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의힘 탄핵 반대파 대선주자로 분류되는 김문수 전 고용노동부 장관과 홍준표 전 대구시장이 각각 '중대재해처벌법 개정, 노란봉투법 반대', '차별금지법 반대, 수월성 교육 강화' 등을 주장하며 '우향우' 경쟁을 벌였다.
김 전 장관은 18일 서울 여의도 대하빌딩 캠프 사무실에서 연 '경제 살리기 공약 기자회견'에서 "중대재해법을 제대로 기업하기 좋은 쪽으로 바꿔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산업안전 개선을 위한 방책으로는 위험 작업 등에 "첨단 로봇을 도입"해 "산재 발생 비율을 획기적으로 낮추"는 것을 언급했다.
그는 플랫폼·하청노동자 등의 노조 할 권리 강화를 담은 노란봉투법에 대해서도 "기업을 달달달 볶고 못 살게 구는 것"이라고 반대 의사를 밝혔다.
김 전 장관은 기업에 대해서는 "이재용, 최태원, 신동빈 회장이 감옥에 살았다"며 "기업을 크게 할수록 감옥에 오래 사는 이런 것은 안 된다"고 말했다.
이어 "대통령이 되면 기업 민원 담당 수석을 둘 것"이라며 이를 통해 기업의 어려움을 "원스톱"으로 해결하겠다고 밝힌 뒤 법인세와 상속세도 "원스톱으로 깎아드리겠다"고 감세 약속을 꺼냈다.

홍 전 시장은 이날 여의도 대하빌딩 캠프 사무실에서 연 '사회·교육·문화 분야 비전발표회'에서 "극단전 페미니즘과 PC주의가 전염병처럼 우리 공동체를 잠식하고 있다"며 "가정과 가족의 역할을 다시 세워야 한다. 차별금지법에는 단호히 반대하고 패밀리즘으로 따뜻한 공동체를 다시 세우겠다"고 말했다.
그는 또 "평준화 포퓰리즘에 빠진 우리 교육 때문에 학력 수준이 하향 평준화"되고 있다며 "수월성 교육 강화"를, "경쟁을 통해 질 높은 콘텐츠를 공급"하겠다며 KBS2·MBC·YTN의 "완전 민영화"를 약속했다.
발표회 뒤 홍 전 시장은 안철수 의원 등 당내 대선주자 사이에서 윤 전 대통령 탈당 목소리가 이는 데 대한 생각을 묻는 말에 "윤 대통령 탈당하라는 소리를 하기가 참 난감하다"며 반대 입장을 밝혔다.
이어 "우리 당 후보로 정권교체를 해줬고, 물론 3년 동안 정치를 잘못해서 탄핵은 됐지만, 시체에 또 난도질하는 그런 짓을 하는 건 도리가 아니다"라며 '윤심 끌어안기'에 나섰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