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의힘이 더불어민주당의 대선 후보 경선 룰을 두고 "'전과자'이자 '피고인'인 이재명 추대식"이라고 비판했다.
13일 서지영 국민의힘 원내대변인은 논평에서 "민주당은 전통으로 자부하던 국민경선 제도를 단 한 사람만을 위해 폐기했다”며 이같이 지적했다.
앞서 12일 민주당 대선특별당규준비위원회는 국민의힘과 마찬가지로 권리당원 투표와 국민 여론조사를 각각 50%씩 반영해 대선 후보를 선출하겠다고 밝혔다. 민주당은 지난 2017년, 2022년 대선 경선에서는 당원과 일반 국민 모두에게 1인 1표를 보장하는 방식인 국민경선 방식을 채택했었다.
서 대변인은 이를 두고 "당내 경선 주자들의 의견은 무시한 채 이 전 대표가 아닌 다른 후보가 최종주자가 될 수 있는 자그마한 틈도 허용치 않는 경선제도로 바꿔버렸다"고 말했다.
서 대변인은 "민주당은 '역선택 방지'라고 둘러대고 있지만, 지난 대선 경선에서 '대장동 사건'이 불러온 국민적 비토와 이낙연 후보의 막판 맹추격을 경험한 이 전 대표의 불안감과 트라우마 때문인 듯하다"고 주장했다.
서 대변인은 "민주당은 자신들은 일방 독재적 추대 대회를 펼치면서 국민의힘 대선 주자들을 향해 연일 도를 넘는 비난을 쏟아낸다"며 "아무리 '제 눈의 대들보는 못 본다'지만 전과 4범이자 12개 혐의로 재판받고 있는 자를 대선 후보로 옹립·추대하려는 민주당이 국민의힘을 비난할 처지가 아니"라고 강조했다.
서 대변인은 "이 전 대표가 절대 다수 의석을 가진 민주당으로 국회를 장악해 정부를 어떻게 멈춰 세웠는지 모두가 지켜봤다"며 "국민의힘은 민주당에 의한 완벽한 독재체제 완성을 국민들과 함께 막아내겠다"고 덧붙였다.
한편 국민의힘 내에서도 당원 투표 50%를 반영하는 룰에 반발하는 목소리가 나온다. 유승민 전 의원은 경선 불참 의사를 밝혔다.

전체댓글 0