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기간방송인 KBS의 뉴미디어 정책이 무책임한 졸속행정으로 시행착오를 거듭하고 있다.
KBS 뉴미디어 정책의 대표적인 난맥상으로 꼽히는 게 바로 지난 해 출범한 KBS의 자회사 SkyKBS(위성과 케이블을 통해 방송되는 KBS드라마와 KBS스포츠채널 운영회사, 사장 금동수)의 구조조정 계획이다. 오는 16일경 본부장급 이상 간부들이 참여하는 KBS 경영회의를 통해 결정될 예정인 SkyKBS의 구조조정안은 지난 2월 개국한 스포츠전문 채널 'KBS스포츠'의 자체제작 중단을 포함하고 있다.
<사진>
***SkyKBS 노조 회사측 구조조정안에 반발 8일부터 철야농성**
이 안이 통과될 경우 SkyKBS는 현재 1백16명의 직원중 스포츠 자체제작 요원인 80-90명이 정리해고 될 상황이라 95명의 전국언론노조 SkyKBS지부 조합원들은 지난 8일부터 제작중단과 정리해고에 반대하는 철야농성을 벌이고 있다. SkyKBS지부(위원장 민병호)는 이에 앞서 지난 8일과 9일 이틀간 실시한 구조조정안 통과시 제작거부 여부를 묻는 찬반투표를 실시해 90명의 투표참가자중 83명(92.2%)의 압도적인 찬성을 이끌어냈다.
민병호 지부위원장은 "방송사업의 경우 초기투자비용이 많이 들어 사업초기 발생하는 적자는 불가피한 것인데도 개국 5개월만에 적자가 났다고 해서 이미 채용한 직원들을 정리해고하겠다는 것은 부실경영과 정책실패의 책임을 애꿎은 조합원들에게 전가시키는 것"이라고 비판했다.
민 위원장은 "현재 SkyKBS 스포츠채널은 모회사인 KBS가 독점 중계권을 갖고 있는 프로축구 K리그의 활성화에 크게 기여할 수 있는 장점을 갖고 있다. KBS가 제시했던 SkyKBS 사업계획서 초안대로 4년간 4백40억원을 투자하고 능력있는 사람을 CEO로 선임하면 얼마든지 사업성이 있는 사업인데 불과 몇달만에 적자를 이유로 구조조정 운운하는 것은 무책임 행정의 전형이며 부도덕한 처사"라고 지적했다.
***회사측 "아직 결정된 건 없다"**
반면 SkyKBS측은 "아직 아무것도 결정된 게 없다"는 입장만을 반복하고 있다. 한 고위간부는 "현재 증자와 경영혁신안을 놓고 회사를 살릴 방안을 검토중에 있는 단계인데 노조가 너무 앞서 나가고 있어 KBS 본사와 외부투자자들과의 협상에도 걸림돌이 되고 있다. 현 상태로 적자를 무릅쓰고 계속 나갈 수는 없으나 KBS본사와의 컨텐츠 요금 협상 등을 통해 구조조정을 하더라도 최소화하려고 노력하고 있다"고 밝혔다.
KBS측 또한 현재 여러 안을 놓고 검토중인 단계이며 아직 확정된 것은 없다는 입장이다. 하지만 KBS 내부에서는 디지털TV 전환 비용 등으로 많은 투자가 필요한 상태에서 수백억원의 돈을 투자하기는 현실적으로 어렵다는 지적이 많아 일정 정도의 구조조정은 불가피한 것이 아니냐는 의견이 많다.
이에 대해 언론노조 KBS본부는 12일 발행한 노보를 통해 KBS 뉴미디어사업의 문제점들을 조목조목 지적하고 나섰다. KBS본부가 지적한 문제의 핵심은 "사업은 있으되 정책도 없고 경영도 없다"는 것이다.
***KBS노보 "뉴미디어사업의 문제는 사업계획만 있고 정책도 경영도 없다는 것" 비판**
구체적으로 첫째는 "시장을 무시한 CEO 인사에 결정적인 흠결이 있다"는 것이다. 최근 KBS 자회사인 크레지오, e-KBS, SkyKBS 사장선임의 예를 보면 "적임자를 앉히는 게 아니라 부서간 우열에 따라 사장이 결정되는 땅따먹기 인사"가 자행되고 있다는 지적이다.
둘째는 "뉴미디어 비즈니스를 총괄 조율하는 관리시스템이 없다"는 비판이다. "SkyKBS 출범시 컨텐츠 판매와 관련, SkyKBS와 KBS미디어의 이해가 대립하였고 크레지오의 경우, 형식적으로는 e-KBS가 관장하고 잇으나 실질적으로는 뉴미디어본부가 지배하고 있어 항시 갈등의 소지가 있다"는 말이다.
SkyKBS 노조 또한 자회사의 운영을 책임지는 마스터플랜 부서가 없어 책임소재가 불분명해 서로 책임을 타부서에 전가시키다 보니 문제해결이 더 어려워지고 있다고 지적하고 있다.
KBS본부 노보는 이에 대해 "본사와 계열사의 실무책임자가 함께 참여해 뉴미디어관련 업무를 수시 협의조정하는 위원회같은 비상설조직이 유효한 대안일 수 있다"며 뉴미디어 수익원 창출과 컨텐츠마케팅 정책을 총괄, 조정할 수 있는 관리시스템을 구축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세번째 문제는 "성급한 선점전략으로 인해, 치밀한 사업계획과 차별화된 전략없이 신규시장에 진입했다"는 데 있다. 애초 KBS MPP 사업단은 외부펀딩을 통해 자본금을 4백억원까지 확충해 현재 52%인 KBS 자본금을 34%로 까지 낮춘다는 계획을 세웠으나 위성방송시장 전망이 당초 예상보다 어려워짐에 따라 차별화된 전략을 제시하지 못한 SkyKBS의 자금유치계획이 차질을 빚었다는 것이다.
넷째 "뉴미디어 비즈니스에 숙련된 사내 인력을 체계적으로 육성하지 않았다"는 지적이다. KBS 뉴미디어 계열사들이 거의 100% KBS 프로그램 컨텐츠에 의존하고 있는 현실을 감안할 때 원활한 업무추진을 위한 본사와 계열사간의 긴밀한 업무협조가 필요한데 즉흥적 인사로 인해 시행착오를 거듭하고 있다는 것이다.
한나라당과 전경련이 제기한 KBS2 TV의 민영화 문제로 외환을 겪고 있는 KBS에 계열사 관리부실과 졸속정책으로 내홍까지 겹치고 있는 형국이다.
***"무책임한 졸속정책으로 소탐대실의 우 범할까 우려"**
한 중견PD는 이에 대해 "현재 SK 등 통신재벌들의 방송장악 기도로 공영방송인 KBS의 생존기반마저 위협받고 있는 상황인데 경영진의 졸속정책으로 발생하고 있는 SkyKBS의 구조조정 문제 등이 갈길 바쁜 KBS의 발목을 잡고 있다"고 말했다.
이 PD는 "초기투자비용 등으로 적자가 발생한 SkyKBS의 현 상황이 당초 예상보다 그리 나쁜 편도 아닌데 당장 적자가 난다고 구조조정 운운하는 것은 소탐대실할 우려가 크다"고 덧붙였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