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견 그럴듯하기는 하다. 그러나 상형의 우선순위를 생각하면 이렇게 표현이 어려운 대상까지 상형을 했을까 싶고, '번개'라는 것이 申자에 남아 있는 뜻이 아니라 그 파생자인 電(전)의 뜻이어서 의문이 남는다. 電과 奄(엄)의 아랫부분은 申의 변형으로 인정되고 있지만, 그것이 사실이라 해도 申이 電의 본래 글자라는 얘기는 비약의 가능성이 있다.
이런 허점들을 안고 가기보다는, 仁(인)자에 주목하면 좀더 나은 설명이 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仁에는 <그림 3> 같은 모습에 뿌리를 두고 있는 '尸+二' 형태의 이체자가 있고, 이렇게 보면 仁은 尼(니)와 같은 글자였을 가능성이 있다. 尼의 윗부분 尸(시)도 人의 변형이니 仁과 尼는 거의 같은 구성 요소를 지니고 있는 것이다.
<그림 4> 같은 尼의 모습에서, 거의 나란히 구부러져 내려간 왼쪽 아래의 두 곡선을 하나로 합쳐 보자. 가운데 부분은 S자 곡선을 뒤집은 형태고 그 위-아래 공간 부분에 획이 하나씩 걸쳐 있어 申의 옛 모습과 비슷해진다. 仁=尼라면 발음도 거의 비슷하다. 申은 仁=尼와 같은 글자였을 가능성이 있고, 그 仁=尼=申은 人자 두 개를 위아래로 겹쳐 놓은 글자일 수 있다. 仁에서의 二(이)는 본래 글자 모양과 비슷한 형태를 유지하면서, 人자를 둘 합쳤다는 의미로 二를 넣었거나 동등부호로 들어간 점 두 개의 변형일 수도 있다.
申은 주로 간지자로 쓰여 본뜻을 짐작하기 어려운데, 지금도 남아 있는 '거듭하다'의 뜻은 그것이 人자를 둘 겹친 글자라면 그런 내력과 연관될 수도 있는 의미여서 주목된다. 번개 치는 모습이라는 설명과 연관될 수 있는 의미는 남아 있지 않은 것과 대비된다.
毌(관)은 지금 금지의 뜻으로 쓰이는 毋(무)자와 거의 구분할 수 없게 돼버렸는데, 발음으로 보아 뿌리가 다른 것만은 분명한 듯하다. <그림 5>가 그 옛 모습으로 제시되고 있는데, 비슷한 모양이 '방패'인 盾(순)의 옛 글자꼴로 제시되기도 해서 의문스럽다.
'꿰뚫다'의 의미여서 꼬챙이로 물건을 꿴 모습이라는 설명이 붙었지만, 그런 식의 상형은 받아들이기 어렵다. 좀더 과감한 설명으로는 귀중한 물건을 묶고 나무막대를 끼워 두 사람이 멜 수 있게 한 것이라는 얘기도 있는데, 여기까지 오면 이런 식의 설명들은 파생자인 貫(관)의 의미를 끌어다 꿰맞춘 것임이 드러난다. 毌자만 가지고서야 '귀중한 물건' 같은 얘기는 나올 수 없기 때문이다.
그러나 <그림 5> 같은 모습을 보면 申자의 후대 모습과 구분하기 어렵다. 발음도 초성 ㅅ>ㅎ>ㄱ으로 연관성을 인정할 수 있다. 毌은 申의 이체자였는데 '돈꿰미'가 본뜻이었을 貫의 의미가 전이돼 별개의 글자로 독립한 듯하다.
한편 <그림 6>은 申의 또 다른 글자꼴인데, 이는 지금의 串(관)자와 더 가까운 모습이다. 串 역시 '꿰다'의 뜻이 있고 毌과 같은 발음이라면 그것이 申의 또 다른 변형임은 길게 말할 필요가 없겠다. 串에는 또 '익히다'의 뜻이 있는데 이는 貫-慣(관)으로 이어진 '익숙하다'와 일치되는 의미고, '친하다'는 申의 본래 모습으로 봤던 仁-尼와 연결되는 의미다.
巾(건)은 허리에 차는 수건을 그린 글자라고 한다. 수건의 상형이라는 것이 매우 난감했을 테지만, 옛 모습들이 지금의 글자꼴과 별 차이가 없어 땅에 꽂아 놓은 막대기(丨) 위에 수건(冂)을 걸쳐 놓은 모습이라고 억지로 이해할 수밖에 없다. 사실적인 묘사라고 보기는 어렵고, 개념을 형상화한 일종의 추상화인 셈이다.
그러나 설명이 어설프다는 생각을 지울 수 없다. 글자가 간단하기 때문에 자꾸 상형으로 설명하려는 압박이 있는 것인데, 冂 부분이 거의 원으로 돼 있는 <그림 7> 같은 글자꼴을 보면 申의 안쪽을 간략히 처리한 모습으로 볼 수 있다. 발음은 毌=串과 연결된다.
丨은 '뚫을 곤'이라는 훈·음을 가진 부수자인데, 이것이 독자적인 기원을 가진 글자라고 보기는 어렵고 다른 글자의 간략형일 가능성이 높다고 보면 巾과 연관 가능성이 있다. '뚫다'는 毌이 지닌 의미여서, 申=毌이 巾을 거쳐 丨으로까지 간략해진 것임을 보여주고 있다. 결국 巾은 申=毌과 丨의 중간 형태일 뿐이며, '수건'은 가차 의미지 그것을 상형해 붙은 의미가 아니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