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이 분산에너지 특구로 지정되며 강서구에 2027년까지 대규모 ESS(에너지저장장치) 단지가 들어설 전망이다.
기후에너지환경부는 5일 오전 에너지위원회를 열고 분산에너지 특화지역을 지정했다. 부산, 울산, 경북, 경기 등 7개 지자체가 신청한 이번 사업에서 부산과 전남, 경기, 제주 등 4개 지자체가 최종 확정됐다.
부산시는 분산 특구의 3가지 유형 중 '신산업활성화형'으로 지정됐다. 대규모 에너지저장장치(ESS) 설치와 인공지능 기반 에너지 관리 효율화를 핵심 내용으로 추진한다. 특구 대상 지역은 에코델타시티, 명지국제신도시와 명지녹산, 미음, 신호, 화전 등 강서권 6개 산업단지의 49.9㎢에 해당된다.
ESS 팜은 수요자의 초기투자비용과 효율성 저하 등의 문제를 보완하는 원격지 모델이다. 특구 지정에 따라 저장된 전기를 가상상계거래를 통해 수요자에게 판매할 수 있게 된다. 에너지관리시스템과 인공지능 기반 스마트그리드를 결합한 미래형 에너지 모델 구축에도 나선다.
ESS 팜에는 안정성이 높은 LFP 배터리를 활용해 오는 2027년까지 250MWh 규모로 구축하고 2030년까지 500MWh로 확대한다는 계획이다. 이는 최소 기준으로 수요가 확인되면 탄력적으로 확대한다는 것이 부산시의 설명이다.
부산시는 이를 통해 기업들이 최대 8% 수준의 전기요금을 절감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부산 전체적으로는 연간 157억원의 요금 절감 효과가 기대된다.
반도체·데이터센터 등 첨단산업의 경우 무정전 전력공급 설비 투자비 2500억원을 절감할 수 있다. 약 4만2000세대의 하루 사용량이자 데이터센터 5개를 운영할 수 있는 전력을 안정적으로 확보할 수 있게 되며 첨단기업 유치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줄 것으로 전망된다.
박형준 부산시장은 "전국 최초 '분산 에너지 특화 지역' 지정은 안정적인 전력공급을 넘어 부산의 산업 경쟁력과 도시 경쟁력을 한 단계 높이는 전환점이 될 것"이라며 "이를 계기로 부산시는 에너지 자립과 탄소중립을 실현하는 친환경 에너지 글로벌 허브도시로 나아가겠다"고 말했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