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의힘이 친윤계 장예찬 전 최고위원의 복당을 의결했다. '중도 빅텐트'를 외치며 이준석 개혁신당 대선 후보까지 품겠다던 국민의힘이 정반대 행보를 이어가자 '친윤 빅텐트' 아니냐는 비판이 나오고 있다.
국민의힘 지도부는 15일 오전 비공개 회의를 열고 장 전 최고위원의 복당을 의결했다고 밝혔다. 지난 총선을 앞두고 탈당한지 1년 여 만이다.
국민의힘은 지난해 22대 총선을 앞두고 장 전 최고위원의 '막말 논란'이 불거지자 부산 수영구 공천을 취소했다. 탈당을 선언하고 무소속으로 출마한 장 전 최고위원은 한동훈 당시 국민의힘 비대위원장이 전략공천한 정연욱 의원에게 보수표가 결집하며 결국 낙선했다.
당 지도부의 복당 결정에 친한계는 즉각 반발했다. 김종혁 전 최고위원은 SNS를 통해 "선거 망치기로 작정했느냐"라고 항의의 뜻을 밝혔다. 한지아 의원도 관련 기사를 SNS에 공유하며 "이것이 '국민께서 놀라실 정도의 빠른 변화'인가"라며 꼬집었다.

장 전 최고위원의 지역구였던 수영구 국민의힘 당원들은 같은 날 오후 부산시의회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국민의힘 지도부의 독단적 장예찬 복당 강행은 수영구 민심을 배반하는 무책임한 결정"이라고 규탄했다.
이들은 "윤석열의 시체를 끌어안고 죽은 사람 살려보겠다는 의지만 불태우는 것이냐. '윤 어게인'이 가능하다고 생각하는가"라며 지도부를 맹비난했다. 이어 "기본적인 상식도 없고 아무나 끌어모으면 되는 것이 빅텐트인가"라며 '친윤 빅텐트'로 굳어지고 있는 국민의힘의 모습을 지적했다.
이승연 부산시의원(수영2)도 이날 "권성동 원내대표의 행태가 가관"이라며 힘을 더했다. 이 의원은 "민주적 절차와 당내 소통을 완전히 무시한 독선적 행태"라고 날을 세웠다. 이어 "복당 결정을 즉각 철회하라"라며 "당의 분열을 조장하는 무모한 시도를 즉극 중단하라"라고 촉구했다.
이렇듯 친윤계와 친한계의 갈등이 극한으로 치닫는 가운데 김문수 후보의 지지율은 30% 초반 박스권에 갇힌 모양새다. 정치권 안팎에서는 국민의힘의 관심사가 이미 대선보다는 향후 당권 경쟁으로 향한 것이 아니냐는 이야기도 나온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