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인화면으로
부산 지역 수출은 증가↑...무역수지는 4개월째 내리막↓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
  • 밴드 공유하기
  • 인쇄하기
  • 본문 글씨 크게
  • 본문 글씨 작게
정기후원

부산 지역 수출은 증가↑...무역수지는 4개월째 내리막↓

수출 품목은 선박 등 증가세에 힘입어 전년 동월 대비 9.0% 늘어

지난달 부산 지역의 수출이 3개월만에 증가세로 돌아섰지만 무역수지는 4개월째 내리막길을 걷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18일 부산세관에 따르면 지난 7월 부산 지역 수출은 전년 동월 대비 9.0% 증가한 13억 3500만 달러를 기록했다. 지난 5월부터 수출액이 감소세를 이어가던 가운데 3개월 만의 반등이다.

품목별로는 선박이 242.4%로 두 배 가까이 증가하며 전체 실적을 견인했다. 이어 전기·전자제품(16.6%)과 철강 제품(11.5%), 기계류·정밀 기기(5.3%) 등 주요 품목에서 전반적으로 증가했다. 수출 물량은 31만 톤으로 전년 동기 대비 14.9% 늘었다.

▲부산항 제5부두 전경.ⓒ프레시안(강지원)

지역별로는 중남미가 60.0%, 동남아가 13.9% 증가하며 신흥시장을 중심으로 뚜렷한 성장세를 보였다. 반면 중국은 4.8% 내려앉았고 일본(-4.1%), EU(-3.7%), 미국(-2.3%) 등 선진국 시장에서 완만한 감소세를 보였다.

같은 달 수입은 전년 동월보다 2.5% 증가한 13억 6000만 달러였다. 소비재와 원자재가 각각 13.8%, 4.0% 증가했지만 자본재는 7.6% 줄었다. 품목별로는 승용차가 1428.5%, 연료가 219.3% 증가했다. 이외에도 어류(34.9%), 비철금속(32.9%) 등의 수입이 증가하는 한편 곡물(-61.6%)의 수입은 크게 감소했다. 광물(-43.3%)과 가전제품(-8.9%) 등의 수입도 감소세를 보였다.

이에 따라 부산의 지난달 무역수지는 2500만 달러 적자에 그쳤다. 지난 4월부터 4개월 연속으로 내리막길을 걸었다. 주요 흑자국은 동남아(1억1200만 달러)와 중남미(9600만 달러), 미국(8900만 달러)이었으며 중국(-3억3100만 달러), EU(-3500만 달러), 일본(-3400만 달러) 등에서는 적자를 기록했다.

이 기사의 구독료를 내고 싶습니다.

+1,000 원 추가
+10,000 원 추가
-1,000 원 추가
-10,000 원 추가
매번 결제가 번거롭다면 CMS 정기후원하기
10,000
결제하기
일부 인터넷 환경에서는 결제가 원활히 진행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kb국민은행343601-04-082252 [예금주 프레시안협동조합(후원금)]으로 계좌이체도 가능합니다.
강지원

부산울산취재본부 강지원 기자입니다.

프레시안에 제보하기제보하기
프레시안에 CMS 정기후원하기정기후원하기

전체댓글 0

등록
  • 최신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