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러한 사실은 위키리크스가 최근 공개한 카타르 주재 미국 대사관의 외교전문에서 드러났다. 이에 따라 중동 문제에 관해 서방 언론의 시각에서 벗어난 독립적인 논조를 추구해 온 것으로 평가받았던 <알자지라>의 위상이 크게 흔들릴 것으로 보인다. 파문이 커지자 이 방송국의 와다 칸파르 총사장은 결국 자리에서 물러났다.
<AP> 통신 등에 따르면 카타르 주재 미국 대사관이 2005년 10월 작성한 외교전문에는 칸파르 총사장이 미 대사관 공보관 등을 만나는 장면이 나온다. 칸파르 총사장은 이 자리에서 이라크 북구 탈 아파르 지역에서 벌어진 미군의 군사작전에 대한 인터넷판 특집보도에서 두 장면을 삭제하겠다고 밝혔다.
삭제 장면은 얼굴을 크게 다쳐 병원에 입원한 여성 등 전쟁 피해자들의 모습을 담고 있어 미군의 이미지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것이었다. 전문에 따르면 당시 미 대사관 측은 칸파르 총사장에게 <알자지라>의 보도에 대해 계속 불만을 늘어놓았고, 칸파르 총사장은 한숨을 쉬는 등 곤혹스러운 태도를 보이다가 결국 장면을 삭제하겠다고 말했다.
미 대사관 측은 또 미 국방정보국(DIA)이 2005년 7~9월 <알자지라>의 보도 내용을 분석한 자료를 칸파르 총사장에게 전달했다. 그러자 칸파르 총사장은 7~8월 분석 자료를 이미 카타르 당국으로부터 전달받았다고 말했다. 아울러 미 대사관 관계자가 예전에 이뤄진 것으로 보이는 모종의 '합의'를 언급하자 칸파트 총사장은 "언론기관으로서 그런 성격의 합의문에 서명할 수 없다"며 구두 합의임을 강조하는 대목도 있었다.
이 전문보다 7일 전에 작성된 다른 전문에서도 <알자지라>의 인터넷판 편집 책임자가 미 대사의 항의에 따라 특정 기사를 삭제한 것으로 나타났다.
위키리크스의 폭로에 따라 파문이 일자 <알자지라>는 20일 성명을 통해 지난 7월부터 사퇴 의사를 표명한 칸파르 총사장이 이날 자리에서 물러났다고 밝혔다. 칸파르 총사장의 후임은 방송를 소유한 카다르 왕실의 셰이크 아마드 빈 자셈 무하마드 알타니가 맡기로 했다.
칸파르 총사장은 이날 자신의 트위터를 통해 <알자지라>에 "개선과 변화"가 필요해 사퇴하게 됐다고 밝혔다. 그는 또 미국과의 관계가 드러나 사퇴한 게 아니냐는 의혹에 대해 "내 사퇴 이유에 대한 모든 소문들로 우스갯거리가 됐다"라고 불만을 드러냈다.
▲ <알자지라>의 영문판 인터넷 홈페이지 화면. |
아랍어로 '섬'이라는 뜻인 <알자지라>는 카타르 왕조가 <BBC> 중동 지국을 인수해 1996년 11월 개국한 민간 상업방송으로 이라크 전쟁 등에서 각종 특종 보도로 유명세를 탔다. 올해 초 이집트 민주화 시위를 24시간 내내 보도해 힐러리 클린턴 미 국무장관으로부터 "<알자지라>야 말로 진짜 언론"이라는 극찬을 받기도 했다.
하지만 중동 민주화 열풍이 튀니지, 이집트를 넘어 바레인 등 카타르 근처의 친미국가들로 넘어오면서 <알자지라>의 보도에 변화가 감지됐다. 시민들의 편에 서서 적극적으로 민주화 열기를 전하던 이집트와 달리 단순한 사실 보도가 늘어난 것이다.
이에 <워싱턴포스트>는 지난 5월 <알자지라>가 이집트와 같은 장기 독재국가의 민주화 시위는 상세히 보도했지만, 카타르 왕실의 전략적 파트너인 바레인 등 군주제 국가에서 시위가 발생하자 태도를 바꿨다고 비판했다.
리비아 사태 때 <알자지라>는 처음부터 시위대 편을 들었다. 시위가 내전으로 번진 후 반카다피 진영에 나토(NATO)군이 가세하면서 서방국들의 개입에 대한 정당성 여부가 도마에 오랐지만 방송은 반군 측에 기운 보도 태도를 유지했다. 공습에 참가한 국가 중에 카타르가 끼어있었던 게 주요 원인으로 꼽혔다.
공정한 언론으로 평가 받아온 <알자지라>가 '아랍의 봄' 보도엣 한계를 드러낸데 이어 이번 외교전문 폭로로 미국과의 '친밀한 관계'마저 드러나면서 신뢰도에 치명상을 입게 됐다. 시청률이 한때 40%를 넘어설 정도로 <알자지라>에 대한 신뢰를 보여온 중동 지역 사람들에게 큰 충격을 줬기 때문이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