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정부가 후쿠시마(福島) 제1원전의 오염수를 해양에 방출해도 환경에 미치는 영향이 작다는 내용의 보고서를 발표했다. 오염수 저장 한계에 다다른 일본 정부가 해양 방출을 강행하기 위한 근거 마련에 나선 것 아니냐는 분석이 제기된다.
18일 <교도통신>은 이날 열린 일본 정부 소위원회 회의에서 경제산업성이 이 같은 내용의 보고서를 제출했다고 보도했다.
통신에 따르면, 보고서는 현재 보관 중인 제1원전 처리수(오염수)를 1년간 해양이나 대기에 전량 방출해도 그 영향은 일반인의 연간 피폭선량의 1600분의 1에서 4만 분의 1에 불과하다고 밝혔다.
보고서는 일반인이 일상에서 노출되는 피폭 방사선량이 2100마이크로시버트(μ㏜)며, 오염수 전량을 해양 방출할 경우 일반인이 추가로 피폭되는 방사선량은 0.052~0.62μ㏜에 불과하다고 밝혔다. 해양 방출 시 일반인은 모래사장에서 외부 피폭되거나 생선을 섭취해 내부 피폭되는 등의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고 보고서는 가정했다.
대기 방출 시 추가 피폭선량은 1.3μ㏜가량이라고 보고서는 전했다.
현재 후쿠시마 원전 1~3호기에서 유출된 오염수 총량은 약 1만5000여 톤이다. 일본 정부는 이들 오염수를 저장 탱크에 보관 중이나, 인근 지하수가 핵심 오염지역을 지나며 꾸준히 오염돼 오염수는 지속적으로 늘어나고 있다. 현재 오염수 량은 매일 170톤씩 늘어나는 것으로 알려졌다.
일본 정부는 오염수 처리 방안으로 크게 다섯 가지 대안을 제시했다. 오염수를 지하에 보관한 후 배출하는 방안, 희석 후 바다에 방출하는 방안, 오염수를 수증기화해 공기 중에 배출하는 방안, 오염수를 화학 분리해 수소화해 방출하는 방안, 고체화해 지하에 매설하는 방안 등이다. 해양 방출이 이들 방안 중 압도적으로 처리 비용이 저렴(약34억 엔 소요)해, 세계는 일본 정부가 오염수를 태평양에 방출할 지도 모른다는 우려를 갖고 있다.
이번 정부 발 보고서가 나온 배경에 일본 정부가 오염수 해양 방류를 위한 근거를 마련하려는 목적이 있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제기되는 이유다. 이미 일본 정부는 지난달 태풍 하기비스의 영향으로 인해 방사성 폐기물 관리 체계에 대한 비판을 받은 바 있다. 정부로서도 오염수를 하루 빨리 폐기하는 게 정치적 ‘골칫덩어리’를 빨리 해소하는 대안이 되리라는 유혹에 빠질 가능성이 있다.
이와 관련해 지난 9월 30일 국회에서 열린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 대응 긴급 토론회에서 이정윤 원자력안전과미래 대표는 오염수 지하 보관 후 반감기가 지나 배출하는 게 가장 안전한 방안이라며 한중일 삼국이 역내 공동 대응해야 할 문제라고 주장한 바 있다. (☞관련기사: "후쿠시마 오염수,지하 100년 보관 후 방출이 정답")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