케이팝에 알앤비 전성시대가 열리게 된 데에는 1990년대 미국 팝음악 트렌드를 주도했던 흑인 알앤비 그룹 보이즈 투 멘(Boyz II Men)과 여성 솔리스트 휘트니 휴스턴(Whitney Houston), 머라이어 캐리(Mariah Carey)의 영향이 컸다. 뛰어난 가창력과 낭만적인 팝 멜로디를 구사했던 이들의 음악 스타일을 한국 뮤지션들은 적극적으로 받아들였다. '흑인 소울의 백인화', '백인 팝의 흑인화'라고 정의할 수 있는 알앤비는 한국에서 이른바 '소몰이 창법'으로 대변되는 독특한 가창법으로 선풍을 일으켰다. 젊은 가수 지망생들은 모두 보이즈 투 멘과 휘트니 휴스턴의 보컬을 따라하는 데 혈안이 되었다. 황색 피부의 한국 가수들은 흑색 음질, 흑색 감정을 따라 하기 위해 한국 대중음악에 존재하지 않았던 흑인들의 발성법을 현지화했다.
알다시피, 미국의 알앤비는 가창법으로 환원될 수 없는 흑인 음악 그 자체로 정의될 수 있다. 리듬 앤 블루스에서 리듬은 이산의 역사를 품고 있는 흑인들의 몸의 감성, 블루스는 애환과 열정이 담긴 흑인들의 소리를 의미한다. 넓은 의미에서 알앤비는 재즈, 가스펠, 소울, 펑크(funk), 블루스, 초기 로큰롤 등 흑인음악을 총체적으로 정의하는 포괄적인 용어라고 할 수 있다. 알앤비는 그런 점에서 시대별로 다른 의미로 사용되었는데, 가령 1950년대는 블루스 음반들에 적용되었고, 1950년대 중반 이후에는 흑인 로큰롤 사운드를, 1970년대는 주로 소울과 펑키 음악을 정의할 때 사용되었다. 1980년대는 새로운 형태의 알앤비가 등장했는데, 이것이 바로 우리가 알고 있는 '컨템퍼러리 알앤비'(contemporary R&B)이다.
알앤비를 모방하는 두 가지 다른 길
▲한국의 주류가요는 90년대 초 미국에서 큰 성공을 거둔 상업적 알앤비의 영향을 강하게 받았다. ⓒ뉴시스 |
나아가 케이팝의 알앤비 모방은 본격 보방과 형식적 모방으로 구분할 수 있다. 본격 모방은 알앤비를 장르음악으로 추구하는 이들이다. 최근 단순히 보컬을 모방하는 데 그치지 않고 완벽하게 컨템퍼러리 알앤비를 추구하려는 솔로 뮤지션들이 늘어났다. 박정현, 박화요비, 김범수, 정엽, 브라이언과 같은 기존의 알앤비 가수들은 엄밀하게 말하면 알앤비 가수라기보다는 알앤비적 창법을 추구하는 발라드, 혹은 한국적 팝 뮤지션들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디즈(Deez), 라디(Ra. D), 40, 진보(Jinbo), 보니(Boni), 소울스타와 같은 최근에 데뷔한 뮤지션들은 이른바 정통 컨템퍼러리 알앤비를 구사한다.
이들의 음악과 앞서 언급한 이른바 한국형 알앤비 가수들과의 차이는 창법이 아닌 리듬 체계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난다. 박정현, 김범수, 박화요비의 알앤비는 화려한 창법을 바탕으로 멜로디를 중시한다면, 디즈나 보니의 알앤비는 알앤비 특유의 잔잔하고 끈끈한 리듬을 중시한다. 전자가 화려한 스캣 기교와 과장된 바이브레이션, 외성적인 샤우팅 창법으로 팝적인 멜로디가 강한 이른바 기승전결이 뚜렷한 사운드를 지향한 반면, 최근 젊은 알앤비 가수들은 절제된 보컬, 내성적인 지향성, 베이스 톤이 강한 리듬을 중시한다. 가령 보니의 '너를 보내도', 디즈의 '슈가' 같은 곡은 박정현, 김범수의 노래와는 많이 다르다. 잔잔한 키보드, 묵직한 베이스 라인에 음을 안으로 끌고 들어오는 내성적 창법과, 곡 안에서 응창 형식으로 주고받는 스타일은 요즘 유행하는 흑인 알앤비 리듬과 흡사하다. 이들은 멜로디를 리듬 안으로 끌어들여 전체적으로 멜로딕한 가창보다 끈끈한 리듬을 즐기려 한다. 이들은 단순한 모방을 넘어 흑인음악을 동일시하고 싶은 욕망을 가지고 있다. 이들의 음악도 한국적 알앤비이지만, 딕션, 리듬패턴, 코러스 모두를 완전히 흑인 음악 스타일로 동일시하고 싶어 한다는 점에서 장르 본래의 음악 스타일에 충실하다.
