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대통령 직무수행 긍정평가율이 60% 중반으로 나타나고 있는 가운데, 부동산 정책에 대한 평가는 이에 크게 못 미친다는 한국갤럽 조사 결과가 나왔다.
11일 갤럽에 따르면, 이 기관의 7월 2주차 정례 조사에서 이 대통령이 대통령 직무를 잘하고 있다고 보는 응답은 63%, 잘못하고 있다는 부정 평가는 23%로 집계됐다.
이 대통령 취임 이후 3회차 시행 중인 갤럽 조사에서 직무수행 긍정평가율은 64%-65%-63%를 기록했다. 부정평가는 21%-23%-23%였다.
그런데 이 기관이 병행 조사한 정부 부동산 정책 평가에서는 '잘하고 있다' 35%, '잘못하고 있다' 25%라는 결과가 나왔다. 찬반 양론보다 더 많은 40%는 의견을 유보했다.
부동산 정책 긍정평가 이유(주관식 조사)는 '대출 한도 제한'(51%), '집값 안정화'(8%), '강력·실효적 대책', '투기 억제·갭 투자 방지'(이상 5%) 등이었고, 부정평가 이유는 '대출 한도 제한'(35%), '집값 상승 억제 못함'(19%), '실효성 부족', '시장원리 무시·시장 개입'(이상 4%), '외국인에 유리', '경기침체·거래 안 됨·미분양'(이상 3%) 등이었다.
갤럽은 "현 시점에서 부동산 정책 평가 유보자가 많은 것은 아직 6.27 대출 규제 효과를 판단하기 이르고, 출범 2개월째 접어든 정부의 후속 정책이 어떨지 관망하는 태도로 읽힌다"고 분석했다.

정당 지지도는 더불어민주당 43%, 국민의힘 19%, 조국혁신당 4% 등으로 집계됐다. 민주당·국민의힘 모두 전주 대비 3%포인트 하락했다.
갤럽은 "국민의힘 지지도가 20%를 밑돌기는 2020년 11월 이후 처음"이라며 "그해(2020년) 국민의힘은 월평균 기준 최저 18%(2020년 5, 6, 10월)에서 최고 24%(8월), 민주당은 34%(12월)에서 46%(5월) 사이를 오르내렸다"고 분석했다.
다만 이는 국민의힘이 현재의 당명으로 간판을 교체한 이후의 이야기이고, 그 전신 정당까지 포함하면 '10%대 지지율'은 드문 일이 아니었다.
2016년 12월 박근혜 정부 국정농단 사태 당시 새누리당 지지도는 12%까지 하락했고, 자유한국당으로 당명을 바꾼 후인 2017년 2월 4주에는 10%까지, 이어 '탄핵 대선' 기간인 같은해 4월 1주와 5월 3주·4주에는 8%까지 떨어졌다. 2017년 4월·6월에는 월간 평균 지지율이 9%였다.


갤럽이 언론사 의뢰 없이 자체 시행한 이번 조사는 지난 8일부터 사흘간 이동통신 3사 제공 무선전화 가상번호에서 무작위 추출한 전국 18세 이상 1002명 대상 전화조사원 면접 방식으로 시행됐으며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서 ±3.1%포인트, 응답률은 11.7%(총 통화 8573명 중 1002명 응답 완료)였다. 선거 여론조사 관련 상세 사항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