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남학교비정규직연대회의(이하 단체)는 10일 "최저시급도 미치지 못하는 학교 비정규직들의 임금체계를 개편해 현실화하라"고 촉구했다.
이날 전국학교비정규직노조 전남지부, 전국교육공무직본부 전남지부, 전국여성노조 전남지부 등 3개 단체로 결성된 단체는 오전 10시 전남도교육청 앞에서 '임단협 돌입 임금요구안 발표' 기자회견을 열었다.
이 자리에서 소속원 20여 명은 전남도교육청과 집단임금교섭 시작에 따른 총 14개 요구안 발표를 통해 요구사항을 밝혔다.
요구안은 ▲임금체계 개편을 통한 저임금 구조 개선 ▲수당차별 철폐 ▲명절휴가비 정규직 동일 기준 120% 적용 ▲방학 중 비근무자 생계대책 마련 등이다.
단체는 "학교 비정규직들은 30년을 일해도 정규직의 절반에 불과한 임금을 받고 있다"면서 "법원과 인권위의 권고에도 임금 수준은 여전히 멈춰있는 게 현실"이라고 토로했다.
이어 "방학이 되면 노동자들은 최소한의 생계 대책 없이 방치돼 생존을 위해 가까스로 버터야 하고, 급식실 노동자는 여전히 열악한 근무 환경에 노출돼 죽어나가고 있는 실정"이라며 "요구안은 돈을 더 달라는 요구가 아니라, 값싼 비용으로 학교를 지탱하고 있는 약자들의 처절한 외침"이라고 전했다.
단체는 "교육청은 책임있는 결단을 내려야 한다"면서 "교섭을 통해 정당한 직무 가치가 반영된 임금체계를 마련하고 정규직과의 임금격차를 해소하라"고 촉구했다.
단체는 지난 8월말부터 2025 임단협을 시작했다. 단체는 협상안을 지속적으로 요구해 나갈 방침이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