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과 노인층 사이에 위치해 정책적으로 소외된 '끼인세대'를 지원하는 종합계획이 전국 최초로 부산에서 추진된다.
부산시는 14일 부산에 거주하는 '끼인세대'를 지원하는 '제1차 부산광역시 끼인세대 지원 종합계획'을 수립해 추진한다고 밝혔다. 이번 계획은 지난해 전국 최초로 제정된 '부산광역시 끼인세대 지원 조례'에 따라 4년마다 수립하는 종합계획이다.
종합계획은 일자리, 역량개발·교육, 주거안정·금융, 문화·여가, 출산·양육, 노후준비·건강의 6대 분야에 32개 지원사업으로 구성된다. '끼인세대에서, 키(Key)세대로'라는 슬로건으로 2025년부터 2028년까지 약 918억원의 예산을 투입한다.

먼저 일자리 분야에서 이·전직 지원, 디지털 기술 활용 등을 위해 '4050 채용촉진 지원사업'을 확대한다. 역량개발 분야에서는 맞춤형 역량 강화와 지속 가능한 평생교육을 위한 '직장인 직업역량 강화 프로그램'을 내년도 신규사업으로 추진한다. 주거안정·금융 분야에서는 2025년 신규사업인 '폐업소상공인 희망두배통장 지원사업' 등을 도입한다.
2025년 시범 사업으로 문화·여가 활동 활성화를 도모하기 위한 부산형 어린이 패스트트랙을 운영한다. 출산과 양육에 친화적인 환경을 조성하는 가족친화인증기업을 확대하고 노후 준비를 위한 자산관리 교육프로그램도 시행한다. 이외에도 2026년 3개 지원사업을 추가해 끼인세대에 대한 지원 폭을 넓힌다.
이준승 부산시 행정부시장은 "이번 종합계획과 지속적인 신규사업 발굴을 통해 끼인세대의 정책 소외를 해소하고 사회통합과 경제활력 제고를 위한 기반을 다져 나가겠다"고 전했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