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인화면으로
부시가 '버마 인권' 파수꾼으로 나선 이유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
  • 밴드 공유하기
  • 인쇄하기
  • 본문 글씨 크게
  • 본문 글씨 작게
정기후원

부시가 '버마 인권' 파수꾼으로 나선 이유

[분석] "21세기 에너지 전쟁의 연장선"

버마(미얀마)에서 벌어지는 반정부 민주화 시위가 유혈사태로 번지면서 미국과 영국 등 서방국가를 중심으로 한 국제사회가 미얀마 군사정부를 인권탄압을 중단하라며 성토하고 나섰다.

조지 W. 부시 미국 대통령은 "(미얀마 군부가) 19년에 걸쳐 공포의 통치를 해오는 데 미국인들은 분노한다"고 격렬하게 비난하는 한편 경제제재 등 실질적인 제재 조치를 거론하고 있으며, 유엔도 미얀마에 특사를 파견하기로 하는 등 구체적인 대응에 들어갔다.

하지만 중국과 러시아는 미얀마 사태는 어디까지나 '국내 문제'이기 때문에 다른 나라들이 간섭할 필요가 없다고 반대하고 나서 대조를 보이고 있다.

특히 중국은 올해 초 미얀마 군사정부를 비난하는 유엔안전보장이사회의 인권결의안에 거부권을 행사할 만큼 미얀마 군사정부의 수호자로 나서고 있다.

중국이 미얀마 군사정부 싸고 도는 이유

이처럼 국제사회의 엇갈린 반응에 대해 27일 <아시아타임스>는 그 배경을 '21세기 에너지 전쟁'과 연결시킨 분석기사(원문보기)를 게재해 주목된다.
▲ 미얀마 반정부 시위를 주도한 승려들이 시위에 앞서 기도하고 있다. ⓒ로이터=뉴시스

이 기사는 미얀마가 국제사회에서 오랫동안 소외된 곳인데, 갑자기 부시 행정부가 미얀마의 인권과 정권교체에 관심을 보이는 이유에 대해 의문을 제기한다.

미국 등 서방국가들이 인권에 대해 그렇게 관심이 깊었다면, 사우디 아라비아, 걸프만 연안의 석유부국들, 그리고 우즈베키스탄 등지에서 벌어지고 있는 정권의 무시무시한 탄압에 대해서는 왜 외면하느냐는 것이다.

이 기사에 따르면 부시 미국 대통령이 말하는 '인권'은 언제나 '석유와 천연가스'를 뜻한다. '독재와 폭력으로부터의 해방'을 외치며 중동의 여러 나라를 공격한 전례로 볼 때, 미얀마 국민들도 경계해야 한다는 것이다.

미얀마 군사정부가 최대 도시 양곤에서 350km나 떨어진 정글 속으로 수도를 옮긴 이유가 지금도 미스터리로 알려졌지만, <아시아타임스>는 군사정부의 마약 거래 및 돈세탁, 그리고 노예노동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고 있다.

하지만 태국 등 동남아시아국가연합(ASEAN) 회원국들은 '불간섭주의'라는 미명 하에 미얀마 군부의 학정을 외면하고 있다. 오히려 인도는 최근 미얀마 서부에 가스 채굴을 위해 1억5000만 달러를 투자하기로 협정을 맺었다.

특히 중국이 미얀마 군사정부를 싸고 도는 이유는 무엇보다 미얀마가 중국의 전략적 요충지이기 때문이다. 미얀마는 15억 달러에 달하는 중국의 첨단 전자무기를 구매하는 등 중국의 무기와 생필품 수출 시장이며, 중국이 인도를 견제하는 한편 인도양으로 진출하는 전략적 요충지라는 것이다.
▲ 버마 최대도시 양곤에 있는 민주화 시위 상징인 '쉐다곤 파고다'에 모인 시위대들. ⓒ로이터=뉴시스

버마로 불리던 시절 두 번이나 미얀마를 침공한 영국처럼 중국의 최대 관심사도 천연자원이다. 중국이 눈독을 들이는 천연자원에는 석유와 천연가스는 물론 보석과 목재 등도 포함된다. 이미 미얀마-중국 국경의 원시림은 사실상 초토화됐다. 인권단체 <글로벌 위트니스>에 따르면 미얀마는 2005년에만 중국에 3억5000만 달러의 목재를 수출했다. 그 대부분이 불법 벌목이다.

또한 국제인권단체 <어스라이츠인터내셔널>에 따르면 미얀마 아라칸 해안에서 중국의 위난성까지 2380km에 달하는 석유 및 가스 파이프라인을 건설하기 위해 미얀마에는 중국의 대기업들이 진출해 있다.

중국은 중동,아프리카, 베네수엘라로부터 수입하는 에너지량이 급증하면서 이 파이프라인과 미얀마의 항구를 확보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중국은 미얀마 군사정부가 무너지게 내버려둘 수 없을 것"

이에 따라 <아시아타임스>는 "중국이 21세기 에너지 전쟁에서 중요한 전략적 요충지인 미얀마를 반정부 민주화 시위대에 의해 무너지게 내버려둘 수는 없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만일 그런 사태가 일어난다면 중국 공산당 독재에 도전하는 티벳, 신장 위구르, 파룬공 등의 세력에 불을 지펴주는 결과가 초래되기 때문이다.

<아시아타임스>는 중국의 후진타오 주석이 전세계에 중국의 위상을 알리는 베이징 올림픽 대회가 1년도 남지 않은 시점에서 천안문 사태의 재판이라고 할 미얀마 사태에 대해 어떠한 입장을 취할지 주목했다.

민주화 운동을 유혈 진압하는 독재정권을 비호한다는 중국의 이미지가 올림픽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미얀마 군사정부가 강경진압을 고수할 경우 에너지 등 이해관계가 큰 중국 정부의 영향력에는 한계가 있다는 시각이 우세하다.

이 기사의 구독료를 내고 싶습니다.

+1,000 원 추가
+10,000 원 추가
-1,000 원 추가
-10,000 원 추가
매번 결제가 번거롭다면 CMS 정기후원하기
10,000
결제하기
일부 인터넷 환경에서는 결제가 원활히 진행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kb국민은행343601-04-082252 [예금주 프레시안협동조합(후원금)]으로 계좌이체도 가능합니다.
프레시안에 제보하기제보하기
프레시안에 CMS 정기후원하기정기후원하기

전체댓글 0

등록
  • 최신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