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세 고시' 논란으로 과도한 영유아 사교육이 사회 문제로 떠오른 가운데, 서울 강남 3구(강남·서초·송파) 지역의 9세 이하 아동의 우울증·불안장애 진료가 최근 5년 사이 3배 이상 급증한 것으로 파악됐다.
25일 더불어민주당 진선미 의원실이 건강보험심사평가원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2020년 1037건이었던 강남 3구 9세 이하 아동의 우울증·불안장애 관련 진료비 청구 건수가 2024년 3309건으로 급증했다. 5년간 총 청구 건수는 1만943건에 달했다.
특히 2024년 기준 강남 3구의 구별 평균 청구 건수는 서울시 25개 자치구 평균인 291건의 3.8배에 달하는 1103건으로 나타났다. 같은 기간 전국 9세 이하 아동의 우울증·불안장애 건보료 청구 건수는 2배 정도 증가했다.
서울시 내 유아 대상 영어학원은 강남 3구에 집중돼 있다. 서울교육청에 따르면 지난해 서울 시내 유아 대상 영어학원, 이른바 '영어유치원'은 총 240곳인데, 이 가운데 4분의1에 해당하는 59곳이 강남 3구에 몰려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서울 25개 자치구의 평균 영어유치원 개수는 9.6개인 반면, 강남 3구는 19.7개로 2배 이상 많았다.
앞서 정부는 지난달 '2024년 유아 사교육비 시험조사'를 통해 유아 사교육비 실태를 처음으로 공개했다. 6세 미만 취학 전 영유아 가구 부모 1만3241명을 대상으로 작년 7~9월 실시한 이 조사에서, 가정양육 유아 중 17%가 '3시간 이상'(반일제) 학원에 다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의 월평균 사교육비는 145만4000원에 달했으며, 특히 영어유치원의 월평균 비용은 154만5000원에 달했다.
진 의원은 "신체적‧정서적 발달이 이뤄져야 하는 시기에 과도한 학습 부담과 경쟁 스트레스로 아이들이 고통받고 있다"며 "4세 고시 같은 조기 선행학습 과열 현상으로부터 우리 아이들의 정신건강을 위협받지 않도록 교육부가 영유아 사교육 실태조사를 비롯한 종합적인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