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인공지능(AI) 산업의 중심축이 울산으로 이동하고 있다. SK텔레콤이 울산 AI 데이터센터(AI DC)를 1GW급 규모로 확장하고 글로벌 시장 진출을 본격화하겠다고 선언하면서 울산이 한국형 AI 산업 생태계의 핵심 거점으로 부상하고 있다.
3일 서울 코엑스에서 열린 'SK AI 서밋 2025'에서 정재헌 SK텔레콤 CEO는 "울산 AI 데이터센터를 중심으로 대한민국을 아시아 최대 AI 인프라 허브로 만들겠다"며 "AI 기술이 산업과 도시의 구조를 바꾸는 혁신의 동력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이번 행사는 정부, 지자체, 글로벌 AI 선도기업이 함께 참여해 SK텔레콤의 국가대표 AI 인프라 비전을 공유한 자리다.
SK텔레콤은 울산 AI 데이터센터를 1GW 이상으로 확장해 제2·제3 울산형 데이터센터 모델을 구축하고 글로벌 자본을 유치해 한국을 아시아 AI 중심지로 도약시킨다는 목표를 세웠다. 이번 계획은 지난 10월 SK그룹이 Open AI와 체결한 전략적 파트너십의 연장선상에서 추진되며, 정부와 울산시, 글로벌 기술기업이 함께 참여하는 다자 협력 모델이다.
SK텔레콤은 SK이노베이션 등 관계사와 협력해 '에너지 특화 AI 데이터센터 솔루션'을 고도화하고 베트남 LNG 발전소와 연계한 친환경 AI 데이터센터 구축을 추진 중이다. 발전 과정에서 발생하는 냉열(冷熱) 에너지를 데이터센터 냉각에 활용하는 방식으로 향후 말레이시아와 싱가포르 등 동남아 지역으로 확장할 계획이다. 이를 통해 울산을 중심으로 한 '에너지 AI + 제조 AI 복합단지' 모델을 글로벌 시장에 수출할 전략이다.
정 CEO는 이날 발표에서 "AI 서비스의 급성장으로 통신사의 네트워크 인프라가 다시 주목받고 있다"며 '에지 AI'와 'AI-RAN' 기술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에지 AI는 데이터를 클라우드로 보내지 않고 기지국이나 에지 서버에서 직접 처리해 초저지연과 보안을 확보하는 기술이다. SK텔레콤은 이를 위해 AWS와 공동 연구개발 체계를 구축했으며 엔비디아·정부·학계와 함께 AI-RAN(지능형 무선 네트워크) 기술 실증에도 착수했다.
또한 SK텔레콤은 엔비디아 RTX PRO 6000 GPU 2000여 장을 도입해 국내 최대 규모의 '제조 AI 클라우드'를 구축한다. 이 인프라는 SK하이닉스 등 그룹 주요 제조사들의 스마트팩토리, 로봇 AI, 디지털 트윈 기술 구현에 활용될 예정이다. 정재헌 CEO는 "제조 AI 클라우드는 산업 안전성과 생산 효율성을 동시에 높이는 핵심 인프라가 될 것"이라고 밝혔다.
울산 AI 데이터센터 확장을 계기로 SK텔레콤은 설계, 구축, 운영 전 과정을 직접 수행하는 'AI 데이터센터 종합사업자'로 도약한다. 회사는 AI 데이터센터 핵심 기술을 내재화해 효율적 구축이 가능한 'AI DC 솔루션 패키지'를 상용화할 계획이다. 해당 솔루션은 전력 및 열관리 효율을 높이는 에너지 시스템, 서버 간 최적화를 위한 클러스터링 기술, 인랙·아웃랙 솔루션 등으로 구성된다.
SK텔레콤은 지난 1년간 울산 AI DC 기반의 B200 GPU 클러스터 '해인(HAEIN)' 구축, 과학기술정보통신부 AI 파운데이션 모델 사업 선정, AI 서비스 '에이닷' 가입자 1000만 명 돌파 등 굵직한 성과를 이뤘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