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인화면으로
"대선후보 TV합동토론이 수능인가"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
  • 밴드 공유하기
  • 인쇄하기
  • 본문 글씨 크게
  • 본문 글씨 작게
정기후원

"대선후보 TV합동토론이 수능인가"

언론노조 '단답형 탈피, 논술형으로 바꿔라' 긴급 제안

10일 실시된 2차 대선후보 TV합동토론이 지나치게 짧은 수능식 단답형 위주의 답변만을 강요하고 있어 구호성 발언에만 그치고 있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이는 지난 3일 실시된 1차 토론 후에도 제기된 문제로 16일 3차 토론이 대선후보에 대한 변별력을 기르는 기회가 되기를 바라는 유권자와 시청자들의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해선 토론방식에 대한 개선이 급선무다.

전국언론노조 민주언론실천위원회 정책연구실은 11일 발표한 '대통령 후보 토론방식에 대한 긴급 제언'을 통해 "단답형은 연습에 의해서 충분히 극복될 수 있는 영역인 반면, 논술형은 말 그대로 아무리 연습하더라도 자신들의 철학과 가치관이 묻어 나올 수밖에 없는 형식이다. 그런데 현재 토론방식은 철저히 단문단답형을 고수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동안 신문들 또한 지난 3일 1차 합동토론이 끝난 후 토론이 너무 획일적이고 단답형 위주로 진행돼 유권자들에게 만족을 주지 못하고 있다고 지적한 바 있다. 각 신문들을 이를 극복하기 위한 제안으로 '진행방식과 개선책 강구'(경향신문), '상호 토론기회 확대'(대한매일), '중요사안에 치열한 토론'(동아일보), '총발언시간제 적용'(문화일보), '기계적 배분, 획일적 진행 수정'(조선일보), '후보자간 자유토론 확대'(한국일보), '사회자에게 적절하게 토론회를 진행하도록 자율권 부여'(한겨레신문) 등을 제언했었다.

언론노조 민실위는 이 같은 언론보도를 기반으로 ▲단문단답형에서 질문 수를 축소하고 답변시간 늘릴 것 ▲1대2 질문방식 폐지 ▲발언시간총량제 도입 ▲2시간으로 한정된 토론시간을 3시간으로 늘려 정해진 주제외의 다른 문제도 다룰 것 등을 제안했다.

민실위는 3차 토론일인 16일까지는 주어진 시간이 없다며 방송토론위원회가 최소한 이번주 금요일(13일)까지 토론방식의 보완을 확정해야 토론자와 방송사도 준비가 가능할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10일 실시된 대선후보 TV합동토론 시청률(닐슨미디어리서치 조사)은 방송3사 전체시청률 36.7%로 지난 1차 토론회의 38.5%보다 약간 떨어졌다. 성ㆍ연령별로는 지난 1차 토론과 마찬가지로 여자 50대가 35.2%로 가장 높은 시청률을 보였고, 지역별 시청률 역시 부산이 지난 1차 토론회(41.4%)에 이어 2차에서도 38.9%로 가장 높은 관심을 나타냈다.

다음은 언론노조 민실위의 대선후보 TV합동토론에 대한 제안서 전문.

***'대통령 후보 토론방식에 대한 긴급 제언'**

단답형과 논술형 각각 의미 있는 토론방식이다. 단답형은 연습에 의해서 충분히 극복될 수 있는 영역인 반면, 논술형은 말 그대로 아무리 연습하더라도 자신들의 철학과 가치관이 묻어 나올 수밖에 없는 형식이다. 그런데 현재 토론방식은 철저히 단문단답형을 고수하고 있다.

이런 방식을 규정하고 있는 ‘방송토론위원회’(이하 방토위)의 위원들은 과연 ‘재벌문제’를 2분30초안에 답할 수 있는가. ‘무역개방’의 그 얽히고 설킨 내용들을 이 시간 내에 답할 수는 없는 일이다. 한데 방토위는 이런 질문을 뽑아 들고 후보들이 2분30초안에 답하기를 강요하고 있다. 이 과정에서 많은 문제점들이 노출된다. 대표적인 문제점은 다음과 같다.

