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납세소비자단체 FTCR에 따르면, 미국 캘리포니아 발전산업 규제완화로 캘리포니아 주민들은 7백10억달러(약 92조원)를 강탈당한 것으로 추정된다. 이른바 '캘리포니아 전력사태'라 불리는 전력 민영화의 부정적 결과다.
그런데 캘리포니아 전력사태를 일으킨 주범이라는 혐의를 받고 있는 기업이 바로 우리나라 한국전력의 발전 자회사 인수경쟁에 뛰어든 미국의 에너지기업 엘파소로 알려져 파문이 예상된다.
엘파소는 특히 미국 조지 W. 부시 대통령의 정치적 고향인 텍사스에 자리잡은 에너지회사로, 한전 발전 자회사를 매각할 경우 가장 유력한 인수주체중 하나로 꼽히고 있는 기업이기도 하다.
***엘파소는 공공의 적**
지난달 28일 본지는 '미국계 전력.석유 메이저, 한전 인수 각축전'이라는 제목의 기사를 내보냈다. 현재 한달이상 파업이 계속되고 있는 한국전력의 발전 자회사 인수를 희망하고 있는 외국계 자본들이 누구인가를 취재한 기사였다. 본지는 이 기사를 통해 미국의 AES, 엘파소, 미란타 등 3개 에너지 기업이 오래 전부터 한전 인수를 위해 적극적 작업을 펼쳐왔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 기사가 나간 뒤 사흘뒤인 지난달 31일 미국의 한 교포 독자가 엘파소 관련 자료를 제보해왔다. 한전 인수를 추진중인 미국의 3대 에너지그룹 가운데 하나인 엘파소에 관한 미국언론의 보도내용이었다. 엘파소가 다름아닌 캘리포니아 전력사태의 주범중 하나라는 내용의 기사였다.
교포 독자가 보내준 미국 샌프란시스코 크로니클의 보도(2001년 7월29일자)에 따르면, 캘리포니아주 남서부에서 남부 지역을 잇는 엘파소 파이프라인을 이용하고 있는 가스공급업체들이 엘파소가 캘리포니아의 에너지 가격 폭등을 일으킨 주범이라고 비난하며 엘파소를 '공공의 적(common enemy)'으로 규정하고 소비자들이 단결할 것을 촉구했다.
연방규제당국 청문회에 제시된 증거에 따르면, 지난해 5월 가스공급업체들은 캘리포니아 에너지 사태때 발전에 필요한 가스공급을 원활하게 하고 싶었지만 엘파소측이 이를 방해했다.
엘파소는 캘리포니아주 천연가스 수요량의 절반을 담당하고 있다. 지난해 5월14일 열린 워싱턴 D.C. 청문회에서는 엘파소의 자회사인 엘파소 머천트 에너지가 본사의 지시에 따라 파이프라인 시설 절반에 대해 가동을 중단하고 추가공급 요청을 거부했다는 주장에 대해 초점이 모아졌다.
가스공급업체들은 지난해 7월13일 연방규제당국에 "우리들은 수백만 달러의 손실을 보고 있다"고 하소연하며 엘파소가 미국 서부지역 가스ㆍ전기 시장에 엄청난 해악을 초래했다는 주장을 제기했다. 그러나 이에 대해 엘파소측에서는 사실무근이라고 반박하고 있다.
***공급량 조작으로 전기요금 10배나 폭등**
가스공급업체인 서던 캘리포니아 에디슨에 따르면, 엘파소의 공급량조작 결과 가스가격은 미국 전국 평균의 10배 가량 치솟았으며 2000년에서 2001년 초까지 가스ㆍ전기에 지불한 추가 비용은 37억 달러에 이르렀다.
그러나 엘파소측은 가격인상은 가뭄으로 수력발전소가 제대로 가동되지 못했고, 그 결과 천연가스 발전소에 필요한 전력수요가 급증했기 때문이라고 반박했다. 또한 캘리포니아의 파이프라인망이 원래 부실하기 때문에 공급에 차질이 빚어졌다는 것이다.
