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 유엔기념공원 일대의 경관지구 해제가 본격 추진된다.
부산시는 최근 열린 재한유엔기념공원 국제관리위원회 정기총회에서 '유엔기념공원 주변 경관지구 관리방안'에 대해 조건부 동의를 얻었다고 27일 밝혔다.
 
									
이번 회의에는 시 관계자와 유엔기념공원 관리처, 11개국 대사 등 국제관리위원회 위원들이 참석했다. 일부 위원들은 규제 완화로 인한 개발이 공원의 경건한 분위기와 상징성을 훼손할 수 있다는 우려를 제기했지만 시는 지구단위계획을 통해 건축물의 높이와 용도, 외관을 체계적으로 관리하겠다는 방안을 제시해 설득에 나섰다.
부산시는 경관지구 해제 이후 지형에 따라 구역을 구분하고 건축물의 높이와 색채를 제한해 공원의 시각적 위계가 유지되도록 조정할 계획이다. 또 국제관리위원회와 지속적으로 협의해 상세 도시관리계획을 수립하고 공원의 존엄성과 도시기능 개선이 조화를 이루는 개발 모델을 마련하겠다는 방침이다.
유엔기념공원은 한국전쟁 당시 전사한 유엔군 장병 2333명이 안장된 세계 유일의 유엔 공식 묘지로 현재 14개국 전몰 장병이 잠들어 있다. 1959년 체결된 한·유엔 협약에 따라 대한민국이 유엔에 영구 기증했으며 유엔총회 결의에 근거해 국제관리위원회가 관리하고 있다.
부산 남구는 내년 상반기 도시관리계획 입안을 위한 용역에 착수하고 2026년 하반기부터 시가 최종 결정 절차를 밟을 예정이다.
부산시는 이번 합의가 2026년 세계유산위원회 제50차 총회 개최를 앞두고 유엔기념공원 일대 정비와 도시환경 개선의 전환점이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시 관계자는 "세계평화의 상징인 유엔기념공원이 도시의 성장 과정 속에서도 존엄성을 잃지 않도록 세심히 조율하겠다"고 전했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