장르로서 알앤비를 모방하는 방식과 다르게 알앤비의 특징적인 리듬 라인을 부분적으로 모방하는 경우가 있다. 대표적인 경우가 아이돌 그룹들의 음악들에서 많이 발견되는 리듬 패턴이다. 아이돌 음악은 대부분 빠른 비트로 구성된 댄스음악과 힙합을 근간으로 하지만, 멜로디 파트나 조용한 분위기의 곡들은 알앤비 리듬을 많이 사용한다. 가령 샤이니의 '리플레이(replay)'나 JYJ의 'Be My Girl', 'In Heaven', 동방신기의 'Why Did I Fall In Love With You', 소녀시대의 'The Boys' 같은 곡들은 기본 리듬 패턴이 알앤비 형식에 기반을 두고 있다. 이들의 음악을 알앤비로 정의할 수 없지만, 가창 방식은 처음부터 흑인음악 스타일, 즉 알앤비 방식으로 훈련을 받았다. 음악 스타일은 힙합이나 일렉트로닉 팝이지만, 가창 스타일은 알앤비 감성으로 부르는 것은 케이팝의 음악이 혼종적이라는 것을 알게 해준다.
일렉트로닉 팝은 어떻게 차용되었나?
케이팝에 알앤비 못지않게 큰 영향을 준 음악 스타일이 일렉트로닉 팝이다. 알앤비와 일렉트로닉 팝은 동질적인 음악 장르가 아니지만, 케이팝에서는 서로 상호보완적으로 조화를 이룬다. 그렇다면 케이팝에서 일렉트로닉 팝은 왜 인기가 있을까? 가장 큰 이유는 일렉트로닉 팝이 힙합에서 전 세계에서 가장 유행하는 음악 장르여서 참고하기가 편하기 때문이다. 일렉트로닉 팝은 블랙 아이드 피스(Black Eyed Peas), 레이디 가가(Lady Gaga)가 미국 팝 시장에 유행시킨 장르이다. 클럽에서 춤을 추기 위한 강한 하우스, 레이브 비트와 힙합, 알앤비가 섞인 혼성음악으로서 힙합과 테크노 음악에 비해 멜로디의 비중이 강한 편이다.
두 번째는 상당수 케이팝이 디지털 샘플링을 많이 사용하는 데 있다. 이러한 작업 방식에 따라 작곡가들은 일렉트로닉한 사운드를 자연스레 추구하게 된다. 케이팝은 대부분 댄스음악 형식을 취하기 때문에 춤에 어울리는 사운드를 만들기 위해서는 댄스 클럽에서 통상 많이 사용하는 디지털 샘플을 사용한다. 마지막으로 적잖은 가수들의 보컬 수준이 높지 않기 때문에 오토튠과 같은 기계적인 믹싱에 의존할 수밖에 없다. 오토튠은 보컬에 디스토션을 걸어 사이보그적인 음성 변조를 가능케 하는데, 이런 세 가지 요인들이 일렉트로닉 팝을 많이 사용하게 만드는 요인이다.
