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교통공사노조의 파업이 초읽기에 들어간 가운데 부산교통공사와 부산시가 대책 마련에 나섰다.
먼저 부산교통공사는 16일 오후 3시부터 비상대책본부를 가동한다. 열차 운행 조정, 안전관리대책 수립 등 파업 대비 비상수송대책을 마련하고 모든 가용자원을 동원해 파업 기간에도 시민 불편 해소에 최선을 다한다는 방침이다.
열차 운행률은 평시 대비 78.5%까지 높인다. 특히 이용객이 가장 많은 출·퇴근 시간대에는 평소와 같이 100% 정상 운행하며 그 외 시간대는 1~3호선 운행률을 최대 51.5%까지 조정한다. 무인경전철인 4호선은 시간대에 상관 없이 100% 정상 운행한다. 이를 위해 공사는 운전, 관제, 차량, 전기, 신호, 통신, 궤도 등 7개 분야에 필수인력을 1294명 투입하는 등 대체인력 2222명을 투입한다.

부산시는 도시철도 운행률이 감소하는 상황에 대응해 파업 당일부터 승용차요일제 운휴일 해제, 도시철도역 주변 택시 집중 배치 등을 통해 대체 수송력을 확보한다는 계획이다. 파업이 장기화하면 도시철도 1~3호선 구간에 연계된 시내버스 노선을 증차 운행하고 시 공무원을 현장에 투입해 역무 업무를 지원한다.
공사와 노조는 지난 5월부터 열세 차례에 걸쳐 교섭을 이어왔지만 이견을 좁히지 못하고 16일 최종교섭을 앞두고 있다.
노조는 임금 5.9% 인상, 통상임금 재산정에 따른 법정수당 증가분 별도 지급, 인력 344명 증원 등을 요구해 왔다. 이에 공사는 4000억원이 넘는 심각한 재정 적자 속에서도 정부 지침상 인상률 최대치인 임금 3.0% 인상과 함께 법정수당 증가분에 대한 추가 인상을 검토하고 있다. 그러나 인력 증원은 어렵다는 입장인 것으로 알려졌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