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글 번역문**
공자가 말하길, “도움이 되는 친구로 세가지 유형이 있으며 해가 되는 친구에 세가지 유형이 있다. 정직한 사람, 약속을 잘 지키는 사람, 박학다식한 사람, 이런 친구는 좋다. 잔꾀에 밝은 사람, 겉과 속이 다른 사람, 입만 살아있는 사람, 이런 친구는 사귀면 손해다.”
***논어 원문**
孔子曰, “益者三友, 損者三友. 友直, 友諒, 友多聞, 益矣. 友便辟, 友善柔, 友便佞, 損矣.” (論語, 季氏)
***한글 독음**
공자왈, “익자삼우, 손자삼우. 우직, 우량, 우다문, 익의. 우편벽, 우선유, 우편녕, 손의.” (논어, 계씨)
***원문 자구 주석**
益者三友, 損者三友 : 益者, 損者는 이익이 되는 것, 손해가 되는 것. 三友는 세 종류의 친구.
友直, 友諒, 友多聞, 益矣 : 友는 명사 혹은 동사. 友를 명사로 파악할 경우 뒤에 붙는 직(直), 량(諒), 다문(多聞)은 형용사 됨. 친구가 정직하다, 친구가 약속을 잘 지킨다, 친구가 박학다식하다. 한편 友를 동사로 파악할 경우 뒤에 붙는 직(直), 량(諒), 다문(多聞)은 명사의 역할. 즉 정직한 사람을 친구로 삼다. 이하 같은 용법.
友便辟, 友善柔, 友便佞, 損矣 : 문법적인 구조는 위와 같음. 便辟는 잔꾀에 밝음. 善柔는 겉과 속이 다름. 便佞은 입만 살아있음.
***해설**
<논어>에는 도움이 되는 친구와 해가 되는 친구를 각각 3가지 유형으로 설명하고 있습니다. 이건 여러분들이 현재 주위에 있는 친구들을 떠올리며 대입시켜 보세요.
필자가 위와 같은 이야기를 했더니 몇 년전 학생 하나가 묻길,
"좋은 점 1가지에 나쁜 점 3가지를 구비한 친구가 있다면 어떻게 해야 합니까?"
참으로 기발한 질문이죠? 필자는 아래와 같이 대답했습니다.
"좋은 친구와 나쁜 친구를 각각 3가지씩 거론했는데, 좋은 점 3가지를 전부 구비한 친구라면 말할 나위없이 좋겠죠. 그러나 그중 한가지만 구비해도 얼마든지 사귈 만한 친구란 뜻입니다. 왜 이렇게 조건을 관대하게 해석할까요? 그건 친구를 위 조건에 대입시킴과 동시에 자기 자신을 한번 위 조건에 대입시켜 보세요. 과연 얼마나 충족시키고 있는가. 자신에게 가혹하라고 공자가 그렇게 이야기했는데 자기 자신은 잔꾀에 밝고 겉과 속이 다르고 입만 살아있는 주제에 친구만은 정직하고 약속 잘 지키고 박학다식한 사람을 원할 수 있을까요? 그건 너무 순진한 발상이죠. 그래서 좋은 점 중에 단 한 가지만 구비해도 충분히 믿고 사귈 수 있는 친구라 생각해야 되지 않을까요."
공자가 친구의 문제를 언급할 때 당시 어떤 정황에서 위와 같은 이야기를 했는지는 지금 파악할 수 없습니다. 꼭 어떤 친구를 사귀어라 이런 뜻도 물론 있겠지만 본인 스스로에게 너 자신은 어떤 친구인가 자문해보라는 당부도 담겨있다고 보면 더욱 좋지 않겠어요?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