***현행방식의 문제점**

첫째, 시간에 쫓기는 후보들은 자신의 주장을 ‘진술’을 통해서 펼치는 것이 아니라 ‘구호성’ 발언으로 내용을 축약하게 된다. 그 결과 유권자들은 이들의 함축적이고 추상성 높은 표현이 가지고 있는 의미를 제대로 이해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한다.

둘째, 적어도 대통령을 하겠다고 출마한 후보들에게 가장 필요한 것이라고 제시한 질문에 대해서 제대로 준비되어 있지 않아도, 지극히 당연한 ‘열심히’ ‘성실히’ ‘조화롭게’ ‘충분히 상의해서’ 등의 발언으로 대충 넘어갈 수 있는 ‘얼버무리기식’ 답변을 가능케 한다.

셋째, 수험생들처럼 예상문제를 찍게 하고 이에 대한 답변을 암기함으로써 기계적으로 대응하게 한다.

넷째, 텔레비전 토론이 가지고 있는 고유의 역기능을 부추기는 단문단답식만의 진행방식은 정책토론을 사장은 시키고 ‘후보 이미지’만 앙상하게 남기는 결과를 초래한다.

다섯째, 거짓말이나 선심성 공약을 남발하게 한다. 충분히 토론하지 못함으로 인해, 상대방 후보로부터 지적 받은 문제에 대해서 거짓발언을 하거나 유권자의 입맛에 맞는 즉자적 공약으로 위기를 넘기는 경우가 발생한다. 하지만 상대 후보가 반박할 수 있는 기회는 이미 지나가 버린 경우가 허다하다.

여섯째, 가장 본질적인 문제로 각 후보간의 구체적인 정책차이, 인간됨됨이 특히 개인적인 능력이나 철학 등을 살펴볼 수 있는 기회는 거의 봉쇄되어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단문단답식이 가지고 있는 긍정적인 요인에도 불구하고, 이것만으로 텔레비전 토론을 진행할 경우 위와 같은 문제가 속출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의 보완책으로 여러 가지 방식이 1차 토론회 이후 제시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방토위의 불성실한 자세로 인해 거의 고쳐지지 않고 그냥 2차 토론회를 맞음으로써, 방토위는 많은 유권자들의 빈축을 사고 있다.

각 위원들의 의견을 일차적으로 합의하고, 적어도 토론 3-4일 전에 토론형식을 각 당에 통보해서 대비토록 해야 하는 등 현실적인 어려움이 존재하고 있다는 점을 충분히 감안할 수 있다. 하지만 1차 토론회의 문제점을 고스란히 또 드러낸 2차 토론회의 파행에 따른 방토위의 ‘무책임한’ 행위는 비판받아 마땅하다.

그래서 지난 1차 토론이후 각 신문들이 지적한 내용을 먼저 살펴보고 그 대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표 1차 토론이후 각 신문의 토론방식에 대한 제언(12월4일-6일)>

위의 내용을 살펴보면, 조선일보의 ‘정보와 재미유발 방안 강구’, 중앙일보의 ‘TV토론연구 특별팀 구성’ 등은 현실적인 대안으로 적합하지 않다. 하지만 대부분의 언론에서 지적한 바와 같이 1대1토론의 증가, ‘총답변시간제’ 또는 ‘발언시간 총량제’ 등은 충분히 도입할 수 있는 대안이다. 또 사회자의 권한을 강화함으로써 논의를 ‘사회자 주도’로 이끌어 갈 수 있도록 하는 방안도 귀담아 들을 만 하다. 그리고 질문의 수를 줄이고 하나의 질문에 대한 답변과 반론의 시간을 확대하는 것도 의미 있는 지적이다. 이상의 주장들을 정리하면서 몇 가지 제언을 하고자 한다.

