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 여야 의원들이 전원일치로 발의한 '부산 글로벌허브도시 특별법'이 14개월째 국회에서 표류하자 일각에서는 북극항로 통합 추진론이 고개를 들고 있다.
국회 행정안전위원회는 지난 8일 법안심사제1소위원회 회의를 열고 부산 글로벌허브도시 특별법을 포함한 70개 안건을 상정했다. 그러나 오전 10시부터 오후 5시까지 이어진 회의에서 부산 글로벌허브도시 특별법은 다뤄지지 않았다.
부산 지역 의원 18명은 지난해 5월 22대 국회 1호 법안으로 글로벌허브도시 특별법을 발의했다. 법안이 국회 상임위에 상정된지는 1년을 훌쩍 넘겼지만 아직까지 제대로 된 논의는 이뤄지지 않고 있다.

박형준 시정의 핵심 공약인 글로벌허브도시 특별법이 계류 상태에 머무르면서 일각에서는 북극항로 지원 특별법과의 통합 추진이 필요하다는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이재명 정부의 핵심 공약인 북극항로와 연계해 전향적인 움직임을 이끌어내자는 것이다.
기폭제가 된 것은 박형준 부산시장과 이재성 더불어민주당 부산시당위원장의 회동이다. 이들은 회동에서 글로벌허브도시 특별법과 북극항로 지원 특별법의 연계 추진에 공감대를 표했다. 앞서 박 시장은 지난달 18일 "필요하다면 통합법을 만들 수도 있다고 본다"고 밝힌 바 있다.
이에 대해 부산 시민단체들은 '연계 추진'을 요구하고 나섰다. 박재율 지방분권균형발전부산시민연대 상임대표는 "북극항로와 글로벌 허브도시는 방향성에서 교집합을 만들어 낼 수 있다"며 "글로벌 허브도시라는 명칭도 글로벌 해양수도라는 키워드로 구체화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했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