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인화면으로
生(생)/壬(임)/工(공)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
  • 밴드 공유하기
  • 인쇄하기
  • 본문 글씨 크게
  • 본문 글씨 작게
정기후원

生(생)/壬(임)/工(공)

[한자가 그렇게 만들어졌다고?]

풀이나 땅을 뚫고 나오는 새싹의 모습을 그렸다는 글자가 많다. 이미 살펴본 글자 가운데서도 屮(철)·屯(둔)·才(재) 등이 그런 모습이라는 설명이 붙어 있고, 乇(탁)도 그렇게 설명된다.

그런데 풀의 모습이나 그것이 땅을 뚫고 나오는 모양을 그린다는 것 자체가 쉬운 발상이 아니지만, 그게 가능하다 해도 그렇게 만든 글자는 하나뿐이어야지 여러 개가 될 수 없다. 같은 대상을 그려 여러 개의 글자를 만들었다면 모양이 똑같아져 혼란이 올 것이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이 네 글자의 설명 가운데 적어도 세 개 이상은 틀렸다는 얘기니, 기존의 설명들을 액면 그대로 믿을 수 없는 까닭이 거기에 있다.

그 목록에 하나 더 추가하자. 生(생)도 싹(屮)이 땅(一) 위로 돋아나는 모습이라고 한다. 이제 다섯 개 가운데 적어도 네 개 이상은 틀렸다는 얘기가 된다.

<그림 1>을 그런 모습으로 볼 수도 있겠다. 그러나 이런 인식도 누누이 지적해온 일종의 장면상형이다. <그림 2> 같은 모습을 근거로 屮과 土(토)를 합친 회의자로 볼 수도 있다. 역시 같은 장면을 떠올려야 하는 방식이다.

발상을 바꿔보자. 出(출)자에서 아래 凵 부분을 一로 펼쳐보자. 한자에서 이런 일은 매우 흔하다. 바로 <그림 1>과 같은 모습이 된다. 더욱 놀라운 것은 '날 출'과 '날 생'의 훈이 일치한다는 것이다. 그러고 보면 발음 역시 그리 멀지 않다. 生은 어설픈 상형이 아니라 出의 변형이 되는 것이다. <그림 3>의 모습을 보면 윗부분이 出의 윗부분 본래 모습인 止(지)와 좀더 가깝다.

呈(정)·廷(정)의 발음기호 부분은 지금 무대에서 사라진 글자라고 한다. 지금 활자로는 모두 壬(임)으로 돼 있는데, '착할 정'이라는 별개의 글자라는 것이다. 소전체는 <그림 4>가 '정', <그림 5>가 '임'이라고 명확히 구분해 놓았다. 소전체를 보면 徵(징)의 王 부분도 바로 그 '정'이다.

이 글자는 土와 人을 합쳐 놓은 것이라는 설명이 있지만 의미를 끌어내기 어렵다. 사람이 땅 위에 서 있는 모습이라는 상형적 설명도 납득하기 어렵다. 이 글자와 靑(청)의 윗부분은 위쪽 처리가 조금 다른 것뿐인데, 靑의 윗부분이 生의 변형이라는 점을 생각하면 <그림 4> 역시 生의 변형인 것으로 보인다.

그러면 '임' 발음의 壬은? 베틀을 그렸다는 얘기는 믿기 어렵다. 간지자로 쓰여 의미 쪽의 힌트가 없는 셈인데, <그림 6>을 보면 <그림 2>의 위쪽 곡선을 직선으로 편 모습이다. <그림 4>의 '정'자가 呈·廷 등에서 壬으로 정리됐다는 점을 생각하면 '정'과 '임'을 구분한다는 것은 무리일 수밖에 없고, 둘 다 生과 연관 가능성이 있으니 生=壬(정/임)으로 볼 수 있을 듯하다. <그림 4>와 <그림 5>를 '정'과 '임'으로 구별해 놓은 게 무리였던 셈이다.

그런데 壬의 옛 모습 가운데는 <그림 6>뿐만이 아니라 중간에 점이 없어 아예 지금의 工(공)자와 똑같은 모습도 있다. 工의 옛 모습에도 <그림 6>처럼 중간에 점이 찍힌 모습이 있다. 물론 工에는 <그림 7>과 같은 갑골문, 좀더 장식적인 <그림 8>과 같은 금문도 있다. 壬과 工이 옛 모습에서 전혀 구별되지 않는다는 얘기고, 壬=生=出로 더듬어 올라가다 보면 出의 또 다른 변형인 古(고)와 <그림 7>이 그리 멀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다.

工은 어떤 공구를 그렸다는 데는 대체로 일치하지만 구체적으로 어떤 공구냐에 대해서는 중구난방인데, 이렇게 보면 工=壬=生이 되는 것이다. 工은 生과 '만들어내다'의 뜻에서 일치한다. 經(경)·輕(경) 등의 발음기호인 巠(경)은 아래 工 부분이 소전체에서 <그림 4> 형태인데, 工=壬임을 입증해주는 하나의 증거라고 할 수 있다. 巠의 工 부분이 원래 壬이었다면 巠은 淫(음)의 오른쪽 부분과 같은 요소인 셈이다.

요컨대 生의 중간 가로획이 나타나지 않고 극도로 기하학적인 모습으로 정리된 것이 工이고, 工과 그 '원본'인 生의 중간 형태가 壬이다. 또 壬에서도 일부 글자꼴에서 점으로 나타났던 중간 가로획이 덜 자란 것이 '정'이고, 너무 많이 자란 것이 '임'이다. 같은 글자가 이렇게 네 글자로 분화한 과정이다.

이 기사의 구독료를 내고 싶습니다.

+1,000 원 추가
+10,000 원 추가
-1,000 원 추가
-10,000 원 추가
매번 결제가 번거롭다면 CMS 정기후원하기
10,000
결제하기
일부 인터넷 환경에서는 결제가 원활히 진행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kb국민은행343601-04-082252 [예금주 프레시안협동조합(후원금)]으로 계좌이체도 가능합니다.
프레시안에 제보하기제보하기
프레시안에 CMS 정기후원하기정기후원하기

전체댓글 0

등록
  • 최신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