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인화면으로
광개토대왕비의 답답한 해석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
  • 밴드 공유하기
  • 인쇄하기
  • 본문 글씨 크게
  • 본문 글씨 작게
정기후원

광개토대왕비의 답답한 해석

[김운회의 '새로 쓰는 한일고대사']<44> 우리의 이름, 왜(Wa) ①

제 15 장. 우리의 이름, 왜(Wa)

들어가는 말 : 광개토대왕비의 답답한 해석

광개토대왕비에는 다음과 같은 말이 있어 우리를 당혹스럽게 했습니다.

"百殘新羅, 舊是屬民由來朝貢. 而倭以辛卯年, 來渡□破百殘□□新羅以爲臣民."

이 부분은 "백제와 신라는 옛날부터 (고구려의) 속민으로써 조공을 하여왔는데 왜가 신묘년(391년) "까지는 문제가 없는데, 그 다음에는 글자가 망실되어 많은 논란이 되었습니다. 지금까지도 제대로 해결된 것은 없습니다. 그저 양국의 학자들이 아직도 입씨름을 하고 있죠.

그래서 "신묘년 이래 (백제와 신라가) 조공을 하지 않으므로, 백잔과 신라를 치고 신민으로 삼았다."라거나 "신묘년에 왜가 바다를 건너와 백잔을 깨뜨리고 신라를 신민으로 삼았다." 또는 "왜가 (신라를 신민으로 삼기 위해) 신묘년에 바다를 건너오므로 고구려가 왜를 쳐부수었다."로 해석하고 있습니다. 일단 주요 글자가 망실되어 정확한 의미를 알기는 어렵습니다. 열도(일본)에서는 주로 "왜가 391년 이후 백제를 쳐부수고 신라를 신민 즉 부용국(식민지)로 삼았다."라고 확실히 믿고 있습니다.

열도(일본)의 동북아의 고대사 즉 한국 고대사에 대한 기본적인 시각은 다음과 같습니다. 한반도 북부에는 고구려라는 강대국이 있고, 한반도의 남부 및 열도에는 왜(倭)라는 강국이 있으며 한반도에는 백제, 신라, 가야 등의 소국들이 고구려와 왜의 부용국 또는 조공국으로서 이들 강국(고구려와 왜)의 정치적 영향권 안에 있다는 것입니다. 따라서 근본적으로 '제대로 된 역사 연구'가 없이는 열도쥬신(일본인)의 생각을 고치기는 거의 불가능합니다. 반도쥬신의 사학계처럼 소중화 사상에 빠져 자기논리로만 무장하여 이를 극복하려고 해서 될 일이 아닙니다. 그러면 이 두 나라는 지금까지 천년 이상을 반목(反目)하여 살아온 것처럼 앞으로도 원수처럼 살아야 합니다.

열도의 이 같은 해석에 대해 반도의 사학계는 다양한 대응을 해왔습니다. 그 동안 워낙 많은 논쟁과 논란이 있었기 때문에 여기에서 논할 문제는 아닌 듯합니다. 다만 분명한 것은 이 비문에 왜(倭 : Wa)가 나타났다는 것입니다. 답답한 것은 반도의 사학계는 이 왜를 열도의 왜로만 생각한다는 것이죠. 소중화(小中華) 의식의 발로이겠지요.

제가 보기에는 이 같은 논쟁은 큰 의미가 없고, 다만 왜가 신라를 부용국으로 삼기위해서 대대적으로 침입한 상황으로 보입니다. 그래서 고구려 군이 신라를 도와주기 위해 내려온 것이겠죠.

이제 다른 부분을 봅시다.

"九年己亥, 百殘違誓與倭和通, 王巡下平穰. 而新羅遣使白王云, 倭人滿其國境, 潰破城池, 以奴客爲民, 歸王請命."

"(영락) 9년(399년) 기해년에 부여(백잔)의 잔당들이 맹세를 어기고, 왜와 통한후 한 무리가 되자, 왕이 평양 아래로 순수하였다. 신라가 사신을 보내어 왕께 고하여 말하길, '왜인이 나라의 지경에 가득하여 성과 못이 부셔지고, 깨져 백성이 노비로 되니, 왕의 군대가 돌아와 저희들의 목숨을 구해주십시오.'하였다."

눈에 띄는 것으로 백제(반도부여)와 왜가 한무리가 되었다는 말이 있군요. 특히 왜인이 나라의 지경에 가득하다는 말이 눈에 띕니다. 이 부분에 대해서 한국의 사학계는 도무지 대응할 길이 없죠. 겨우 말할 수 있는 부분이 백제의 지원군으로 동원된 것처럼 이야기합니다. 그런데 이상한 것은 적어도 신라에 대한 부분에 있어서는 전쟁의 주도세력이 백제가 아니고 왜로 분명히 나와있습니다. 글쎄요. 백제는 고구려의 극심한 침공으로 꼼짝을 못하고 왜가 이를 대신하고 있는 걸까요?

"十年庚子, 敎遣步騎五萬, 往救新羅. 從男居城, 至新羅城, 倭滿其中. "

"(영락) 10년 경자년에 (광개토대왕은) 보병과 기병 오만을 파견하여, 가서 신라를 구하였다. 남거성에서 나아가 신라성에 이르렀는데, 왜인이 그 가운데 가득하였다."라고 합니다. 그러니까 신라성 즉 경주 인근에 왜인(倭人)들이 가득하다는 말입니다.

