어지지는 않지만 비슷한 언저리에 있다. 딱 떨어지지 않는 것은 전승 과정의 오차로 설명될 수 있다.
合(합)은 여기서 今의 이체자로 본 亼과 口(구)를 합친 글자다. 단지 아가리(口)와 뚜껑(亼)이 꼭 맞는 것을 나타냈다는 식의 설명들이 있지만, 亼의 발음(今의 발음과는 좀 달라졌다)과 合의 발음이 그리 멀지 않은 것으로 보아 亼=今을 발음기호로 볼 수 있겠다. 口가 의미 요소라면 입을 '다물다' 정도의 의미였을까?
그런데 合이 亼=今과 口를 합친 구조라면 진짜 '今+口'인 含(함)과의 관계는 어떻게 될까? 두 가지 가능성이 다 있다. 合이 '今+口'의 구조임을 이미 잊어버린 상태에서 새로이 '今+口'인 含을 만들었을 수도 있고, 合과 含이 같은 글자에서 모양과 의미의 중점을 약간 달리해 분화했을 수도 있다. 含의 '머금다'와 合의 '합하다'('다물다')의 의미가 어느 정도 상통한다.
令(령)은 <그림 6> 같은 모습이 전형적이어서 꿇어앉은 사람에게 명령을 내리는 모습을 그렸다는 등으로 설명되고 있다. 亼은 口의 변형이라 해서 명령을 내리는 것을 나타냈다거나, 명령 내릴 때 쓰던 목탁이나 명령을 내리는 집 등 여러 가지로 설명한다.
그러나 今 계통의 발음이 念(념)으로 이어졌다고 볼 때 令의 발음 역시 그 근처에 있다. 令에서 亼=今을 발음기호로 볼 수 있는 것이다. 卩(절) 부분은 人(인)의 변형이어서 그것이 의미 요소일 수 있다. '하인'을 나타내는 형성자로 볼 수 있다.
이 밖에 亼과 발음이 비슷한 食(식)의 윗부분이나 令과 발음이 비슷한 侖(륜)의 윗부분 역시 모두 발음기호 亼=今으로 볼 수가 있는 것이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