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무도 버블제트 물기둥을 보지 못했으며 백령도 초병들이 목격한 섬광 발생 위치(초소 기준 북서쪽)는 폭발원점(초소 기준 남서쪽)과 전혀 관련 없다."
"정부의 스크루 시뮬레이션 동영상은 스크루의 회전 방향을 실제 방향과 반대로 진행해서 얻은 결론이다. 그러므로 관성력은 아무것도 설명하지 못한다."
한국기자협회, 한국PD연합회, 전국언론노조가 구성한 '천안함 조사결과 언론보도 검증위원회'(언론 검증위)의 최종 결론이다. 언론 검증위는 12일 국회 헌정기념관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버블제트는 없었고, 천안함은 모종의 사건이 발생한 후에도 일정시간 기동했다"며 지난달 13일 국방부가 발표한 '합동조사결과 보고서'를 조목조목 반박했다. (☞언론 검증위 '천안함 종합 보고서' 전문보기)
"폭발원점 위치 오류, 어뢰격침설은 잘못"
검증위가 제기한 정부 결론의 첫 번째 오류는 폭발원점에 관한 것이다. 3월 26일 사고 당시 천안함은 남동쪽에서 북서쪽으로 항해하고 있었다. 천안함과 정반대 방향(남동쪽)으로 흐르던 조류는 3노트였고, 천안함은 7노트로 이동하고 있었다.
▲ 어뢰격침설 개념도 ⓒ언론 검증위 |
어뢰격침설이 맞다면 사고 직후 동력을 잃은 천안함은 조류를 따라 남동쪽으로 흘러가야 한다. 백령도 초소에 설치된 열상감지장비(TOD)에 최초로 관측된 B 지점 보다 북서쪽에서 폭발이 있고 조류를 따라 남서쪽으로 흘러 내려오다가 TOD 영상에 잡혀야 한다는 것이다. 함미의 관측 위치도 마찬가지다. 함미가 침몰하고 있는 TOD 영상은 함미가 완전히 침몰한 영상보다 북서쪽에 있어야 한다.
그러나 합조단이 제시한 폭발원점은 TOD 영상이 찍힌 B와 C 사이여서 모순이 생겼다는 게 검증위의 입장이다. TOD 관측선인 B와 C에 근거해 폭발 위치 관측선(A)과 함미가 완전히 침몰한 관측선(D)은 예측 가능하다. 검증위는 "오차를 고려해도 과학적으로 설명할 수 없는 치명적인 모순"이라고 지적했다.
▲ 정부가 밝힌 폭발원점(빨간색 점)은 천안함에 사고가 난 직후 TOD에 최초로 찍힌 B 점보다 남동쪽에 있어서, 기동력을 잃은 천안함이 조류를 거슬러 올라갔다는 모순에 봉착한다. ⓒ언론 검증위 |
"21시 22분, 천안함은 북서진 중이었다"
"천안함은 9시 17분 이후 어느 시점에 스크루를 변형시키는 모종의 문제에 봉착했고, 22분에 약한 타격에 직면한다. 그 이후로도 제약된 기동력으로 북서진하다가 함체가 절단되면서 침몰한 것으로 판단한다."
검증위는 또 "폭발원점이 TOD 상의 폭발 직후 위치보다 북서쪽으로 옮겨져야 정부가 주장하는 버블제트로 인한 순간적 절단이라는 어뢰격침설에 부합"한다고 설명했다.
검증위는 "어뢰격침설로는 천안함의 북서진 설명이 불가능하다"며 "KNTDS(해군전술지휘통제체계) 좌표와 TOD 동영상을 토대로 분석하면 21시 22분에 천안함의 북서진했던 것으로 볼 수 있다"라고 설명했다. 언론검증위 노종면 검증위원은 "지진파는 발생했지만, 원인은 어뢰가 아닌 약한 타격"이라며 천안함의 침몰 원인에 대한 검증위의 입장을 설명했다.