***몇 가지 제언**

첫째, 단문단답형에서, 사회자 질문 수를 반으로 줄여, 답변시간을 현재보다 더 늘여야 한다.

둘째, 1:2 질문방식은 현재의 구도상 한 후보를 소외시키는 경우도 발생하고 양비론 또는 양시론의 사례가 나오는 등 3자 토론 과정에서 장점보다는 단점이 많이 노출되었다. 그래서 이 방식을 폐지하는 것을 고려해 봄직하다. 1:2방식을 없애는 대신에 1:1토론 과정에 나머지 후보가 개입할 수 있는 반론권 제도를 도입함으로써 1:2토론방식이 가지고 있는 정기능을 살릴 수 있을 것이다.

셋째, 1:1 질문의 수와 시간을 대폭 늘이고, ‘발언시간총량제’를 도입할 것은 제안한다. 바둑처럼 짧게 답할 수 있는 것은 짧게 답함으로써 발언 시간을 아껴 보다 많은 시간을 요하는 질문이나 답변에 그 시간을 활용하자는 취지다. 기술적으로도 ‘초시계’ 등을 이용하면 크게 어려움이 없을 것이다.

넷째, 현재 ‘2시간’으로 정해져 있는 전체 토론시간을 1시간 더 연장해서 ‘사회ㆍ문화ㆍ여성ㆍ언론’ 영역 외에 전반적인 주제를 한 번 더 다룰 수 있는 시간을 확보해야 한다. 사실 토론횟수가 많으면 더 좋겠지만, 급작스레 1-2회를 늘이면서 발생할 수 있는 부작용을 우려한다면 1시간 연장 토론은 가장 현실적인 대안이 될 수 있다.

다섯째, 만약 1시간 연장을 결정한다면, 이에 대한 토론방식은 전면적으로 개정돼야 한다. 특히 1:1토론방식이나 발언시간 제한 등을 적어도 이 한시간에 한해서는 폐기해야 한다. 그 대신 일반 시사토론 프로그램에서 적용하고 있는 사회자의 재량으로 토론회를 이끌어 갈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이런 방식에 무리가 있다면 ‘발언시간총량제’를 적용해서 한 후보당 20분씩을 할애하는 것도 한 방법이다.

방송토론위원회의 결단이 필요

이제 한 번 남은 토론회에서 유권자들은 최종 결정을 해야 한다. 후보들을 모아놓고 그들간의 차이점을 판단할 수 있는 기회가 더 이상 없기 때문이다. 이런 상황을 깊이 유념하고 ‘방송토론위원회’는 토론방식에 대한 여러 가지 지적과 대안을 겸허하게 수렴해서 유권자들이 각 후보를 충분히 이해하고 나름대로 판단할 수 있는 근거를 마련하는 것이 가장 중요한 의무이다.

시간이 없다. 최소한 이번 금요일까지 토론방식의 보완을 확정해야 이전 2번의 토론회처럼 토요일에는 각 정당관계자들에 통보할 수 있고, 주관 방송사나 사회자도 제대로 준비할 수 있을 것이다. 더 이상 각 정당의 이해관계에 얽혀서 유권자들의 요구를 외면하지 말고 소신껏 토론할 수 있고 충분히 메시지를 전달할 수 있는 방식에 대한 입장을 결정해야 할 시점이다.

2002. 12. 11

전국언론노동조합 민주언론실천위원회 정책연구실

이 기사의 구독료를 내고 싶습니다.

+1,000 원 추가
+10,000 원 추가
-1,000 원 추가
-10,000 원 추가
매번 결제가 번거롭다면 CMS 정기후원하기
10,000
결제하기
일부 인터넷 환경에서는 결제가 원활히 진행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kb국민은행343601-04-082252 [예금주 프레시안협동조합(후원금)]으로 계좌이체도 가능합니다.
프레시안에 제보하기제보하기
프레시안에 CMS 정기후원하기정기후원하기

전체댓글 0

등록
  • 최신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