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인화면으로
세월호 11주기 안전인식 조사, 응답자 44% "안전하지 않다"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
  • 밴드 공유하기
  • 인쇄하기
  • 본문 글씨 크게
  • 본문 글씨 작게
정기후원

세월호 11주기 안전인식 조사, 응답자 44% "안전하지 않다"

응답자 과반 "향후 대형 참사 또 발생할 것"

국민 10명 중 5명이 대형 재난에 불안함을 느끼고 있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동아대학교 대학원 재난관리학과와 긴급대응기술정책연구센터는 15일 한국리서치, 씨지인사이드와 공동으로 '세월호 11주기 재난안전인식 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이번 조사에서 응답자 44%가 '대형 사회재난으로부터 안전하지 않다'라고 답했다.

'안전하지 않다'라는 응답자들은 안전에 대한 책임은 '중앙정부(31.1%)'와 '대통령(26.4%)'에 있다고 답했다. 안전에 대한 책임이 '지방자치단체(14.2%)'에 있다고 답한 비율도 2021년 조사 대비 7.3%p 상승했다.

'안전하다'라는 응답은 17.6%에 그쳐 2021년 조사 대비 25.5%p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 전체 응답자들의 54.4%는 '향후 세월호 사고와 같은 대형 참사가 발생할 것'이라고 응답했으며 47.8%는 '대규모 참사가 10년 내에 발생할 것'이라고 응답했다.

▲세월호 참사 11주기를 이틀 앞둔 14일 전남 목포시 고하도 신항만에 거치된 세월호 선체 모습. ⓒ연합뉴스

정부가 재난 대비를 위한 인적자원(인력, 전문성 등)과 물적자원(장비, 물품 등)을 잘 확보하는지에 대해서는 각각 응답자의 26.8%와 27.6%만이 '잘 확보한다'라고 응답했다.

응답자들은 국가재난관리체계와 대규모 참사에서 재난 컨트롤타워는 모두 '대통령'(각각 41.2%, 39.9%)이라고 인식했다.

이들은 대규모 참사에서 효과적인 대응 및 수습을 수행한 주체는 '소방청'(64.6%)으로 인식했고 '대통령실'이 가장 효과적이지 않다(55.6%)라고 인식했다.

동아대 긴급대응기술정책연구센터 측은 "이번 조사 결과를 종합하면 대형 사회재난에 대한 국민 불안은 여전히 높다"라며 "책임소재가 중앙정부와 대통령에 집중되는 양상 속에서 재난관리체계에 대한 신뢰 회복과 함께 분권적 전환이 시급한 과제로 부각되고 있다"라고 설명했다.

이번 조사는 전국의 만 18세 이상 남녀 1천 명을 대상으로 지난 4일부터 7일까지 휴대전화 문자와 이메일 발송 방법으로 이뤄졌다.

이 기사의 구독료를 내고 싶습니다.

+1,000 원 추가
+10,000 원 추가
-1,000 원 추가
-10,000 원 추가
매번 결제가 번거롭다면 CMS 정기후원하기
10,000
결제하기
일부 인터넷 환경에서는 결제가 원활히 진행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kb국민은행343601-04-082252 [예금주 프레시안협동조합(후원금)]으로 계좌이체도 가능합니다.
강지원

부산울산취재본부 강지원 기자입니다.

프레시안에 제보하기제보하기
프레시안에 CMS 정기후원하기정기후원하기

전체댓글 0

등록
  • 최신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