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인화면으로
"대전에서 방사능 누출, 원자력연구원은 늑장 대응"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
  • 밴드 공유하기
  • 인쇄하기
  • 본문 글씨 크게
  • 본문 글씨 작게
정기후원

"대전에서 방사능 누출, 원자력연구원은 늑장 대응"

환경운동연합 "대전이 후쿠시마냐" 강경 비판

대전 유성구의 원자력 시설에서 방사성 물질이 유출된 사태와 관련, 환경운동연합이 연구원을 강하게 성토하고 전면 개혁을 요구했다.

23일 환경운동연합은 논평을 내 "원자력연구원의 방사능 누출 사고와 무단폐기 등이 전혀 개선되지 않고 반복되고 있다. 원자력연구원의 방사능 안전관리 능력이 부재하다"며 "더 큰 사고가 나기 전에 원자력연구원을 해체해야 한다"고 강하게 비판했다.

환경운동연합은 아울러 해당 사고의 철저한 조사를 촉구하고 관계자 책임 규명을 실시해야 한다고도 요구했다. 환경운동연합은 아울러 정부를 향해 "원자력연구원의 해체를 포함한 전면 개혁 방안"이 필요하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앞서 지난 22일 원자력안전위원회는 세슘137, 세슘134, 코발트60 등 인공방사성 핵종이 자연증발시설 주변 우수관으로 방출됐다는 원자력연구원 보고를 21일 받았다고 밝혔다. 이들 물질은 강력한 방사선을 낸다.

원안위 발표에 따르면, 연구원이 지난해 12월 30일 정문 앞 하천 토양 시료를 채취해 이를 지난 6일 분석한 결과, 해당 토양의 방사능 농도는 최근 3년 평균치의 59배인 1㎏당 25.5베크렐(㏃)이었다.

연구원은 이번 사태의 원인으로 방사성폐기물처리시설인 '자연증발시설'을 꼽았다. 방사성폐기물을 자연증발시설로 옮기는 과정에서 유출이 이뤄졌을 가능성이 있다는 의미다.

연구원은 이 사실을 10일 원안위에 보고한 후 13회에 걸쳐 자체 조사를 실시, 핵종 유출 사실을 확인했다. 조사 결과 연구원 내부 하천 토양의 방사능 농도는 최고 138베크렐에 달했다. 연구원은 다만 연구원 외부 하천 하류 토양은 오염되지 않았다고 밝혔다. 연구원은 아울러 누출 량이 많지 않아 인체에 미칠 위해성은 없다고도 해명했다.

하지만 원안위 발표를 종합하면, 방사성 물질 유출 사태를 확인한 지난 6일 이후 보름이 지나서야 관련 사실이 언론에 알려졌다. 후쿠시마 원전 사고로 인해 원전 위험성에 관한 경각심이 커진 마당에 연구원이 늑장 대응한 것 아니냐는 비판을 피하기 어려워 보인다. 이와 관련해 연구원 관계자는 언론 인터뷰에서 관련 사실 공개가 늦은 면이 있다고 일부 인정했다.

환경운동연합이 연구원 해체라는 강력한 주장까지 제기한 배경으로 해석된다. 환경운동연합은 "(연구원이) 대전을 후쿠시마로 만들 셈이냐"며 "국민이 언제까지 불안에 떨며 이들의 연구에 세금을 지원해야 하느냐"고 꼬집었다.

▲ 22일 오후 대전 한국원자력연구원 내 시설에서 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KINS) 사건조사팀이 방사성 물질 방출 원인을 조사하고 있다. 원자력안전위원회에 따르면 원자력연구원은 지난해 12월 30일 연구원 정문 앞 하천 토양에서 시료를 채취했고, 올해 1월 6일 이 시료에서 방사능 농도가 증가했음을 확인했다. ⓒ연합뉴스

이 기사의 구독료를 내고 싶습니다.

+1,000 원 추가
+10,000 원 추가
-1,000 원 추가
-10,000 원 추가
매번 결제가 번거롭다면 CMS 정기후원하기
10,000
결제하기
일부 인터넷 환경에서는 결제가 원활히 진행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kb국민은행343601-04-082252 [예금주 프레시안협동조합(후원금)]으로 계좌이체도 가능합니다.
이대희

독자 여러분의 제보는 소중합니다. eday@pressian.com

프레시안에 제보하기제보하기
프레시안에 CMS 정기후원하기정기후원하기

전체댓글 0

등록
  • 최신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