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 도시철도 사상~하단선 건설현장에서 잇따르는 땅꺼짐(싱크홀) 사고와 관련해 책임 회피에 급급한 모습을 보이는 부산교통공사의 대응이 도마 위에 오르고 있다.
부산시의회 건설교통위원회는 23일 오후 신공항건설추진본부, 부산교통공사, 부산도시공사를 대상으로 긴급현안질의에 나섰다.
이 자리에서 박진수 건설교통위원회 부위원장(비례)은 전날 발표된 감사보고서와 관련해 부산교통공사를 "부실 종합 세트"라고 강하게 비판했다.
현안질의에 출석한 이병진 부산교통공사 사장은 "14건의 싱크홀(땅꺼짐)이 발생한 것에 대해 시민들이 불안감을 느끼는 것을 잘 알고 있다"라며 "송구스럽게 생각한다"라고 답했다.
그러나 감사위원회의 감사 결과에 대해서는 "존중하나 아쉽게 생각한다. 14차례의 싱크홀 중 1건에 대해서 결과를 이야기한다"라고 밝혔다. 그러면서 "현장의 목소리도 들어야한다"라고 덧붙였다.

이 사장은 "특정 싱크홀에 대해서 관리감독이 부실했던 부분은 책임을 지겠다"라면서도 "현재 발생하고 있는 싱크홀은 하나의 원인으로 발생하는 것이 아니다. 지하매설물에 대해 측구, 하수 관로나 우수 관로가 제대로 관리되고 있는 부분이 없다"라고 답했다.
땅꺼짐 사고와 관련해 부산교통공사가 지금까지 주장해온 '노후 하수관로가 원인'이라는 입장을 유지함과 동시에 시에 책임을 돌리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는 발언이다.
이 사장의 발언은 여기서 멈추지 않았다.
박 부위원장이 "누가 현장의 목소리를 듣지 않는다는 것이냐"라고 묻자 이 사장은 "시청이든 구청이든 현장의 목소리를 듣고 있지 않다"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어 "시에 책임질 사람이 없다는 뜻"이라며 시를 향해 화살을 돌렸다.
이 사장은 "종합 세트"라는 박 부위원장의 지적에도 "큰 조직의 감사를 하게 되면 대체적으로 이 정도는 나온다"라고 안일한 인식을 나타냈다. 또한 "사례 한두개로 전체를 그렇게 말씀하시면 안된다"라며 팽팽한 신경전을 보였다.
감사위원회가 지적한 공사 재료의 누락에 대해서도 "감사 시기에 영수증 처리가 안된 것"이라며 "엉터리로 된 것이라면 경찰에 고발을 해야한다. 안한다면 감사위원회의 직무유기"라고 주장했다.
그러나 시와 감사위원회의 설명은 달랐다.
부산시 관계자는 "무슨 기준으로 지하매설물이 관리되고 있지 않다는 것인지 모르겠다"라며 "지하매설물은 UIS(도시정보시스템)를 통해 관리되고 있다. 최초 제작할 때도 전수 조사를 했고 신규관로에 대해서도 사업이 완료되는 순간 등록된다"라고 밝혔다.
감사위원회도 "사안에 따라 다르지만 감사한 것에 대해서는 (시정사항이) 나왔기 때문에 처분을 한 것"이라며 "(감사 결과에 대해) 부산교통공사 측에서도 재심을 요청하거나 반론이 없었다"라고 교통공사 측의 주장을 일축했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