일렉트로닉 팝은 최근에 유행하는 혼성 팝의 형태이지만, 그 근원을 역사적으로 따지고 보면 오랜 전사를 가지고 있다. 1960년대 말부터 테크놀로지의 혁신을 음악 장르에 도입해 전위적인 음악을 추구한 그룹들의 소리는 프로그레시브 음악(progressive music)으로 불렀다. 핑크 플로이드(Pink Floyd), 울트라복스(Ultravox), 에머슨 레이크 앤 파머(Emerson Lake & Palmer)와 같은 프로그래시브 록 그룹들은 신시사이저와 같은 혁신적인 악기를 사용하는 것을 넘어, 음악과 기술 문명의 문제를 깊이 있게 다루었다. 1980년대는 이러한 무거운 사운드보다는 신나고 흥겨운 테크노 음악들이 유행했는데, 이를 흔히 뉴 웨이브(New Wave)라고 부른다. 휴먼 리그(Human League), 듀란 듀란(Duran Duran), 스펜다우 발레(Spandau Ballet), 펫 숍 보이스(Pet Shop Boys)와 같은 뉴 웨이브 뮤지션은 1980년대 신보수주의 문화, 주말에 파티를 즐기는 전문직 종사자 여피족(the Yuppie)들의 문화를 대변했다. 크라프트베르크(Kraftwerk), 프로디지(Prodigy)와 같은 테크노 밴드들이 일렉트로닉 음악의 범주 안에서 인기를 얻긴 했지만, 1990년대 말 이후 일렉트로닉 음악은 사운드 믹싱과 퍼포먼스를 즐기는 클럽 디제이들에 의해 주도되었다. 케미컬 브라더스(Chemical Brothers)와 언더월드(Underwrold)는 일렉트로닉을 하나의 음악적 장르로 추구하는 밴드들로서, 클럽에서의 파티 음악을 생산해내는 클럽 디제이들과 다르게 전자음악의 정체성을 유지하고자 했다.
해외 대중음악 시장에서 일렉트로닉은 장르음악으로서 오랜 역사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최근 유행하는 일렉트로닉 팝은 장르음악으로서 일렉트로닉과는 구별될 필요가 있다. 일렉트로닉 팝은 음악장르라기보다는 유행형식에 가깝기 때문이다. 일렉트로닉 팝은 팝, 일렉트로닉, 힙합이 결합된 혼종적인 양식이라 할 수 있다. 나아가 상업적인 댄스음악의 변형된 형태라 할 수 있다. 예컨대 블랙 아이드 피스는 일렉트로닉한 장치들과 힙합을 결합한 댄스팝으로 얼터너티브 힙합 그룹으로 불리기도 한다. 레이디 가가의 음악 역시 테크노 비트가 강한 댄서블한 팝 음악이 주를 이룬다.
일렉트로닉 케이팝의 짬뽕 스타일
케이팝에서 일렉트로닉 팝의 경향은 주로 장르음악이 아닌 유행 형식을 모방한 것이다. 물론 한국에도 장르음악으로서 일렉트로닉 팝이 있다. 허밍어반 스테레오(Humming Urban Stereo)나 하우스 룰즈(House Rules), 캐스커(Casker) 같은 그룹은 팝적인 성향이 강하긴 하지만, 일관된 테크노 비트를 유지한다는 점에서 일렉트로닉의 한 장르인 하우스 음악에 가깝다. 이디오테잎(Idiotape)과 같은 밴드는 일렉트로닉과 록을 결합한 하드코어 경향을 보여준다. 한국에서도 클럽에서 춤을 추기위한 도구로서의 테크노 음악이 아니라 감상용 일렉트로닉 장르들이 존재하는 것은 사실이다.