"十四年甲辰, 而倭不軌, 侵入帶方界."

즉 "(영락) 14년 갑진에 왜가 법도를 어기고, 대방의 경계에 침입하였다."라는 말입니다. 원래 대방이라는 곳은 요동과 만주, 황해도 등 여러 지역을 부르는 말입니다. 그런데 위의 비문에 있는 말은 이후의 말들로 봐서 오늘날 평안도나 황해도를 가리키는 말로 보입니다. 분명한 것은 백제가 아니라 왜가 황해도 지역까지 고구려를 공격해들어갔다는 것입니다. 이것은 바로 이전에 고구려가 왜를 공격한 것에 대한 복수전의 성격이 강한 것으로 추정하는 것이 당연한 일이지요. 이것은 일본학자들의 입장이기도 합니다. 그래서 위의 기록은 한반도 남부를 원래 일본이 지배하고 있었기 때문에 당연히 고구려군의 침공에 대한 일본(왜)의 반격이라고 보고 있습니다. 그리고 이 견해는 에가미 나미오의 '왜한연합왕국설(倭韓聯合王國說)'설의 중요한 증거가 될 수 있죠.

▲ 광개토대왕비 탁본

그런데 이 부분에 대해서 한국의 사학계는 입을 꾹 다물고 있거나 궁색한 변명만을 늘어놓고 있습니다. 기껏하는 얘기가 이 전쟁은 백제가 주도했을 것이며 왜군은 지원군이었을 것이라는 것입니다. 그런데 위의 비문에 왜가 백제의 지원군이라는 얘기가 어디에 있습니까? 한국사의 연구 수준이나 패러다임이 얼마나 부실한 지를 보여주는 한 대목입니다. 제가 보기엔 왜라는 말이 한국인의 다른 이름 같은데요.

이것은 '왜 = 일본'이라고 생각하기 때문에 생긴 문제들입니다. 왜 = 가야인 또는 규슈지역의 가야인 또는 요동과 한반도에 이르는 해안 지역민을 낮추어 부르는 말로 이해하면 간단한 일입니다.

자 이제 이 문제에 대해 한번 생각해봅시다.

광개토대왕 시대라면 5세기 초입니다. 만약 왜가 고구려를 상대로 싸웠다고 하면 수천에서 수만의 군대가 전략적으로 신속히 동원되어야 합니다. 그런데 만약에 왜가 현재의 일본지역 사람들이라면, 두 가지 문제가 발생합니다.

하나는 강력한 고구려군을 상대하려면 적어도 2만 이상의 군대가 동원되어야 할 것인데 이 많은 병력을 일본 열도에서 누가 조직하고 동원했으며 그 보급로는 어떻게 구성했을까 하는 점입니다. 다른 하나는 열도에서 그 많은 병력을 단기간에 동원하여 이동시킬만한 항해술이 4세기 말에 있었는가 하는 점입니다. 뿐만 아니라 2만 이상의 군대를 동원하려면 동원되는 배만 해도 (사이메이 천황기의 기록과 대비한다면) 대형 선박으로 4백~5백여척이 필요한데 이것을 누가 어떻게 동원했는가 하는 점입니다.

만약에 그 많은 군대와 큰 배가 동원되었다고 하면 행정조직이 고도화되어있어야 합니다. 그런데 4세기 말의 일본에 대한 기록 자체가 없습니다. 특히 4세기에서 5세기초까지 일본에는 어떤 기록도 없어, '신비의 4세기'라고 할 지경입니다.

그 동안 유라쿠 천황(곤지왕)까지의 여러 가지 분석을 통해서, 우리는 야마토에 의한 일본 열도의 정치적 통합이 거의 6세기에 이르기까지도 제대로 진행되지 못하고 열도는 각종 정치세력들의 각축장이었다는 것을 보았습니다. 이 상태에서 무슨 군단급 해외파병이 가능한 일입니까? 항공모함이 있는 것도 아닐텐데 말입니다.1)

그러니까 생각을 바꾸고 사실을 "있는 그대로" 봐야한다는 것이죠.

'왜(倭) = 일본(日本)' 이라는 것 자체가 착각이죠. 원래 왜(倭)라는 말이 일본의 중심 지역인 현재의 오사카 - 교토 지역에 나타난 것은 최소로 잡아도 5세기 이후로 봐야합니다. 중국의 문헌 사료에서는 266년경부터 413년까지 약 150년간 왜에 관한 기사가 보이지 않지요. 그 이전 기록들은 주로 만주 - 한반도 등지에서 나타납니다. 그러니까 왜라는 말은 한국인들을 비하하여 부르는 말의 하나라는 것입니다.

필자 주

(1) 고대의 전쟁과정과 전쟁 물자의 이동과 관련된 사항은 김운회『삼국지 바로읽기』(삼인 : 2006) 22장, 29장, 42장 참고.


이 기사의 구독료를 내고 싶습니다.

+1,000 원 추가
+10,000 원 추가
-1,000 원 추가
-10,000 원 추가
매번 결제가 번거롭다면 CMS 정기후원하기
10,000
결제하기
일부 인터넷 환경에서는 결제가 원활히 진행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kb국민은행343601-04-082252 [예금주 프레시안협동조합(후원금)]으로 계좌이체도 가능합니다.
프레시안에 제보하기제보하기
프레시안에 CMS 정기후원하기정기후원하기

전체댓글 0

등록
  • 최신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