엘파소 파이프라인을 이용하는 아모코 프러덕션, BP에너지, 벌링턴 리소시즈 오일 앤드 가스 등 가스공급업체들은 이에 대해 자신들의 주장을 굽히지 않고 있다. 엘파소가 파이프라인 시설을 과잉 매각해 자신들과의 계약대로 공급하지 못했다고 주장하고 있다. 엘파소는 시설 매각을 통해 가스공급업체들만 희생시키고 자신의 배를 불렸다는 것이다.
엘파소측은 이에 대해 캘리포니아에 대한 가스공급이 충분치 못했다는 점은 시인하나 그것도 아리조나, 네바다, 뉴멕시코 등지의 수요 증대로 캘리포니아에만 가스 공급을 할 수 없었기 때문이라고 주장했다.
엘파소의 이런 해명에도 불구하고 가스공급업체가 공세를 늦추지 않는 것은 배신감도 작용하고 있다고 샌프란스시코 크로니클은 전하고 있다. 엘파소가 과잉시설로 허덕이고 있던 1996년 가스공급업체들이 합심해 살려주었더니, 그후 신의를 저버렸다는 것이다.
당시 가스공급업체들은 2006년까지 파이프라인 운영비용을 분담하기 위해 엘파소의 요금 인상에 동의해 주었다.
그 대가로 엘파소는 수요를 맞추기 위해서 필요하다면 파이프라인망을 증설하겠다고 약속했으나 이를 지키지 않았다는 것이다.
샌프란시스코 크로니클은 엘파소의 조작 혐의에 대한 증거가 속속 드러나자, 캘리포니아 주정부는 연방정부에게 엘파소가 회사수익중 2억 달러를 환불하라는 명령을 내려주길 요구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한편 미국의 경제전문지 비즈니스 위크(2001.8.6일자) 또한 엘파소가 캘리포니아에서 '제1의 공적'(public enemy)으로 낙인찍혔다고 보도하는 등 엘파소에 대한 미국내 여론은 험악하기 짝이 없다. 보도에 따르면, 투자가들은 앞으로 엘파소에 수백만달러의 벌금이 가해지고 천연가스 가격이 급락할 것으로 판단, 앞다퉈 보유주식을 내다 팔음으로써 엘파소의 주가는 지난해 33%나 떨어졌다.
***엘파소가 우리나라 전력ㆍ가스산업 인수하면 앞날은 보나마나**
문제의 엘파소는 현재 지난 1월초 국내시장에 매물로 나온 SK-엔론의 입찰 경쟁에 뛰어드는 등 한국시장에 진출하기 위해 다각적 공세를 펴고 있다. SK-엔론은 국내 LNG(액화천연가스) 시장에서 점유율 25%를 자랑하고 있는 알짜기업.
엘파소는 동시에 한전 민영화 발전자회사 매입에도 강한 의욕을 보이고 정부 유관부처등을 상대로 적극적 로비활동을 펴고 있는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국내 전력업계에서는 엘파소가 부시 대통령의 지역기반인 텍사스주 출신기업이라는 점에서 엘파소를 한전 발전자회사 매각시 유력 인수기업중 하나로 꼽고 있다.
엘파소는 그러나 자국인 미국에서조차 '공공의 적' '제1의 공적'으로 불릴만큼 전력 민영화를 악용해 배를 불린 대표적 악덕기업이다.
이같은 악덕기업이 국내 발전ㆍ가스 등 주요 민영화 기업을 만약 인수한다면 그 앞날은 보나마나일 게 훤하다. 정부가 전력산업등의 민영화를 무리하게 강행하기에 앞서, 겸허하게 여론의 우려를 수렴한 뒤 문제를 풀어나가려는 겸허한 자세를 보여야 하는 것도 이런 연유에서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