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부가 고교 서열화 완화 정책을 추진하고 있지만 정작 교육부 공무원들은 자녀들을 입시명문고에 진학시킨 것으로 드러났다.
국회 교육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김해영 의원(부산 연제구)은 교육부로부터 제출받은 '교육부 직원 자녀 고등학교 재학 현황' 자료를 분석한 결과 공무원들은 자녀들을 서울 소재 자율형사립고와 입시명문고, 전국단위모집 유명 고교에 상당수 진학시킨 것으로 파악됐다고 3일 밝혔다.
교육부는 2013년 12월에 세종시로 이전했지만 교육부 공무원 자녀가 세종시 소재 고교에 진학한 비율은 전체 64명에 3분의 1 수준인 22명에 그쳤다.
이 가운데 일반고는 20명, 특수목적고는 세종국제고 1명, 세종예술고 1명이었다. 반면 교육부가 강조하는 혁신학교에 다니는 공무원 자녀는 서울 신현고 재학생 1명에 불과했다.
또한 고교 재학 자녀 64명 중 6명이 서울 중앙고, 현대고, 휘문고, 보인고, 한양대사대부고 등 서울 소재 자사고와 전북 상산고에 각각 재학 중인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 소재 일반고에 재학 중인 경우에도 대부분 유명한 강남에 있는 고교로 강남구 단대부고 2명을 포함해 강남구 청담고, 서초구 상문고와 반포고, 송파구 배명고, 보성고, 방산고 각각 1명 등 총 8명인 것으로 확인됐다.
서울에서 학교를 다니는 교육부 공무원 자녀 가운데 자사고나 강남 3구 소재가 아닌 고교는 양천구 진명여고 1명, 강동구 한영고 1명, 구로구 신도림고 1명 등 총 3명이지만 이 세 학교도 모두 입시 명문고로 알려져 있다.
김해영 의원은 "교육부 공직자들이 자녀 교육을 위해 서울에 주소지를 유지하면서 입시 명문고에 보내는 것은 고교 서열화 완화를 강조하는 교육부 정책에 대한 국민 신뢰를 떨어뜨리게 할 것이다"고 말했다.
한편 교육부는 지난해 고교 서열화를 해소하겠다며 초·중등교육법 시행령을 고쳐 올해 말부터 자사고·외고·국제고가 후기에 일반고와 신입생을 같이 뽑도록 했다. 하지만 전국 자사고 등에서 학교 선택권을 침해한다며 헌법소원을 제기한 바 있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