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 광안리 한 공중화장실을 이용하던 여학생 한 명이 유독가스에 중독돼 쓰러져 열흘 넘게 의식을 찾지 못하고 있는 가운데 관리를 맡은 관할 자치단체가 수십 년 동안 제대로 된 안전점검 한번 하지 않았던 것으로 드러나 비판이 일고 있다.
부산환경운동연합은 8일 논평을 내고 "부산시와 수영구는 황화수소가 누출된 공중화장실 관리체계를 전면 개편하고 전수조사를 통해 안전한 시스템을 재구축하라"고 밝혔다.
이들은 "지난달 부산 광안리 해수욕장 인근 공중화장실에서 인체에 해로운 황화수소에 노출된 여고생이 의식을 잃은 지 열흘째가 지나고 있다"며 "공중화장실의 관리 주체인 수영구청이 20년이 넘게 점검을 하지 않았다는 점에서 예견된 인재(人災)라고 할 수 있다"고 비판했다.
이어 "해당 화장실은 1998년 설치되어 노후화되었음에도 유치 개·보수 작업이 이뤄지지 않았고 정화조 뚜껑 덮개는 구멍이 뚫려 유독가스를 누출시키는 등 환풍기 또한 제대로 작동하지 않은 것으로 파악됐다"며 "관할 기관인 수영구청은 공중화장실의 정화조 관리·감독을 20년 넘게 방치하고 허술하게 관리해 온 책임을 피할 수 없게 되었다"고 지적했다.
또한 "공중화장실의 설치·지정 및 관리에 필요한 시책을 마련해야 할 부산시도 사건이 발생한 이후에야 전수조사를 지시하고 있어 시민들의 원성이 높다"며 "공중화장실의 유지·관리 등 시설점검의 의무가 있는 부산시와 지자체는 책임을 다하지 않은 것으로 공중화장실에 관한 법률 위반한 것으로 볼 수 있다"고 주장했다.
현재 부산시의 공중화장실은 601개, 개방형 민간화장실은 2577개로 총 3178개에 달하는 가운데 대부분 공중화장실 지하에 위치한 오수처리시설은 유해가스 발생뿐만 아니라 질식사고까지 일어날 수 있는 밀폐 공간으로 분류돼 관리의 사각지대로 방치되고 있는 실정이다.
환경단체는 "부산시와 수영구청 등 관계기관은 휴가철을 맞이해 전 국민들이 찾고 있는 광안리, 해운대를 비롯한 공중화장실의 실태를 정확히 조사하고 이러한 사건이 재발되지 않도록 철저히 관리해야 한다"며 "시민들의 안전과 관련된 사항인 만큼 인재가 다시는 발생하지 않도록 관리시스템을 명확히 해야 할 것이다"고 촉구했다.
한편 지난달 29일 오전 3시 37분쯤 부산 수영구 민락동 한 회센터 지하 공중화장실에서 A(19) 양이 황화수소에 노출돼 현재까지 의식불명 상태인 것으로 알려졌다.
소방재난본부, 한국가스안전공사, 국립과한수사연구원이 두 차례 현장 조사를 실시한 결과 정화조 펌핑 때 생성된 황화수소가 화장실 배수구로 배출되면서 사고가 발생한 것으로 확인됐다.
당시 화장실 배수구에서는 산업안전보건법이 정하고 있는 단시간 허용 농도 기준치 15ppm의 60배가 넘는 황화수소 1000ppm이 검출되면서 관할 구청은 사고 이후 화장실을 폐쇄했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