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인화면으로
尙(상)/苟(극)/商(상)/羗(강)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
  • 밴드 공유하기
  • 인쇄하기
  • 본문 글씨 크게
  • 본문 글씨 작게
정기후원

尙(상)/苟(극)/商(상)/羗(강)

[한자가 그렇게 만들어졌다고?] <86>

尙(상)은 위에 小(소)자가 보이고 그것이 부수자로도 돼 있지만 보통은 八(팔)과 向(향)으로 분석한다. 그러나 그렇게 나누고서도 대부분 八자나 向자와 연결시키지는 못한다. 창(向)을 통해 위로 퍼져나가는 연기(八)를 그렸다는 식의, 상형이 뒤섞인 설명이 있는 정도다.

이런 식의 설명이 미덥지 않은 것은 분명하지만 <그림 1, 2> 같은 옛 모습을 보아도 얼핏 실마리가 잡히지 않는다. 아래 口 부분이 필자가 城(성)의 본래 글자라고 보았던 '큰입구'여서 발음기호일 가능성이 있지만 확실치는 않다. 우선 비슷한 모양의 글자들부터 살펴보자.

冋(경)이라는 글자는 사람 이름에 많이 쓰이는 炯(형)의 발음기호로나 낯이 익을 뿐이다. <그림 3>이 옛 모습인데, <그림 1>에서 위의 두 점이 양쪽 세로획에 붙어버린다면 이런 모습이 될 수 있어 尙과 같은 글자였을 가능성이 있다. 발음도 비슷하다. 冋은 冂(경)이라는 글자와 같은 글자라고 하는데, 冂이 冋의 간략형이 아닐까 싶다.

그리고 冋=尙이라면 그 중간 모습인 向 역시 이들과 같은 글자였을 가능성이 높다. '멀다'인 逈(형)이 迥의 속자인데, 冋과 向이 뒤섞여 쓰였다는 증언일 수 있다.

敬(경)은 苟(구)와 攴(복)을 합친 모습이지만 왼쪽은 '진실로 구'와는 별개의 글자인 '삼갈 극'이라고 한다. 그러나 敬에 대한 설명은 이런 분석을 무시하고 다시 장면상형으로 돌아가서 중국 서쪽 민족인 羌(강)족 포로를 잡아다가 꿇어앉혀 놓은 모습이라거나, 머리에 커다란 장식을 얹고 다소곳이 앉아 있는 모습이라는 식이다.

<그림 4> 같은 모양에서 攴 부분을 잡아온 손 정도로 보면 그렇게 되는 것이지만, 장면상형은 '용서'하기 어렵다. 그런데 <그림 5> 같은 '극'의 모습을 보면 尙의 옛 모습과 구분하기 어렵다. 특히 尙에 <그림 2> 같은 모습이 있음이 눈에 띈다.

따라서 敬의 왼쪽 '극'은 바로 尙의 변형이고, 따라서 敬은 발음기호 尙과 의미 요소 攴을 합친 형성자가 된다. '공경하다'인 敬과 '받들다'인 尙의 의미가 거의 같은 것도 우연이 아니다. 한쪽에서 빌려간 것이겠다.

'진실로 구' 역시 윗부분이 '풀'인 艸(초)라 해서 구분하지만 풀과 관련된 뜻은 없고 오히려 '공경하다' 등의 의미와 연결되는 것으로 보아 '삼갈 극'과 별개의 글자로 보기 어렵다. '구'와 '극'의 발음도 가까워, 같은 글자인데 별개의 것으로 전승된 듯하다.

어떻든 敬의 왼쪽 '극'의 의미가 '삼가다'라고 했는데, 極(극)의 발음기호인 亟(극) 역시 같은 뜻을 가지고 있다. <그림 6>을 보면 <그림 4>가 좀 투박하게 정리된 것으로 보여 亟은 敬의 변형이 아닐까 생각된다. 발음이 같은 '극'인 게 다 이유가 있었던 셈이다.

商(상)은 <설문해자>에서 冏(경)이 의미, 章(장)의 생략형이 발음이라고 했지만 매우 표피적인 판단이다. <그림 7> 같은 갑골문을 보고는 상나라의 신전 같은 건축물이라거나, 술잔 같은 기물을 그렸다는 설명도 나왔다. <그림 7>에는 口 부분이 빠졌으나 후대의 글자에는 들어 있고 그것이 지금 모습으로 이어지고 있다.

이 商자의 비밀을 푸는 열쇠는 앞에 나온 敬의 왼쪽 '극'자에 있다. <그림 8> 같은 敬의 또 다른 모습을 보면 왼쪽 윗부분은 羊(양)이고, 이는 <그림 9>에서 더욱 분명하다. 즉 '극'=尙의 윗부분은 羊이 간략해진 모습인 것이다.

여기서 또 연결되는 것이 앞서 설명에서 잠깐 나왔던 羌족의 羌이다. 이 글자는 우리 성씨로 쓰이는 姜(강)과 같은 글자였거나 비슷한 관념으로 만들어진 글자인 듯한데, 조금 복잡한 모습인 羗과 같은 글자로 인정되고 있다.

그 옛 모습이 <그림 10>이다. <그림 8> 같은 敬의 왼쪽과 똑같다. 따라서 羌은 敬의 왼쪽이라는 '극'과 같은 글자고, 다시 尙과 같은 글자가 된다. <그림 11>은 갑골문에서 더욱 많이 나오는 羌의 모습인데, 이는 바로 口 부분이 빠진 '극'=尙이다. 羗은 羌에 厶(사)가 추가된 모습인데, 이는 이들 글자에서 종종 생략됐던 口 부분의 변형으로 볼 수 있다. 정확하게 말하자면 敬의 왼쪽이나 尙은 羗과 같은 글자고 羌은 거기서 口 부분이 빠진 글자다.

한편 商의 윗부분은 <그림 7>에서 辛(신) 비슷한 모습으로 나오는데, 辛이 羊을 기본으로 만들어진 글자였다는 이전의 논의를 상기하면 商의 윗부분을 羊으로 볼 수 있고 그렇다면 商 역시 尙=羗과 같은 글자가 된다. 여기서도 역시 <그림 7>처럼 아래 口가 빠진 형태는 엄밀하게 말해서 羌과 같은 글자인 것이다.

이 기사의 구독료를 내고 싶습니다.

+1,000 원 추가
+10,000 원 추가
-1,000 원 추가
-10,000 원 추가
매번 결제가 번거롭다면 CMS 정기후원하기
10,000
결제하기
일부 인터넷 환경에서는 결제가 원활히 진행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kb국민은행343601-04-082252 [예금주 프레시안협동조합(후원금)]으로 계좌이체도 가능합니다.
프레시안에 제보하기제보하기
프레시안에 CMS 정기후원하기정기후원하기

전체댓글 0

등록
  • 최신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