그러나 케이팝에서 일렉트로닉 팝은 형식적인 소재로 선택된다. 아이돌 그룹의 음악 대부분이 일렉트로닉 팝의 형식을 사용하는 것은 두 가지 이유 때문이다. 하나는 케이팝의 곡들은 춤을 추기 위한 반복적인 비트와 리듬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곡 전체를 힙합 음악으로 만들기가 쉽지 않다. 전곡을 랩으로 소화하면서 댄서블한 곡을 만드는 것은 대단히 어렵고 상업적으로 성공할 가능성이 많지 않다. 예컨대 일렉트로닉한 요소들을 많이 사용하고 있는 빅뱅의 최근 곡들은 랩핑의 방식도 오토튠을 사용해 하우스 음악에 맞는 스타일로 변형시킨다. 두 번째는 멜로디에 대한 강박관념이다. 일렉트로닉 팝은 비트와 리듬이 주도하는 음악이지만, 연주용 음악이 아닌 이상 상업적으로 성공하기 위해 주 멜로디를 갖고 있다. 거의 대부분 아이돌 그룹의 음악은 노래 중간 부분에 주 멜로디를 갖고 있다. 일렉트로닉 팝은 바로 주 멜로디가 강렬하게 들릴 수 있도록 다양한 디지털 샘플을 사용해서 극적인 상승효과를 내줄 수 있다. 따라서 케이팝은 힙합, 알앤비, 일렉트로닉이 서로 뒤섞인 짬뽕 스타일을 갖추게 됐다. 이는 춤과 랩핑과 보컬을 모두 한 곡에서 소화해야하는 케이팝 아이돌 그룹의 편성 때문에 발생하는 구조적인 문제라 할 수 있다. 한국의 일렉트로닉 팝은 그런 점에서 혼성 모방적이다.
▲한국의 아이돌 팝은 그 추구 성향에서 차이가 느껴지긴 하지만, 본질적으로 일렉트로닉 팝 스타일로 부를 수 있다. 미국 주류 팝 음악에 대한 적극적인 모방은 이른바 '케이팝 열풍'의 근원이 됐다. 블랙 아이드 피스의 윌.아이.엠과 투애니원의 사진. ⓒ뉴시스 |
한국: 미국 팝의 하청공장
케이팝의 음악 원료들은 이처럼 모두 미국 팝에서 모방한 것들이다. 그것도 원료의 맥락과 지표성이 모두 사라지고, 유행 형식만이 남았다. 어쩔 수 없긴 하지만, 어처구니없기도 하다. 케이팝은 어떤 점에서 미국 팝음악 원천들을 잘 사용해서 한국적인 팝으로 재창조했다고 볼 수 있다. 케이팝이 글로벌한 팝 시장에서 인기를 누릴 수 있는 것은 창조적 모방이 가능했기 때문이라는 주장도 일리는 있다. 또 제이팝(J-pop)이 지나치게 자국의 음악 스타일만 고수하다가 케이팝처럼 해외 팬들에게 어필할 수 있는 글로벌한 매력을 갖지 못했다는 지적도 가능하다. 그러나 케이팝이 지나치게 미국 팝에 의존하고 있는 것은 사실이다. 케이팝의 글로벌 스탠더드는 바로 아메리칸 스탠더드와 동일하다.
현재 인기리에 방송되고 있는 SBS의 <케이팝 스타>에 출연한 10대 가수 지망생들의 가창을 듣다보면, 모두 흑인 알앤비 스타일을 일방적으로 복제하고 있다. 이는 누군가가 이들을 케이팝 스타로 만들기 위해 의도적으로 표준적인 방식으로 조련했다고 볼 수밖에 없다. 황색 피부, 검은 가면이라는 말이 어울릴 정도로 어린 학생들이 흑인 음악을 너무나 자연스럽게 복제하는 장면들을 보면 정신이 아찔할 정도다. 케이팝의 음악적 참고 체계에서 과연 한국적인 것이 무엇인가를 물어보면 딱히 답변할 거리가 많지 않다. 작곡과 편곡, 가창에 이르기까지 미국 팝음악의 유행형식을 모방하는 케이팝은 어떤 점에서 미국 팝의 하청공장 같아 보인다. 그것은 디즈니랜드의 하청공장, 나이키의 하청공장의 시절과는 달리 우리 브랜드를 갖고 세계에서 경쟁한다는 점에서 분명한 차이가 있지만, 상품이 아닌 문화라는 관점에서는 그 특이성을 찾기 어렵다. 오히려 케이팝의 음악적 참고체계는 흑인음악, 미국 팝음악에 대한 내면적인 감성 체계를 갖고 있다는 점에서 상품보다 더 깊은 미국화를 지향한다. 그런 점에서 케이팝을 한미 FTA의 문화적 버전으로 지칭한다면 지나친 비유일까?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