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경찰청은 캄보디아 '태자 단지'를 거점으로 한 해외조직의 주식 리딩·노쇼(선결제 대행) 사기 사건에 연루된 국내 가담자 12명을 검거해 모두 송치했다고 30일 밝혔다.
피해자는 84명, 피해액은 약 76억원에 달하며 범죄 수익금 중 약 4천5백만원은 몰수 보전 조치됐다. 검거된 피의자 중에는 총책 1명과 알선책 1명, 대포통장 대여자 10명(이중 8명 구속·4명 불구속)이 포함됐다.
경찰은 지난 5월 중순 접수된 피해 신고를 토대로 수사에 착수해 국내 자금세탁망을 추적하는 과정에서 가담자들을 순차적으로 검거했다. 이들은 캄보디아 현지 조직과 공모해 피해자들을 온라인 '주식 리딩방'으로 유인한 뒤 가짜 투자사이트와 가상화폐 계좌를 이용해 자금을 빼돌린 것으로 드러났다.
경찰 관계자는 "국내 가담자들이 피해금 이체용 대포통장을 모집하고 해외 범죄조직이 만든 코인 계정을 통해 자금을 분산·세탁한 정황이 확인됐다"며 "이들이 자금흐름 차단 역할을 한 만큼 사기단 전체의 국내 연결고리를 끊는 데 수사역량을 집중했다"고 밝혔다.
범행 수법은 정교했다. 이들은 SNS를 통해 '유명 애널리스트 투자방'과 '확정수익 보장' 문구로 투자자를 유인한 뒤 허위 리딩방에서 '지금 입금하면 원금 2배 수익' 등으로 심리적 압박을 가했다.
이후 피해금은 국내 명의 계좌를 거쳐 해외 코인지갑으로 송금됐다. 대포통장 제공자들은 통장 개설 후 즉시 인출카드를 전달받았으며 일부는 인출수수료 명목으로 금품을 챙긴 것으로 조사됐다.
부산 중부경찰서는 피의자들의 통신기록, 금융거래 내역, 해외송금 흐름을 모두 추적했으며 범죄단체의 지시망이 캄보디아 프놈펜 인근 '태자단지' 일대에서 작동한 정황도 포착했다. 경찰은 인터폴 및 현지 수사당국과의 공조를 통해 총책의 해외 활동 내역을 분석 중이다.
이번 사건은 최근 증가하고 있는 해외 거점형 투자사기의 전형적 사례로 꼽힌다. 피해자들은 '주식 리딩' 외에도 '노쇼 결제대행', '코인 자동거래' 등 다양한 명목으로 속아 송금한 것으로 알려졌다. 경찰은 피해금 환수와 재발 방지를 위해 금융감독원·금융권과 공조를 강화하고 계좌개설 단계에서의 이상거래탐지시스템을 확대 적용할 계획이다.
전문가들은 "캄보디아·라오스 등지에 기반한 투자사기 조직이 국내 SNS를 통해 피해자를 모집하는 구조가 고착화되고 있다"며 "해외 공조 강화와 함께 대포통장 공급책에 대한 실형 선고가 강화돼야 한다"고 조언했다.
부산경찰은 현재 추가 피해자 신고를 받고 있으며 피해자에게는 금융회사 지급정지 및 계좌환급 절차 안내를 병행하고 있다. 시민들에게는 "확정수익" "단기간 고수익 보장" 등의 문구로 접근하는 리딩방·투자사이트는 모두 사기일 가능성이 높으므로 즉시 신고할 것을 당부했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