▲ 노종면 검증위원이 발언하고 있다. ⓒ뉴시스 |
"아무도 물기둥을 보지 못했다"
아울러 검증위는 초병들의 증언을 토대로 버블제트 물기둥에 대한 합조단의 주장을 반박했다. 합조단이 초병들의 진술을 물기둥 증언으로 왜곡했다는 것이다. (☞관련 기사 : "동대문 살인사건 목격자가 종로 살인사건 증인?")
초병 A : "쿵 소리와 함께 하얀 불빛이 방위각 280도(북서쪽), 4km 지점에서 보였습니다. 두무진 돌출부(초소 북서쪽에 있는 절벽 지형)에 의하여 불빛이 가려진 상태였습니다."
초병 B : "물기둥 등 다른 것을 보았느냐고 묻는 사람이 있었지만, 다른 것은 보지 못했습니다."
검증위에 따르면 초병들이 목격한 섬광 발생 위치(초소 기준 북서쪽)는 폭발원점(초소 기준 남서쪽)과 전혀 관련이 없다. 섬광의 폭과 높이도 섬광 일부를 가린 두무진 돌출부의 절벽 규모를 기준으로 추정한 것으로 검증위는 판단했다.
검증위는 "초병들이 봤다는 섬광은 버블제트 물기둥일 수 없으며 정부가 초병 진술을 왜곡, 조작했다는 의혹이 짙다"고 밝혔다.
▲ 기자회견 참석자가 보고서를 살펴보고 있다. ⓒ뉴시스 |
스크루 변형에 대한 분석도 도마 위에 올랐다.
그간 정부는 "천안함이 좌초된 것으로 본다면 프로펠러 날개가 파손되거나 긁힌 흔적이 있어야 하나 그러한 손상이 없다"며 "그러므로 프로펠러의 급작스런 정지와 추진축의 밀림 등에 따른 '관성력'이 발생한 것이다"라고 말해왔다.
그러나 언론 검증위가 조사한 바로는 스크루에 심각한 국부적 파손이 뚜렷이 발견되며 표면 곳곳에 긁힌 자국이 뚜렷하다. 날개 앞쪽에 손상이 없다는 합조단의 조사와는 다르게 손상 대부분이 날개 앞쪽에서 발견됐다.
관성력을 입증하는데는 더 큰 모순이 존재한다. 합조단의 2차 스크루 시뮬레이션 동영상은 스크루를 역회전시켜 얻은 결과로 시뮬레이션 상의 회전 방향과 실제 회전 방향은 완전히 반대이다. 실제로는 정부가 밝힌 관성력 작용 방향과는 반대 방향으로 날개가 휘어진 것이다. 검증위는 "관성력 외에 다른 요인이 작용한 것"으로 판단했다.
<언론 검증위 종합보고서 맺음말 요약> 본 보고서는 정부 조사결과를 언론인, 과학자들과 함께 다섯 달 가까이 검증한 결과다. 합조단 근거 가운데 지진파와 음파, KNTDS 항적, TOD 동영상 자료를 기본적으로 신뢰한 상태에서 작성되었다. 그동안 검증위는 특정한 결론을 내리는데 신중을 기했으나, 이번 보고서를 통해 '최소한 버블제트는 없었으며, 모종의 사건 발생 이후에도 일정 시간 천안함이 기동 중이었다'는 제한적인 결론을 내렸다. 함체의 변형 상태와 같이 매우 중요한 검증 대상임에도 전문적인 자문을 거치지 못했거나, 정보에 접근하지 못한 경우는 그 내용을 보고서에 담지 않았다. 본 보고서는 부족함에도 합조단 핵심 근거의 모순을 상당 부분 밝혀냄으로써 천안함 사건의 사실관계가 총체적으로 재규명 되어야 함을 확인해 준다. 다시 한 번 국정조사 등을 통한 진실 규명을 촉구한다. |
<언론 검증위 발표에 대한 국방부의 입장> 초병진술을 물기둥 증언으로 왜곡하였다는 것은 사실이 아닙니다. |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