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한비자(BC.280-233)
한비자(韓非子)는 법가사상을 집대성한 법가의 대표입니다. 한(韓)나라는 지금의 호남성 서쪽에 있던 나라였는데 한비자는 한왕(韓王) 안(安)의 서공자(庶公子)라고 합니다. 서공자라는 것은 모계의 신분이 낮은 출신이라는 뜻입니다.
한비자는 55편 10만 자(字)의‘한비자(韓非子)’를 남겼는데 여기에 실린 대부분의 글은 방금 이야기한 바와 같이 한왕에게 간하기 위한 글들이었습니다. 고분(孤憤), 오두(五蠹), 세림(說林), 세난(說難), 저설(儲說) 등 대부분의 논설은 그러한 동기에서 집필된 것이었습니다.
한비자의 글에 감탄한 것은 아이러니컬하게도 적국인 진나라의 왕이었습니다. 뒤에 시황제가 된 진왕은 한비자의 고분(孤憤), 오두(五蠹)의 논문을 보고 "이 사람과 교유할 수 있다면 죽어도 한이 없겠다"고까지 감탄하였다고 합니다.
당시 진왕의 막하에는 동문수학한 이사(李斯)가 있었는데 한비자를 진나라로 불러들이기 위하여 진나라가 한나라를 공격할 준비를 하고 있다는 유언비어를 흘립니다. 당연히 화평의 사자로 한비자가 진나라로 왔습니다.
시황제는 한비자를 보자 크게 기뻐하여 그를 아주 진나라에 머물게 하려고 하였습니다. 이사는 내심 이를 못마땅히 여겨 시황에게 참언하여 한비자를 옥에 가두게 한 후, 독약을 주어 자살하게 하였습니다. 언필칭 권모술수의 대가인 한비자가 권모술수의 희생자가 되는 또 한 번의 역설을 보게 되는 것이었습니다. 이사(李斯)는 순자(荀子)문하에서 함께 동문수학한 사이였습니다만 오히려 그것 때문에 희생되고 만 것이지요. 전국시대의 적나라한 현실을 보는 듯 하지요.
이사가 간지(奸智)에 뛰어난 변설가(辯說家)인 반면, 한비자는 말더듬이였다고 전합니다. 두뇌가 매우 명석하여, 학자로서는 이사가 도저히 따르지 못하였다고 합니다. 이것은 억울하게 희생당한 한비자를 위로하려는 것일 수도 있습니다.
그러나 한비자는 그의 사상과는 반대로 매우 우직한 사람이라는 느낌을 줍니다. 한비자와 이사의 스승인 순자는 그 성정이 강퍅불손(强愎不遜)하고 자존심(自尊心)이 대단한 사람으로 부정적으로 묘사되고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한비자의 인간적 면모에 대해서도 매우 부정적인 이미지를 갖기 쉽습니다.
엄정한 형벌을 주장하고 유가와 묵가의 인의(仁義)와 겸애(兼愛)를 시대착오적인 것으로 매도하고 있습니다. 더구나 군주의 절대권력을 옹호하고, 군주는 은밀한 술수(術數)를 마다하지 않아야 한다는 주장을 하고 있습니다. 동양의 마키아벨리라고 불릴 정도로 권모술수의 화신이라는 이미지를 떨쳐버리기 어렵습니다.
그러나 여러분은 ‘한비자’를 읽어 가는 동안에 그러한 선입관을 서서히 바꾸어 가게 되리라고 생각합니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